디지털 데이터 기반 AI 화장품의 시대 남들에게 아름답고 건강하게 보이고 싶다는 욕구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현대인은 생각보다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고 있죠. 화장과 미용에 대한 관심은 과거 여성의 전유물이었지만, 현대 사회의 남성은 여성 못지않게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나이 든 분들은 조금이라도 더 젊은 시절의 피부를 유지하고 싶어서, 청소년들은 개성을 뽐내기 위해 화장품을 삽니다. 이제 더 좋은 화장품이라면 남녀노소 상관없이 누구나 돈을 쓸 준비가 된 시대가 온 것이죠. 화장품을 살 때는 회사 이름, 제품 브랜드, 제품에 들어가는 성분, 그리고 매장 직원의 추천과 사용자들의 평가 등 많은 변수가 작용합니다. 이러다 보니 매번 화장품을 고르는 것도 힘들고 조금이라도 환경이 바뀌면 새로운 화장품으로 눈이 가게 되죠. 화장품 업계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활용해 화장품 구매 구조에 중대한 변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바로 AI, 빅데이터, 로봇이 힘을 합쳐 오직 한 사람만을 위한 맞춤형 화장품을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그 미래의 모습을 한번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이런 로봇들을 이용하면 나만의 화장품을 만들어서 집으로 배송받거나, 매장에서 제품이 만들어지는 것을 보면서 직접 가져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그치지 않고 집에서 화장품을 만들 수 있다면 어떨까요? 화장품 회사 로레알은 2020년 인공지능 기반 가정용 개인 맞춤형 스킨케어 디바이스인 ‘페르소’를 선보였습니다. 마치 텀블러처럼 생긴 이 기계는 스마트폰으로 찍은 내 피부를 바로 분석할 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자가 있는 집안의 온도, 습도, 그리고 그날의 자외선 정도까지 파악합니다. 그리고 그날에 가장 맞는 성분을 조합하여 1회 분량의 화장품을 뿜어주는데요. 립스틱, 스킨케어, 파운데이션 3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이런 제품을 쓰게 되면 똑같은 화장품을 사서 다 떨어질 때까지 계속 쓴다는 개념은 이제 사라지게 되죠. 로레알의 가정용 맞춤형 화장품 제조기 ‘페르소’(Perso) (출처: 영상캡처 https://www.youtube.com/watch?v=kfRGxkllF5M)
AI는 화장품 대량생산 시대의 종말을 이끌 것인가 앞으로 AI 기술을 핵심 가치로 내 거는 화장품 회사들이 점점 늘어갈 것입니다. 화장품 회사들이 원하는 것은 고객들이 자신의 회사 제품만을 사용하는 것이니까요. 특히 AI를 활용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식은 거대한 공장에서 대량생산을 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그로 인해 대량생산한 기성품들로 인한 배송, 보관, 그리고 재고처리의 문제가 사라지게 되죠. 맞춤형 화장품은 고객들에게 사용하다가 중간에 버려지게 될 확률도 낮아서 더 적은 쓰레기가 배출됩니다. 또한 집에서 각자 화장품을 만들어 쓰게 되면 배송에 드는 많은 양의 연료와 에너지 역시 절약할 수 있습니다. 더 아름답고 젊게 보이고 싶다는 인간의 욕구가 있는 이상 나에게 딱 맞는 화장품을 찾기 위한 여정은 계속될 것입니다. 테슬라 자동차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점점 다른 자동차로 변해가는 것처럼, 내가 사용하면 할수록 점점 더 나에게 맞춰가는 화장품을 사용하게 될 날이 멀지 않은 듯합니다. 비싼 명품 화장품보다 나만을 위한 화장품이 더 가치를 지닌 미래가 오면 우리와 피부와 환경이 얼마나 좋아질지 기대하게 됩니다. |
