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움직임이 심상치 않습니다. 지구촌에서는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춰 다양한 제도와 규제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죠. 이러한 바람과 힘입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분야가 있는데요. 바로 에너지원을 저장‧공급하는 차세대 에너지 소자 ‘이차전지’입니다.
이차전지란? ‘전지’라고 하면 보통 일차전지(primary battery)인 건전지를 떠올리실 겁니다. 일차전지는 소량의 전기가 필요한 곳에 전지를 부착해서 사용한 후, 방전되면 폐기하고 새것으로 교체하는 식으로 사용하는데요. 1회의 방전만의 기능을 보유할 뿐, 충전 후 재사용 할 수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으로 TV나 에어컨 리모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전지가 여기에 해당하죠.
이차전지, 핫하다 핫해! 이차전지의 수요는 끊임없이 치솟고 있습니다. 이차전지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관심도 절정에 달하죠. 그 이유는 대표적인 친환경 이동 수단인 ‘전기차’! 세계 각 정부에서 제시하는 강력한 친환경 정책에 힙입어 전기차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요. 여기서 이차전지는 전기차의 핵심 에너지원으로 활용되는 것 외에도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 보급, 활용할 때 꼭 필요한 기술로 작용합니다. 이에 따라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은 고용량‧장수명 이차전지 기술을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에 기여할 10대 미래유망기술’로 꼽기도 했답니다.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순환경제로의 전환, 에너지 효율 개선, 저탄소 차량 확산 등과 같은 친환경 이슈가 지속되면서 널리 쓰이고 있는 이차전지인 리튬이온전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리튬이온전지는 말 그대로 이온 형태의 리튬이 한 전극에서 다른 전극으로 이동하는 형태의 배터리를 말하는데요. 원소주기율표에서 2번에 해당하는 원소를 활용하기에 매우 가벼우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기에 작은 용량으로도 많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녔죠.
이차전지의 양면 우리가 친환경, 친환경을 외치는 이차전지에는 숨은 비밀이 있는데요. 바로 완벽한 친환경이 아니라는 사실! 이차전지에 사용하는 핵심원료들을 생산하고 가공하는 과정에서 지하수 고갈 및 수질 오염, 온실가스 배출 등과 같은 환경문제가 초래되거든요.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약 14%를 차지하는 운송 부문, 약 25%를 차지하는 전력 부문에서 상당한 감축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고 있던 이차전지에 이면이 존재하는 셈이죠. ㈜영풍의 배터리를 파쇄해 만든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원료 앞선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전 세계에서는 폐이차전지 재순환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마찬가지인데요. 최근에는 국내 자체 기술인 ‘다공성 그래핀 코팅’ 기술을 개발해 이차전지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성공했으며, 기술이전을 통해 사업화하고 있다죠. 또한 오는 2026년까지 ‘전기차 폐배터리 양극의 고부가가치 자원순환을 위한 저탄소 통합 기술 개발’이라는 R&D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폐이차전지의 자원순환을 위해 열심히 뛰어다니는 중입니다. ▼ 다공성 그래핀 코팅 기술 더 알아보기 ▼ [가스신문] (인터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희연 박사 “촉매원천기술로 탄소중립 앞당길 터” “수소경제와 탄소중립 사회의 실현을 위해서는 촉매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 근무하는 김희연 박사는 지난 96 년부터 27 년째 촉매를 연구하고 있다 . 경유의 심도탈황 촉매 개발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 2004 년 연구원에 입사하여 연료전지나 수소제조공정 , 온실가스 전환공정 등에 적용하기 위한 촉매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 촉매 전문가인 김 박사는 고온에너지전환연구실 소속으로 , 고온수전해 , 고온연료전지 시스템의 전극 소재 ,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전극촉매 , 건식개질 기반 수소... energium.kier.re.kr
