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볕이 따사롭게 내리쬐는 7월, 본격적인 여름이 찾아왔습니다. 올해 장마는 평년보다 더 길게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그만큼 천둥·번개가 시시때때로 세상을 놀라게 하는 경우도 적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가만히 번개가 세상을 번쩍번쩍 밝히고 있는 모습을 보다 보면, 번개의 에너지는 실로 어마어마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로 번개의 전압은 1억에서 10억 볼트, 전류는 수만 암페어에 이르는데요. 그렇다면 번개의 에너지를 실생활에서 전기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요?
천둥, 번개, 벼락은 어떻게 다를까? 먼저 번개는 구름과 구름,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서 공중 전기의 방전이 일어나 만들어진 불꽃을 뜻합니다. 구름 안에는 작은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들어있는데, 이들은 크기에 따라 전기 성질상 음(-)과 양(+)의 전하를 띄는데요. 이들끼리 서로 끌어당기다 충돌하면서 전기가 방출되는데, 이때 하늘에서 전류가 방전되는 현상이 바로 ‘번개’랍니다. 벼락은 하늘에서 땅으로 내리치는 번개로, 구름 아래쪽의 음(-)전하가 지상의 양(+)전하와 만나면서 전류가 흐르는 현상입니다. 벼락의 주변 온도는 약 섭씨 2만 7,000도가량 되며, 전압은 최대 10억 볼트가 됩니다. 이 벼락의 전력량은 100와트 전구 10만 개를 1시간 동안 켤 수 있는 전력량에 달하죠. 그렇다면. 벼락의 에너지를 실제 전기로도 사용할 수 있을까요?
벼락, 전력으로 쓸 수 있을까? 쉽게 말하자면, 벼락을 전력으로 바꾸어 생산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첫째로는 번개는 눈 깜짝할 사이에 빠르게 사라지기 때문에, 꾸준한 전력 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번개의 지속 시간은 100분의 1초 정도로 아주 찰나에 불과하죠. 만일 전력 발전소를 대체하려면 1분에 한 번 이상은 벼락이 쳐야 가능합니다. 두 번째로, 번개를 붙잡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번개의 에너지를 오롯이 포획하기 위해서는 전기 저항이 0에 가까운 초전도 저장 장치가 필요하지만, 이런 저장 장치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벼락이 칠 위치를 예측하기 어렵기에 발전소를 세우기가 어렵습니다. 만약 벼락이 일정한 장소에 치거나 최신 기상 기술로 벼락이 칠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면 해당하는 곳에 발전소를 세울 수 있겠지만, 이는 현재로서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실제 번개가 어렵다면, ‘인공’ 번개는 어떨까? 여기서 한 가지 의문점이 생기는데요. 만약 자연 현상인 번개를 에너지로 활용하기 어렵다면, 인공으로 만든 번개는 어떨까요? 실제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백정민 교수팀은 지난 2016년 번개의 원리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마찰 전기발전기’를 개발한 바 있습니다. 번개 구름에서 전하가 분리되는 원리를 인공적으로 구현, 순간적으로 엄청난 전력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발표하기도 했죠. ▲ 전하 펌프 기반 인공 번개 발전기의 구조도와 모습 (출처:UNIST) 백정민 교수팀은 번개가 만들어질 때 구름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면밀히 분석해 전하가 생성되고, 분리·축적되는 과정을 통해 ‘전하 펌프’라는 새로운 개념을 고안했는데요. 이는 수증기 분자와 얼음처럼 마찰시킬 신소재를 만들고 3층 구조의 마찰·전기 발전기를 만든 것이랍니다. 이 시스템은 외부 전하까지도 마찰 전기 발전기로 퍼 올릴 수 있어 전력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인공 번개 발전기로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에 있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 신비로운 과학 이론이 섞인 자연 현상을 접목하여, "
[참고 자료] https://news.unist.ac.kr/kor/20161006-01/ http://newsteacher.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08/2017080800322.html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51217&cid=40942&categoryId=32240 |
전체 23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이차전지 #친환경에너지 #친환경기술 #일차전지 #청정에너지 #전기에너지 #전기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풍력에너지 #풍력발전기 #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풍력발전단지 #탐라해상풍력발전소 #정암풍력발전단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겨울 #난방 #보일러 #입동 #난방비절약 #난방방식 #난방종류 #지역난방 #개별난방 #중앙난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독도의날 #메탄하이드레이트 #독도자원 #에너지원 #차세대에너지 #독도가치 #탄소중립 #기후위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슈퍼커패시터 #전기차 #전기차배터리 #전기차충전 #카본블랙 #충전인프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수소 #청정에너지 #친환경에너지 #수소종류 #그린수소 #블루수소 #그레이수소 #알칼라인수전해분리막 #스택평가플랫폼기술 #에너지기술 #탄소중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무탄소에너지 #탈탄소화 #에너지전환 #신재생에너지 #친환경에너지 #RE100 #CF10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태양광에너지 #태양열에너지 #차이점 #빛에너지 #전기에너지 #광전효과 #열에너지 #태양광패널고장 #태양광발전량통합진단시스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농업폐기물 #신재생에너지 #바이오매스 #바이오파이너리 #하이드록시발레르산 #레불린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연구성과
#대기전력 #전자제품 #콘센트 #플러그 #멀티탭 #에너지절약 #전기세절약 #탄소중립 #전기요금고지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번개 #에너지 #천둥번개 #벼락 #번개에너지 #인공번개 #UNIST #마찰전기발전기 #신재생에너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에너지발전 #에너지역사 #태양에너지 #석탄 #석유 #에너지원 #미래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해양 #수력 #수소 #연료전지 #태백석탄박물관 #덕신재생에너지전시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LPG #LNG #석유가스 #천연가스 #액화 #메탄 #친환경연료 #CNG #친환경에너지 #탄소중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패스트패션 #패션산업 #온실가스 #의류폐기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술정책플랫폼 #탄소중립 #KIER
#순환경제 #폐기물 #자원 #에너지 #폐플라스틱 #폐가전 #폐자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탄소중립
#기후위 #기후변화 #토양 #흙 #토양에너지 #탄소중립 #친환경 #탄소저장고 #토양유기탄소 #도시화 #농경지 #토양훼손 #토양오염 #토양정화 #흙의날 #식량안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전기 #폐배터리 #친환경 #교통수단 #전기차배터리 #폐배터리재활용 #배터리재사용 #배터리재활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챗GPT #chatgpt #챗지피티 #인공지능 #에너지 #이제현박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대화형 #챗봇
#코로나19 #플라스틱 #재활용 #분리수거 #열분해유 #포스코인터내셔널 #리사이클링 #바이오플라스틱 #세븐일레븐 #테라블록 #폴리에스테르 #폐플라스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친환경기술 #에너지기술
#친환경 #관광지 #이색관광지 #재생에너지 #풍력발전기 #힐링여행 #경주 #조항산 #사운드오브뮤직 #제주바다 #제주도 #해상풍력발전 #유네스코세계자연유선 #삼다도 #합천댐 #수상태양광 #태양광모듈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친환경기술 #에너지기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