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가스신문] (인터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희연 박사 “촉매원천기술로 탄소중립 앞당길 터”

  • 작성일 2022.06.16
  • 조회수 122284

수소경제와 탄소중립 사회의 실현을 위해서는 촉매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 근무하는 김희연 박사는 지난 96년부터 27년째 촉매를 연구하고 있다. 경유의 심도탈황 촉매 개발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04년 연구원에 입사하여 연료전지나 수소제조공정, 온실가스 전환공정 등에 적용하기 위한 촉매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촉매 전문가인 김 박사는 고온에너지전환연구실 소속으로, 고온수전해, 고온연료전지 시스템의 전극 소재,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전극촉매, 건식개질 기반 수소제조용 촉매, 이차전지 전극 소재 등을 연구한다.

 

촉매는 자신은 변하지 않으면서 화학반응의 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인데,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의 가동을 위해서는 백금 촉매가 사용된다.

 

연료전지 전극에 사용되는 백금은 귀금속으로 가격이 비싼데, 운전 중 촉매의 비활성화가 발생해 연료전지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료전지 촉매 개발에서 가장 큰 이슈는 최소량의 백금 사용으로 높은 성능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김희연 박사는 촉매의 내구성 저하 문제를 새로운 촉매 구조의 도입을 통해 해결했다. 백금의 지지체로만 사용되던 탄소를 백금의 표면에도 적용한 것이다. 백금 촉매의 보호를 위해, 높은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에너지 소재로 각광받는 그래핀 껍질을 도입했다. 촉매 표면에서의 반응을 위해 매끈하고 완벽한 그래핀 대신 구멍이 숭숭 뚫린 그래핀을 적용했다.

 

세계 최초로 개발되어 국내외 특허 등록을 완료한 다공성 그래핀 코팅 기술은 최근 액트로에 기술이전 되었다.

 

“2010년 초에 자체연구를 통해 최초로 그래핀 합성 기술을 개발한 후, 2014년부터 연구원 기본사업 지원으로 다공성 그래핀 코팅 촉매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최초에 6년차 과제로 협약되어 초기 3년 동안 연차평가에서 매번 최우수 등급을 받았던 과제가 연구원 사정으로 인해 갑자기 지원 중단되었습니다. 3년간의 추가 연구를 통해 기술사업화까지 계획하고 있었던 과제였기에, 매우 당황스러웠습니다. 그럼에도, 당시 개발된 기술과 특허의 중요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연구원 내·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국내외 기술마케팅 지원을 받을 수 있었고, 이러한 기회를 바탕으로 기술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가 개발한 다공성 그래핀 코팅 기술은 일반적인 관점을 벗어나는 것이었다.

 

구멍이 많은 그래핀을 백금 촉매에 코팅하면, 그래핀층 내부에 형성된 나노 크기 구멍으로 가스와 이온이 전달되어 촉매반응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백금의 용해나 탈락, 응집과 같은 비활성화를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효과로 그래핀 코팅 촉매는 비코팅 촉매 대비 내구성이 최소 2배 이상 향상될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의 한 대기업에도 기술이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김 박사는 현재 온실가스를 이용해 수소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 온실가스인 메탄(CH)과 이산화탄소(CO)를 반응물로 이용하여 수소를 합성하는 건식개질 공정의 상용화를 위해, coking-free(탄소침적에 의한 비활성화를 억제) 촉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촉매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기사원문링크 : http://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431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5/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신연소 발전·수소에너지 등 청정·고효율 기술개발에 주력고순도 수소생산유니트 국산화···수전해기술 특허출원 1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전 본원 전경]…
2022.01.14
[박상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계산과학연구실 선임연구원]4차 산업혁명은 실제와 가상의 결합으로 사물을 자동적·지능적으로 제어하는 가상 물리 시스템 구현…
2022.01.10
[김두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폐플라스틱이 잘게 쪼개진 형태인 '미세 플라스틱'은 바다로 흘러가 해양 생태계와 우리 식탁을 위협한다. 국제 연구…
2021.12.27
[인터뷰]김동석 에너지연 울산분원 센터장타전공·10여년 사무직, 셀 1만번 이상 만들어"빛 받을수록 떨어지는 효율 해결···과학자 사명"김동석 센터장은 1972년…
2021.12.15
▲양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본부장[투데이에너지] 수소는 순환주기가 매우 짧고 고갈의 염려가 없으며 기후 변화 및 대기오염 등의 환경문제…
2021.12.14
이번주는 정부 부처와 지자체가 합동으로 운영하는 ‘탄소중립 주간’이다. 2050 탄소중립 선언 1주년을 맞아 시민이 함께하는 소통의 장으로 마련한 것이다.   …
2021.12.13
[탄소중립을 말하다] ③ 탄소중립을 위한 우리의 기술, 어디까지 왔나 기후위기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면서 ‘탄소중립’이 전 지구적 과제로 떠올랐다. 어느 국…
2021.12.02
수소를 전기로 변환하는 연료전지로화석연료보다 활용도·효용성 훨씬 커국내연구진 성능 2배·내구성 5배 높인코어-셀 구조 전극촉매 원천기술 확보한국에너지기…
2021.12.02
올해 여성과학기술인상 수상2005년부터 연구원에서 근무   17년간 수소연료전지 매진연료전지 기술이전도 담당“연료전지 분야에만 17년 이상 연구하며, 한 길…
2021.12.01
[인터뷰] 2021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인상 산업부문 수상자김민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발전용 연료전지 기술 100% 국산화기업 기술이전에도 힘써동…
2021.11.22
지구의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한국 등 세계 137개국은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며 법제화를 마친 나라도 있다. 우리나라는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등 …
2021.11.17
재생에너지 보급과 확산, 분산자원 활용으로 점점 커지는 에너지 수급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
2021.11.15
[이재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EP융합연구단 단장]지난달 18일 개최된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는 2050탄소중립 시나리오안과 2030 국가 온실…
2021.11.10
2일 2021 대구·경북 그랜드포럼서 무탄소 발전 역설원자력 감축 및 태양광·풍력 발전은 세계적 추세 강조‘2021 대구·경북 그랜드포럼’이 ‘탄소중립시대, 대구·…
2021.11.05
에너지연, 암모니아에서 순도 99.9% '그린수소' 생산기계연, 플라즈마+재생에너지로 무탄소 암모니아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그린수소. 하지만 국내…
2021.10.28
정부는 27일 국무회의에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심의·확정했다.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량 ‘0’을 목표로 지난해 …
2021.10.28
유럽 대비 늦게 시작한 만큼 기술 시차 있어…정부 적극 투자 필요  ▲조원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본부 수소연구단장.(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
2021.09.28
■ 조원철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장대한민국 과학을 이끌어가는 과학자들의 연구와 삶을 들여다보며 그들을 응원하는 여든 여섯 번째 주인공! 조원…
2021.09.23
탄소중립위원회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이 발표된 이래 각계각층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회에서는 지난달 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
2021.09.16
[2050년 탄소중립 실현과 태양광 혁신기술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태양광연구단 윤재호 단장. 위 장비는 롤투롤 스퍼터링 시스템…
2021.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