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이투데이] 조원철 에기연 수소연구단장 “㎿급 그린수소 기술, 2030년까지 100% 국산화”

  • 작성일 2021.09.28
  • 조회수 12545

유럽 대비 늦게 시작한 만큼 기술 시차 있어정부 적극 투자 필요

 

조원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본부 수소연구단장.

(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그린수소는 상용화 기술 개발 단계에 있으며 2030년까지 100% 국산화가 목표입니다.”

 

조원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장은 최근 이투데이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1977년 설립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기연)은 기후변화 위기 극복을 위한 에너지기술을 개발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우리나라 에너지기술 개발의 산실이자 최고의 전문 연구기관으로도 꼽힌다.

 

수소사업은 탈탄소 시대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힐 만큼 잠재력이 높다. 최근 현대자동차그룹, SK그룹 등 15개 주요 그룹 및 기업 CEO도 수소기업협의체(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를 만들며 미래 성장 동력으로 수소산업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본부 내 수소연구단은 수소의 생산과 저장 기술에 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에기연은 현장생산형(On-Site) 고순도 수소생산유닛100% 국산화에 성공하기도 했다. 도시가스 파이프라인을 연결만 하면 바로 99.999% 이상의 고순도 수소를 저렴하게 생산 및 공급하는 기술로 초기 수소경제로 가는 핵심 기술이다.

 

그러나 수소가 진정한 탄소중립 수단으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현재 쓰이는 부생수소가 아닌 그린수소의 상용화가 중요하다. 부생수소가 이산화탄소를 발생하는 것과 달리 그린수소는 물과 바이오가스로 만들어져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제로(0)’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그린수소 개발 단계에 대해 조원철 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장은 원천 기술은 현재 세계적인 수준에 근접했다라면서 원천 기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상용화 기술이 성공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그린수소 상용화 기술이 현재 개발 단계에 있고 국내 (메가와트)급 기술을 조기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2025~2026년을 1차 타깃으로 잡고 2030년까지 외국 기술을 완벽하게 추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지리적인 여건이 불리하고 생산저장운송 등 영역은 뒤처져 산업생태계의 균형 있는 발전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조 단장은 현재 우리나라가 수소 산업 대부분이 활용 분야에 집중돼 생산 분야에서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의 투자는 주로 수소 이용의 연료전지에 치중해있다라면서 생산 기술 중 재생에너지 기반 기술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것이 2018년 이후에 시작돼 2010년 초에 시작된 해외와 비교해 늦다고 설명했다.

 

또 그린수소 생산에 필요한 재생에너지 보급이 미진한 상황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수전해 방식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면 탄소를 배출하지 않지만 이를 위해서는 전기에너지를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얻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조 단장은 우리나라는 외국과 비교하면 재생에너지 보급률이 초창기 수준이라면서 독일의 경우 이미 전체 전기 생산의 35% 이상이 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있는 등 보급 수준 자체가 다르다고 말했다.

 

조 단장은 수소 산업이 아직 도입 단계인 만큼 시장 선점을 위해 정부의 투자를 당부했다.

 

그는 수소산업을 비롯한 친환경 에너지 사업이 산업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은 기술적 발전이 필요한 시기라면서 선점을 위해서는 국가 주도의 연구개발(R&D) 투자와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럽은 수소 사업을 10년 전부터 꾸준하게 준비를 해왔지만, 우리나라와 기업은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인 만큼 시차가 발생하고 있다라면서 “2030년에 그리고 있는 청사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할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기사원문링크 : https://www.etoday.co.kr/news/view/2064085

Print Back

페이지 5/14

전체 270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정부는 27일 국무회의에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심의·확정했다.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량 ‘0’을 목표로 지난해 …
2021.10.28
유럽 대비 늦게 시작한 만큼 기술 시차 있어…정부 적극 투자 필요  ▲조원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본부 수소연구단장.(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
2021.09.28
■ 조원철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장대한민국 과학을 이끌어가는 과학자들의 연구와 삶을 들여다보며 그들을 응원하는 여든 여섯 번째 주인공! 조원…
2021.09.23
탄소중립위원회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이 발표된 이래 각계각층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회에서는 지난달 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
2021.09.16
[2050년 탄소중립 실현과 태양광 혁신기술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태양광연구단 윤재호 단장. 위 장비는 롤투롤 스퍼터링 시스템…
2021.09.16
[우중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장]초강력 폭우·홍수·폭염·산불 등 이상기후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서유럽에…
2021.09.06
- 탄소중립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전기와 다른 특성인 ‘수소’ 개발 절실- 국내 청정 수소 공급 기반이 될 그린수소, 추출수소 생산 필요2050년 탄소중립과 수…
2021.09.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곽지혜 재생에너지연구소장발전부문 고효율 태양전지 필요탄소포집기술, 효율 극대화해야   [헤럴드경제=이상섭 기자] 26일 세종특별자…
2021.08.30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이 한층 더 구체화하면서 태양광발전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
2021.08.30
[SOS 대한민국 ⑥]과학기술로 대응하는 기후변화해양 에너지 천혜 입지···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생산'빅데이터로 풍력 발전기 실시간 모니터링 '정확도 95%'…
2021.08.23
[주영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몇해 전 서울대 이정동 교수의 '축적의 시간'이라는 강연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현장에 적용 가능한 완성도 …
2021.08.10
수송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30년 독일·덴마크·스웨덴 등에 이어 영국·중국 등도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를 선언했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전 …
2021.08.05
[제주 월정 해상풍력실증연구단지 전경][전남매일=길용현 기자]지난 6월 18일 찾은 제주 구좌읍 월정리 해변. 바다 가운데 우뚝 솟아있는 풍력발전기가 눈에 띄…
2021.08.04
[우상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해양융복합연구팀 선임연구원]인류 역사는 에너지와 함께한다. 인류는 약 260만 년 전부터 불로 음식을 조리하고 토기를 구웠으…
2021.08.02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실현 공언,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제시한 중국, 우리나라의 탄소…
2021.07.27
[탄소중립! 세상이 숨쉬다 ⑰]에너지연 백일현 박사팀 메탄 이산화탄소 분리·불순물 정제 핵심 기술 개발 황화수소 흡수능 320% ···흡착능 533% 업그레이드   …
2021.07.16
29억원 투입해 중소기업 긴급 수요기술 지원전문가 매칭 밀착지원으로 14개 개별 지원사업 모두 성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이 코로나19 장기…
2021.07.12
기후위기 문제에 진지한 경우라면 1992년 기후변화협약 이후 2015년 파리협정을 거쳐 그 목표에 대한 과학적 근거까지 마련한 2018년 ‘지구온난화 1.5℃ 특별보…
2021.06.24
[1] 수소연료전지 소재 연구단현대차 부품 99% 국산화됐지만화학반응 위한 핵심부품은 외국산소재연구단, 선박·드론·발전소 등연료전지까지 적용할 MEA 개발중…
2021.06.22
[양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본부장][투데이에너지] 정부가 수소경제로드맵 2.0을 수립하면서 수소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를 하고…
2021.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