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우리는 평평한 땅 위에 집을 짓고, 비옥한 흙에 자란 식물을 먹으며 살아왔습니다. 흙은 인류의 보금자리이자 농업의 근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죠. 이러한 흙이 탄소중립의 열쇠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데요. 기후변화를 막는 탄소 흡입기, 흙에 대해 알아봅시다.
하나의 흙은 인간의 문명을 발달시킨 원동력입니다. 이유는 흙의 어원에서도 드러나는데요. 한자어인 ‘토(土)’는 육상의 식물을 생육하고 있는 상태를 표현한 문자이며, ‘양(壤)’은 덩어리지지 않은 부드러운 흙을 뜻합니다. 그리고 영어인 ‘soil’은 고대 프랑스어와 라틴어 ‘solum’에서 유래한 것으로, 가장 아래에 위치하여 인간의 활동을 받쳐준다는 것을 의미하죠. 많은 고대국가에서는 흙을 물, 공기. 불과 함께 만물의 근원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는데요. 그만큼 인간은 오랫동안 흙 위에 터전을 잡아, 흙을 양분 삼아 자라온 식물들을 먹고, 흙 위아래를 누비던 동물들과 함께 살아왔습니다. 요즘 세계 각국에서는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이상기후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도 마찬가지입니다. 작년 여름 수도권 지역에 쏟아졌던 폭우부터 올해 유독 길어지고 있는 호남지역의 가뭄, 평년에 비해 유독 빨리 폈던 봄꽃까지 몸소 느껴질 정도니까요. 이러한 기후변화에 흙의 새로운 가치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바로 많은 양의 탄소를 저장하는 능력입니다. 흙의 탄소저장 능력, 자세히 들여다볼까요?
거대한 1cm 정도의 흙이 만들어지는 데에는 200~500년 정도 소요되는데요. 지구 나이가 46억 살임을 감안하면 우리가 밟고 있는 흙의 두께가 꽤나 두꺼움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흙에 저장된 탄소량도 굉장히 많겠죠. 그래서 흙을 ‘탄소 저장고’라고도 표현하곤 합니다. 물론 지역, 날씨, 식생분포에 따라 저장 능력은 다르지만 약 2조 5천억 톤의 탄소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죠. 이 양은 공기 중에 떠 있는 탄소량의 3배에 달합니다. * 토양유기탄소(Soil Oraganic Carbon) : 유기체에 의해 생성된 물질의 일부가 분해된 후 토양에 남아있는 탄소
사라져가는 토양, 앞서 말했듯 46억 년이 지난 지구에는 많은 양의 흙이 쌓였습니다. 그러나 의외로 우리 주변에서 흙을 보기가 힘듭니다. 질 또한 많이 떨어졌죠. 이 중심에는 우리, 바로 인간이 있습니다. 흙은 왜 사라졌으며, 오염됐을까요? 사라지고 오염된 흙을 회복하기 위해선 우리가 오염시켰던 기간보다 수십 배, 수백 배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흙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가만히 있을 수 없죠. 토양 유실과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저영향개발 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토양 정화를 위한 생물학적 분해법, 토양경작법, 토양세척법 등 다양한 기술을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답니다. 한국에너기술연구원에서도 폐비닐로 고품질 오일을 제조하고, 유용미생물을 이용해 악취 및 토양‧수질 등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며 탄소중립에 다가갈 수 있는 한 걸음을 보탰습니다.
많은 양의 박테리아와 균, 다양한 연체동물과 절지동물, 식물의 내린 뿌리까지. 흙 한 줌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많은 것이 담겨있습니다. 한편에는 오랜 역사가 잠들어있기도 하죠. 정부에서는 작은 우주와 같은 흙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3월 11일을 ‘흙의 날’로 제정하기도 했습니다. 기후위기 극복, 우리에게는 아직 기회가 있습니다. 우리 ‘땅’에 희망이 있습니다. 흙이 선물하는 ‘탄소중립’, ‘생명유지’, ‘식량안보’ 세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내용 출처] 환경부, 우리토양의 재발견, 2016.7. 에너지기술연구원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energium/222350739976 사이언스타임즈,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501479&memberNo=30120665&vType=VERTICAL 농림축산식품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8oILEX-7oG4&t=4s 농촌진흥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Hej6bsI1xdk |
전체 23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이차전지 #친환경에너지 #친환경기술 #일차전지 #청정에너지 #전기에너지 #전기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풍력에너지 #풍력발전기 #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풍력발전단지 #탐라해상풍력발전소 #정암풍력발전단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겨울 #난방 #보일러 #입동 #난방비절약 #난방방식 #난방종류 #지역난방 #개별난방 #중앙난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독도의날 #메탄하이드레이트 #독도자원 #에너지원 #차세대에너지 #독도가치 #탄소중립 #기후위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슈퍼커패시터 #전기차 #전기차배터리 #전기차충전 #카본블랙 #충전인프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수소 #청정에너지 #친환경에너지 #수소종류 #그린수소 #블루수소 #그레이수소 #알칼라인수전해분리막 #스택평가플랫폼기술 #에너지기술 #탄소중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무탄소에너지 #탈탄소화 #에너지전환 #신재생에너지 #친환경에너지 #RE100 #CF10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태양광에너지 #태양열에너지 #차이점 #빛에너지 #전기에너지 #광전효과 #열에너지 #태양광패널고장 #태양광발전량통합진단시스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농업폐기물 #신재생에너지 #바이오매스 #바이오파이너리 #하이드록시발레르산 #레불린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연구성과
#대기전력 #전자제품 #콘센트 #플러그 #멀티탭 #에너지절약 #전기세절약 #탄소중립 #전기요금고지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번개 #에너지 #천둥번개 #벼락 #번개에너지 #인공번개 #UNIST #마찰전기발전기 #신재생에너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에너지발전 #에너지역사 #태양에너지 #석탄 #석유 #에너지원 #미래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해양 #수력 #수소 #연료전지 #태백석탄박물관 #덕신재생에너지전시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LPG #LNG #석유가스 #천연가스 #액화 #메탄 #친환경연료 #CNG #친환경에너지 #탄소중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패스트패션 #패션산업 #온실가스 #의류폐기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술정책플랫폼 #탄소중립 #KIER
#순환경제 #폐기물 #자원 #에너지 #폐플라스틱 #폐가전 #폐자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탄소중립
#기후위 #기후변화 #토양 #흙 #토양에너지 #탄소중립 #친환경 #탄소저장고 #토양유기탄소 #도시화 #농경지 #토양훼손 #토양오염 #토양정화 #흙의날 #식량안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전기 #폐배터리 #친환경 #교통수단 #전기차배터리 #폐배터리재활용 #배터리재사용 #배터리재활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챗GPT #chatgpt #챗지피티 #인공지능 #에너지 #이제현박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대화형 #챗봇
#코로나19 #플라스틱 #재활용 #분리수거 #열분해유 #포스코인터내셔널 #리사이클링 #바이오플라스틱 #세븐일레븐 #테라블록 #폴리에스테르 #폐플라스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친환경기술 #에너지기술
#친환경 #관광지 #이색관광지 #재생에너지 #풍력발전기 #힐링여행 #경주 #조항산 #사운드오브뮤직 #제주바다 #제주도 #해상풍력발전 #유네스코세계자연유선 #삼다도 #합천댐 #수상태양광 #태양광모듈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친환경기술 #에너지기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