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200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독도 영토 주장 분쟁, 이유는? 우리나라 동쪽 끝에 우뚝 솟아 있는 견고한 화산섬 독도. 동도와 서도 그리고 89개의 부속도로서 이루어진 독도는 다른 섬에 비해 작은 덩치임에도 60여 종의 식물, 130여 종의 곤충, 160여 종의 곤충, 다양한 해양생물이 활보하는 생명의 터전입니다. 동해안에 날아드는 철새들이 중간에 쉬다 갈 수 있는 중간 기착지이기도 하고요. 때문에 독도는 보존가치를 인정받아 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자연 생태계의 보고이자 아름다운 땅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입법‧행정‧사법적으로나 명백히 우리 땅입니다. 그런데 일본은 도발과 잘못된 교육을 계속해나가며 독도를 탐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본 몇몇 교과서에서는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했다죠. 이렇게 일본이 독도를 욕심부리는 이유에는 △영토(영공, 영해) 확장을 결정 짓은 요인이라는 점, △난류와 한류가 교차하는 위치 덕에 해양생물이 풍부하다는 점 등 다양한 의견이 있는데요. 여기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독도 지하에 매장된 풍부한 자원’으로 추정되고 있죠. 도대체 어떤 자원이 숨어 있을까요?
우리 영해에 잠든 차세대 에너지 메탄 하이드레이트 출처 : NTNU 제공 독도가 품은 보물이자 미래 에너지로 각광받는 자원은 ‘메탄 하이드레이트’입니다. 과거 생명을 다한 어패류들이 해저에 겹겹이 쌓여 메탄가스를 발생시키고, 깊은 바다의 수압에 눌린 메탄가스가 낮은 온도의 바닷물과 결합해 만들어진 고체 에너지원을 말하는데요. 불탈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양이 다른 화석연료 연소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보다 월등히 낮은 데다, 에너지 효율도 좋아 차세대 에너지로 주목받죠. 일부 지역에 편중된 것이 아니라 지구촌 곳곳, 광범위하게 매장되었으며, 그 양도 인류가 500여 년간 사용할 정도로 풍부하다 장점도 있습니다. ‘불타는 얼음’ 가스 하이드레이트 매장 지도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생긴 것만 보면 냉동식품 택배 상자에서 받아볼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같기도, 수북이 쌓인 눈을 모아 만든 눈 뭉치 같기도 합니다. 불을 붙이면 활활 타오르는 걸 보면 분명히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지만요. 이러한 모습 때문에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불타는 얼음’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답니다.
현재,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수천 년의 시간 동안 유기체의 사체가 바다에 쌓이고 쌓여 만들어진 메탄 하이드레이트. 바닷속에 꼭꼭 숨겨진 이 자원은 1810년 영국 화학자인 험프리 데이비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자원이 풍부했기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죠. 물론 지금은 상황이 다르지만요. 자원 고갈에 대한 지구촌의 목소리가 커진 20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관심의 불꽃이 튀기 시작했습니다. 2002년 미국 오리건주 앞바다에서 채굴된 메탄 하이드레이트 그리고 2007년, 산업통상부가 주관하고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공동 출연한 ‘메탄 하이드레이트 개발사업단’이 울릉분지 해저층에서 메탄 하이드레이트를 발견했습니다. 자원빈국이자 에너지의 93% 이상을 해외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좋은 기회의 발판이 마련된 셈인데요. 그런데 아직까지 실생활에 메탄 하이드레이트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려오지 않고 있습니다. 개발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추하는 데 있어서 많은 위험이 산재해 있기 때문이죠. 아직까지 메탄 하이드레이트를 추출하기엔 기술적으로 갈 길이 멀고, 다양한 위험요소도 산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안정적인 기술이 확보된다면 우리나라의 보물로서 그 가치를 증명할 테죠. 휘발유, 경유, LPG 등처럼 메탄 하이드레이트를 일상에서도 손쉽게 볼 수 있는 날이 빠르게 다가왔으면 좋겠네요. " 독도에는 메탄 하이드레이트 외에도 첨단산업의 핵심 금속 중 하나인 "
[내용 출처] 세계일보, 독도 에너지개발 성공하려면(2005) 외교부, 한국의 아름다운 섬 독도 K-공감누리집, 불 끄는 얼음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진화 독도재단, 에너지의 미래가 독도에 있다, https://blog.naver.com/dokdojd/221575119346 원자력안전위원회, 독도는 보물섬?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602748&memberNo=12091100&vType=VERTICAL |
전체 23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이차전지 #친환경에너지 #친환경기술 #일차전지 #청정에너지 #전기에너지 #전기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풍력에너지 #풍력발전기 #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풍력발전단지 #탐라해상풍력발전소 #정암풍력발전단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겨울 #난방 #보일러 #입동 #난방비절약 #난방방식 #난방종류 #지역난방 #개별난방 #중앙난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독도의날 #메탄하이드레이트 #독도자원 #에너지원 #차세대에너지 #독도가치 #탄소중립 #기후위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슈퍼커패시터 #전기차 #전기차배터리 #전기차충전 #카본블랙 #충전인프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수소 #청정에너지 #친환경에너지 #수소종류 #그린수소 #블루수소 #그레이수소 #알칼라인수전해분리막 #스택평가플랫폼기술 #에너지기술 #탄소중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무탄소에너지 #탈탄소화 #에너지전환 #신재생에너지 #친환경에너지 #RE100 #CF10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태양광에너지 #태양열에너지 #차이점 #빛에너지 #전기에너지 #광전효과 #열에너지 #태양광패널고장 #태양광발전량통합진단시스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농업폐기물 #신재생에너지 #바이오매스 #바이오파이너리 #하이드록시발레르산 #레불린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연구성과
#대기전력 #전자제품 #콘센트 #플러그 #멀티탭 #에너지절약 #전기세절약 #탄소중립 #전기요금고지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번개 #에너지 #천둥번개 #벼락 #번개에너지 #인공번개 #UNIST #마찰전기발전기 #신재생에너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에너지발전 #에너지역사 #태양에너지 #석탄 #석유 #에너지원 #미래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해양 #수력 #수소 #연료전지 #태백석탄박물관 #덕신재생에너지전시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LPG #LNG #석유가스 #천연가스 #액화 #메탄 #친환경연료 #CNG #친환경에너지 #탄소중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패스트패션 #패션산업 #온실가스 #의류폐기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술정책플랫폼 #탄소중립 #KIER
#순환경제 #폐기물 #자원 #에너지 #폐플라스틱 #폐가전 #폐자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탄소중립
#기후위 #기후변화 #토양 #흙 #토양에너지 #탄소중립 #친환경 #탄소저장고 #토양유기탄소 #도시화 #농경지 #토양훼손 #토양오염 #토양정화 #흙의날 #식량안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전기 #폐배터리 #친환경 #교통수단 #전기차배터리 #폐배터리재활용 #배터리재사용 #배터리재활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챗GPT #chatgpt #챗지피티 #인공지능 #에너지 #이제현박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대화형 #챗봇
#코로나19 #플라스틱 #재활용 #분리수거 #열분해유 #포스코인터내셔널 #리사이클링 #바이오플라스틱 #세븐일레븐 #테라블록 #폴리에스테르 #폐플라스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친환경기술 #에너지기술
#친환경 #관광지 #이색관광지 #재생에너지 #풍력발전기 #힐링여행 #경주 #조항산 #사운드오브뮤직 #제주바다 #제주도 #해상풍력발전 #유네스코세계자연유선 #삼다도 #합천댐 #수상태양광 #태양광모듈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친환경기술 #에너지기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