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재생에너지사업 보급률 약 2.2%, 신재생에너지 활용 수준이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의 활용 수준에 비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국내 신재생에너지 자원정보를 손쉽게 검색하고 잠재량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시스템 : http://kredc.kier.re.kr』개발에 성공해 지난 26일(월), 실제적인 활용성능 평가를 위한 시연회를 연구원내에서 가졌다.
▷ 자원지도 : 전국적인 자원 분포 현황을 디지털지도 형태로 표기하여 해당지점에 대한
자원 효율성 분석과 활용설비 제작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번에 만든 신재생에너지자원지도는
태양에너지는 전국 16개 측정지점에서 1982-2005년까지, 풍력에너지는
전국 78개 측정지점에서 1995-2006년까지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했다.
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본부 강용혁 박사 연구팀은 산업자원부와 에너지관리공단의 지원을 받아 지난 2년간 태양, 풍력, 소수력, 바이오매스, 지열의 5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자원지도 시스템을 구축해왔으며 그 동안 각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표준데이터를 확보했다. 또한 도처에 산재되어 있던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정보 부재로 어려움을 겪었던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강용혁 박사는 “자원지도 구축 사업을 통해 나타난 국내 신재생에너지 총 가용 잠재량은 39억 TOE(석유환산톤)로 추정되어지며, 1%만 활용되더라도 국내 총에너지 소비의 20% 가량을 담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시연회를 통해, 국내 태양에너지는 중서부 남해안 지방과 태안반도 일대가 전국에서 가장 발전효율이 좋은 곳으로 나타났으며, 대기 오염이 심각한 서울 등 대도시지역과 밀집된 공단지역에서는 낮은 대기투과율로 인해 태양에너지 효율이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풍력의 경우, 강원도 산간지역과 제주도 일대가 상당히 높은 에너지 효율을 보이고 있으며, 내륙보다는 해안지역에서 보다 많은 풍력발전 최적지가 도출됐다. 이밖에도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바이오매스 분야와 소수력, 지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에 시범 실시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에서는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기본 측정데이터를 연도별로 직접 검색할 수 있으며 분포 주제도를 작성하여 해당 지점의 에너지 경제성 평가를 위한 예비조사가 가능하다.
앞으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중장기전략에 의해 지속적인 자원 조사와 품질향상연구를 실시해 에너지원별 정밀 자원지도를 제작할 예정이며 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단계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전체 999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2008.01.04 | 44,447 | |
2008.01.04 | 43,836 | |
2008.01.04 | 44,812 | |
2007.12.31 | 45,082 | |
2007.12.26 | 46,203 | |
2007.12.13 | 43,501 | |
2007.12.13 | 44,769 | |
2007.12.13 | 43,696 | |
2007.12.13 | 45,307 | |
2007.12.13 | 44,217 | |
2007.12.13 | 44,900 | |
2007.12.13 | 43,551 | |
2007.12.13 | 45,657 | |
2007.12.13 | 43,563 | |
2007.11.29 | 43,726 | |
2007.11.22 | 56,492 | |
2007.11.22 | 56,051 | |
2007.11.22 | 44,404 | |
2007.11.16 | 43,842 | |
2007.11.09 | 44,2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