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전자신문] 재생에너지 수급 불확실성 해소한다...에너지연, 분산자원 관리플랫폼과 라우터 기술 개발

  • 작성일 2021.11.15
  • 조회수 11530

재생에너지 보급과 확산, 분산자원 활용으로 점점 커지는 에너지 수급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오세승 에너지ICT융합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이를 위한 분산자원 관리 플랫폼과 전력조류 제어를 위한 양방향 전력전달 에너지 라우터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기존 전력시스템은 경제적 또는 기술적인 이유로 수요를 예측해 발전량을 설정하는 방법을 쓰는데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 등 재생에너지 확산으로 변수가 커지게 됐다. 제주도는 다수 민간 사업자가 각지에 발전설비를 두고 전력을 생산, 한국전력(한전)에 판매하기도 한다. 그러나 태양과 바람은 환경에 큰 영향을 받아 발전량이 시시각각 달라진다. 전력계통 불균형을 막기 위해 생산 전력을 수용하지 못하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오세승 단장이 분산자원 관리플랫폼 및 라우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분산자원 관리 플랫폼은 생산 전력량이 늘어날 때 이에 맞춰 전력 수요를 늘리는 원리로 불확실성을 해소한다. 기존에도 제주도에는 올초 시작한 '플러스DR' 같이 하루 전 전력량을 예측하고 남는 부분을 더 저렴하게 쓸 수 있도록 사용자 입찰시스템이 있었다. 에너지연의 새로운 시스템은 여기에 실시간성을 더했다. 추가 전력이 발생하는 즉시 이를 이용자에게 주선하는 식으로 실시간 예측 및 제어가 가능하다.

 

전력조류 제어를 위한 양방향 전력전달 에너지 라우터 기술은 양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가 과생산 될 때 전력계통에 생기는 과전압 문제를 막는다.

 

분산자원 관리 플랫폼과 전력조류 제어를 위한 양방향 전력전달 에너지 라우터 기술은 상호 연동되는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에 해당한다. 플랫폼으로 에너지 수급 전반적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생기면 라우터로 전력을 돌릴 수 있다.

 

오세승 단장은 기반 기술은 갖췄고 내년까지 랩 스케일에서 시스템 시작품 제작을 마칠 계획이라며 지자체와 협력해 곧 실증도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기사원문링크 : https://www.etnews.com/20211112000049

Print Back

페이지 5/14

전체 27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지구의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한국 등 세계 137개국은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며 법제화를 마친 나라도 있다. 우리나라는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등 …
2021.11.17
재생에너지 보급과 확산, 분산자원 활용으로 점점 커지는 에너지 수급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
2021.11.15
[이재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EP융합연구단 단장]지난달 18일 개최된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는 2050탄소중립 시나리오안과 2030 국가 온실…
2021.11.10
2일 2021 대구·경북 그랜드포럼서 무탄소 발전 역설원자력 감축 및 태양광·풍력 발전은 세계적 추세 강조‘2021 대구·경북 그랜드포럼’이 ‘탄소중립시대, 대구·…
2021.11.05
에너지연, 암모니아에서 순도 99.9% '그린수소' 생산기계연, 플라즈마+재생에너지로 무탄소 암모니아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그린수소. 하지만 국내…
2021.10.28
정부는 27일 국무회의에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심의·확정했다.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량 ‘0’을 목표로 지난해 …
2021.10.28
유럽 대비 늦게 시작한 만큼 기술 시차 있어…정부 적극 투자 필요  ▲조원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본부 수소연구단장.(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
2021.09.28
■ 조원철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장대한민국 과학을 이끌어가는 과학자들의 연구와 삶을 들여다보며 그들을 응원하는 여든 여섯 번째 주인공! 조원…
2021.09.23
탄소중립위원회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이 발표된 이래 각계각층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회에서는 지난달 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
2021.09.16
[2050년 탄소중립 실현과 태양광 혁신기술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태양광연구단 윤재호 단장. 위 장비는 롤투롤 스퍼터링 시스템…
2021.09.16
[우중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장]초강력 폭우·홍수·폭염·산불 등 이상기후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서유럽에…
2021.09.06
- 탄소중립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전기와 다른 특성인 ‘수소’ 개발 절실- 국내 청정 수소 공급 기반이 될 그린수소, 추출수소 생산 필요2050년 탄소중립과 수…
2021.09.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곽지혜 재생에너지연구소장발전부문 고효율 태양전지 필요탄소포집기술, 효율 극대화해야   [헤럴드경제=이상섭 기자] 26일 세종특별자…
2021.08.30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이 한층 더 구체화하면서 태양광발전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
2021.08.30
[SOS 대한민국 ⑥]과학기술로 대응하는 기후변화해양 에너지 천혜 입지···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생산'빅데이터로 풍력 발전기 실시간 모니터링 '정확도 95%'…
2021.08.23
[주영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몇해 전 서울대 이정동 교수의 '축적의 시간'이라는 강연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현장에 적용 가능한 완성도 …
2021.08.10
수송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30년 독일·덴마크·스웨덴 등에 이어 영국·중국 등도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를 선언했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전 …
2021.08.05
[제주 월정 해상풍력실증연구단지 전경][전남매일=길용현 기자]지난 6월 18일 찾은 제주 구좌읍 월정리 해변. 바다 가운데 우뚝 솟아있는 풍력발전기가 눈에 띄…
2021.08.04
[우상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해양융복합연구팀 선임연구원]인류 역사는 에너지와 함께한다. 인류는 약 260만 년 전부터 불로 음식을 조리하고 토기를 구웠으…
2021.08.02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실현 공언,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제시한 중국, 우리나라의 탄소…
202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