한번 상상해 보세요. 태양, 파도, 바람 등을 통해 청정에너지를 생산하고, 이차전지에 에너지를 보관한 뒤, 전기자동차에 공급하여 사용하는 과정을요. 표면적으로 봤을 때 이차전지만 있으면 탄소중립이 금세라도 실현될 것 같지 않나요? 하지만 앞서 이야기했듯, ‘이차전지가 정말 친환경인가’라는 의문은 멈추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분명한 건 탄소중립을 이끌어가는 데 핵심기술로 활용되리라는 것인데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을 비롯해 국내외 수많은 연구원들도 이차전지의 생산과정과 폐이차전지 활용에 대한 고민을 지속해 나가는 중입니다. " 더 편리하게 이용하고, 더 오래 달리며, "
[내용 출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움, 구멍 숭숭 그래핀 코팅 기술로 이차전지, 연료전지 내구성 잡았다(2022) 동아일보, 친환경 전기차, 배터리도 친환경일까(2021) 일요신문, 친환경 날개 달고 배터리 시장 고속충전 중(2023) 그린포스트코리아, 친환경 이차전지산업의 ‘역설’(2022) 그린포스트코리아, 에너지 혁신 이끄는 이차전지 기술(2022) |
전체 23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이차전지 #친환경에너지 #친환경기술 #일차전지 #청정에너지 #전기에너지 #전기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풍력에너지 #풍력발전기 #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풍력발전단지 #탐라해상풍력발전소 #정암풍력발전단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겨울 #난방 #보일러 #입동 #난방비절약 #난방방식 #난방종류 #지역난방 #개별난방 #중앙난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독도의날 #메탄하이드레이트 #독도자원 #에너지원 #차세대에너지 #독도가치 #탄소중립 #기후위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슈퍼커패시터 #전기차 #전기차배터리 #전기차충전 #카본블랙 #충전인프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수소 #청정에너지 #친환경에너지 #수소종류 #그린수소 #블루수소 #그레이수소 #알칼라인수전해분리막 #스택평가플랫폼기술 #에너지기술 #탄소중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무탄소에너지 #탈탄소화 #에너지전환 #신재생에너지 #친환경에너지 #RE100 #CF10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태양광에너지 #태양열에너지 #차이점 #빛에너지 #전기에너지 #광전효과 #열에너지 #태양광패널고장 #태양광발전량통합진단시스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농업폐기물 #신재생에너지 #바이오매스 #바이오파이너리 #하이드록시발레르산 #레불린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연구성과
#대기전력 #전자제품 #콘센트 #플러그 #멀티탭 #에너지절약 #전기세절약 #탄소중립 #전기요금고지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번개 #에너지 #천둥번개 #벼락 #번개에너지 #인공번개 #UNIST #마찰전기발전기 #신재생에너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에너지발전 #에너지역사 #태양에너지 #석탄 #석유 #에너지원 #미래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해양 #수력 #수소 #연료전지 #태백석탄박물관 #덕신재생에너지전시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LPG #LNG #석유가스 #천연가스 #액화 #메탄 #친환경연료 #CNG #친환경에너지 #탄소중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패스트패션 #패션산업 #온실가스 #의류폐기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술정책플랫폼 #탄소중립 #KIER
#순환경제 #폐기물 #자원 #에너지 #폐플라스틱 #폐가전 #폐자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탄소중립
#기후위 #기후변화 #토양 #흙 #토양에너지 #탄소중립 #친환경 #탄소저장고 #토양유기탄소 #도시화 #농경지 #토양훼손 #토양오염 #토양정화 #흙의날 #식량안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전기 #폐배터리 #친환경 #교통수단 #전기차배터리 #폐배터리재활용 #배터리재사용 #배터리재활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챗GPT #chatgpt #챗지피티 #인공지능 #에너지 #이제현박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대화형 #챗봇
#코로나19 #플라스틱 #재활용 #분리수거 #열분해유 #포스코인터내셔널 #리사이클링 #바이오플라스틱 #세븐일레븐 #테라블록 #폴리에스테르 #폐플라스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친환경기술 #에너지기술
#친환경 #관광지 #이색관광지 #재생에너지 #풍력발전기 #힐링여행 #경주 #조항산 #사운드오브뮤직 #제주바다 #제주도 #해상풍력발전 #유네스코세계자연유선 #삼다도 #합천댐 #수상태양광 #태양광모듈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친환경기술 #에너지기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