전체 42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극립기상과학원 #3도씨 #기후변화 #기후위기 #기온상승 #건강 #보건 #국토도시 #해수면상승 #산업 #에너지 #자원의존형산업 #생태계 #환경 #산림 #생물다양성 #수자원 #가뭄 #홍수 #식량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농산물
#초박막 #압전소자 #고효율배터리 #배터리효율 #배터리 #친환경배터리 #친환경에너지 #전기에너지 #에너지기술 #친환경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
#사람몸에서전기 #매트릭스 #매트릭스리저렉션 #신체전기 #미생물연료전지 #빙엄턴 #서강대학교 #바이오연료전지 #바스대학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바이러스 #필터 #마스크 #코로나 #헤파필터 #광열효과 #헤파 #에너지ICT #에너지기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ICT #HEPA #친환경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재생에너지 #기술이전
#한국도로공사 #서울산나들목 #연료전지 #연료전지발전소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수소 #수소에너지 #수소트럭 #백금 #제조단가 #연료전지제조 #막전극접합체 #나노촉매 #백금코어 #다공성 #그래핀쉘 #쉘 #탄소나노튜브 #분리판
#과학의날 #4월 #과학 #이과 #과학행사 #에너지기술연구원 #과학데이 #KIER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용관 #찰스다윈 #다윈 #진화론 #국가기록원 #체신의날
#LG전자 #태양광 #탄소중립 #패널 #태양광패널 #태양전지 #잉곳 #OCI #폴리실리콘 #한화큐셀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CIGS #박막태양광모듈
#아이언맨 #마블 #어벤져스 #로버트다우니주니어 #풋프린트콜리션 #다보스포럼 #탄소발자국 #탄소중립 #히어로 #footprintcoalition #토니스타크 #아카디아어스 #Cloudpaper #ynsect #RWDC인터스트리
#코로나 #팬데믹 #쓰레기 #일회용품 #탄소중립 #환경 #친환경 #환경문제 #재활용 #빙그레 #단지세탁기 #바나나우유 #아이시스 #무라벨 #페트병 #레고 #레고꽃다발 #화장품용기 #이너보틀 #에코플랫폼 #그린워싱
#겨울 #차박 #에너지
#딸기 #겨울과일 #겨울딸기 #탄소중립 #비닐하우스 #품종개량 #라이언레이놀즈 #딸기에너지
#우주여행 #로켓 #아마존 #우주해외여행 #우주탐사 #로켓엔진 #친환경로켓 #청정에너지 #누리호 #누리호발사
#넷플릭스 #OTT #데이터센터 #데이터저장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온실가스 #지구온난화
#인공지능 #AI #인공지능화장품 #뷰티앱 #AI화장품 #빅데이터 #맞춤형화장품
#메타버스 #페이스북 #아바타 #가상현실 #스노크래시 #세컨드라이프
#감시위성 #인공위성 #CCTV #지구온난화 #온실가스
#하이퍼루프 #테슬라 #CEO #친환경 #초고속 #은하철도999 #운송수단 #일론머스크 #리니어모터 #하이퍼루프원 #네바다사막 #서울에서부산
#정전기 #가을철정전기 #감전사고 #화재사고 #폭발사고 #주유소화재 #실내습도유지 #천연섬유 #보습
#에어컨 #제습기 #공기조절장치 #폭염 #더위 #윌리스하빌랜드캐리어 #냉매 #상전이 #에어컨제습기차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연
#수열에너지 #바다 #수열 #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친환경에너지 #물 #에너지원 #냉각탑 #냉난방 #그린뉴딜 #하코자키 #센강 #루브르박물관 #코넬대학교 #카유가호 #온타리오호 #롯데월드타워 #잠실 #융복합클러스터 #소양강댐 #데이터센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연 #KIER
#F1 #전기차 #전기차레이싱 #포뮬러 #포뮬러E #포뮬러원 #다운포스 #접지력 #랩타임 #르노 #닛산 #재규어 #아우디 #BMW #니오 #배터리 #리튬이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