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울산제일일보-제2회 울산 수소산업의 날 특별기고②] 수소분야의 연구개발 과제

  • 작성일 2021.02.24
  • 조회수 21411

백동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책임연구위원


요즘 출퇴근길에 연구소에서 가까운 남구 옥동 수소충전소를 매일 지나다니며 눈여겨보는 것이 있어 즐겁다. 수소충전소에서 세계 최고의 수소전지차인 넥쏘(NEXO)에 수소를 충전하는 모습을 보며 이미 수소경제 시대가 시작되고 있음을 실감한다.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차를 양산, 출시한 지 벌써 8년이나 되어 도심의 도로를 지나다니는 수소전기차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세계 최고 기술력과 세계 최다 보급량을 달성한 우리의 수소전기차가 새삼 자랑스럽다.

 

수소산업은 수소의 생산, 운송, 저장 및 활용 등 다양한 분야로 이루어진다. 수소산업은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42만명의 고용창출과 43조원의 경제효과가 있다고 정부가 밝힌 바 있다. 수소생산 방식은 크게 부생수소, 추출수소 및 수전해수소 방식으로 구분한다. (해상)풍력 또는 대규모 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그린수소 생산용 수전해 기술, P2G(Power to Gas) 기술도 시급히 개발해야 한다. 최근 MW급 재생에너지 연계 실증을 추진하고 있지만 수전해 효율을 55%에서 70%까지 높이고 수전해 시스템의 전력소비량을 50kWh/kg-H2 이하로 달성하면서 부하 변동에 대응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추출수소 분야에서는 기존의 천연가스 개질 수소 생산 외에 하수슬러지와 생활폐기물 등을 활용한 바이오매스 수소 생산과 해양미생물을 이용한 청정수소 생산기술의 연구개발도 필요하다.

 

수소 생산 기술과 더불어 수소를 운송저장하는 기술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안정적이고 경제성 있는 수소 유통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수소를 고압기체, 액체 및 고체 등으로 저장하는 다양하고 효율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수소 이송 방식은 크게 튜브트레일러 방식과 배관망(파이프라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압수소 튜브트레일러는 기존의 200bar에서 450bar 이상으로 높인 기술을 실증하는 중이지만 경제성 확보를 위해서는 700bar 이상의 튜브 활용도 필요하다. 액체로 저장하면 추가비용이 들지만 기체 대비 부피가 1/800로 작아지고 운송비용도 1/10 수준으로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액화 플랜트 및 액화 탱크, 펌프, 밸브 등의 국산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에 이미 설치된 총 200km의 수소배관 중에서 울산에는 120km가 석유화학단지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금속배관 소재 수소 취성으로 인해 공급 압력을 약 20bar 이상으로 높이기 어려운 실정이다. 100bar 이상의 비금속 복합소재 배관이 미국의 에너지부와 독일 등 유럽연합에서 실증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고압의 수소를 다량 안전하게 이송하는 새로운 비금속 소재와 배관 개발 및 실증 기술도 중요하다. 최근 울산에서는 국내 최초로 수소배관과 연결한 수소충전소도 준공해 새로운 수소충전소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표적인 수소 활용 분야는 모빌리티 분야로 수소 전기차, 택시, 버스, 트럭, 건설기계, 트램 및 드론이 가장 파급력 있게 적용될 것이다. 수소전기차 핵심부품의 99%를 국산화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스택의 막/전극접합체(MEA), 수소저장장치 고압용기 등에서는 부품 소재의 국산화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 수소전기차 보급과 대중화를 위해서는 더 많은 수소충전소의 구축(현재 63)이 필요하며 압축기, 고압밸브, 저장용기 등 핵심부품과 충전기술의 국산화가 시급하다. 수소는 연료전지를 사용해 발전용, 가정/건물용 및 모빌리티용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울산에는 국내 최초로 MW급 수소연료전지의 실증을 비롯해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를 적용한 수소타운을 실증(2018)한 바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에 들어가는 핵심소재인 귀금속촉매의 대체 혹은 사용량 저감 기술, 수입의존도가 높은 전극과 분리판 등의 부품 소재 기술 개발도 시급하다. 또한 수소산업의 육성과 수소제품의 보급을 위해 다양한 인증과 표준 개발, 규제 개선 및 현실화도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울산시는 현재 1868대의 수소전기차 보급, 수소충전소 9개소 및 수소배관 120km 등의 국내 최고 기록을 비롯해 연간 5천대 규모의 수소전기차 양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19년부터 중기부 지원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사업과 국토부 지원 수소시범도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수소모빌리티 분야 수소 융복합 실증단지 유치 및 울산 국제수소에너지 전시회 및 포럼(H2 World) 개최(4/28-30) 등으로 수소에너지 기반 신규 비즈니스를 모색하고 있다. 향후 울산시는 대한민국 수소경제 선도도시로서 수소산업의 활성화와 혁신성장 산업을 선도할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그 중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백동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울산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책임연구위원

 

기사원문링크 :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71032

Print Back

페이지 12/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바닷물 속 염분·해상풍력… 친환경에너지 신기술의 寶庫  삼투현상 이용한 '해양염분차 발전' 연구 국내최초 kW급 모듈 제작 기술개발 성공       …
2016.06.26
  [현장르포]제주, '해양과학' 바람맞다 해양과기원 제주연구센터 설립 1주년...해양 바이오소재 등 지역특화 연구 집중 에너지연, 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 생…
2016.06.26
  [과학특공대] '에너지 기술변혁' 현장을 가다  솔라하우스부터 CO₂포집까지…기후변화대응 'R&D 선두주자'     대한민국이 선진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기…
2016.06.17
 에너지기술 융합, 미래혁신 키워드 “에너지기술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1980~90년대는 에너지절약이었지만 2000년대 지금은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바뀌었다.…
2016.05.31
    [한국 경제 신성장동력] 미래 발전 이끄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문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에너지…
2016.05.30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총 33종 범용장비를 구축해 시험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2016.05.04
  원천기술 개발·보급…국가 경쟁력 불 밝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설립 후 지난 39년 동안 국가 에너지기술분야의 산업원천기술…
2016.04.27
  친환경 하이브리드 석탄 기술력 주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하…
2016.04.27
 다양한 에너지 개발·융합… 미래가치 창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키 위해 국민의 생…
2016.04.27
  [대덕포럼] 기록습관의 중요성         다산 정약용 선생, 레오나르도 다 빈치, 빈센트 반 고흐. 이 세 인물을 공통점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2016.03.15
  [사이언스리뷰] 전자노트 작성을 통해 연구의 품질을 높이자        배다리, 기중기 등을 발명한 조선시대 실학자이자 과학기술인이었던 정약용 선생은…
2016.03.11
  [ET단상]기후변화 대응, 에너지기술에 달렸다         지난해 12월은 42년 만에 가장 따뜻했다. 올해 1월은 15년 만에 가장 추웠다. 많은 국가가 기록…
2016.03.07
  "나는 39년차 에너지 기술 연구원입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서양덕 기자] 에너지를 연구한 지 어느 덧 39년이 흘렀다. 한평생 에너지만 알고 에…
2016.02.01
  “10년 뒤 딸 결혼 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 선물하고파”     “딸이 중학교 다닐 때 과학교과서에 실린 연료전지를 가리키며 친구들에게…
2016.02.01
  3. 기후기술 수출 기반 닦았다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개도국에 적용 가능한 기술 195건 수출상담기후변화 대응 위해 이…
2015.12.17
  2.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美·EU와는 공동연구.. 개도국엔 기술전수 통해 '기후 리더십' 발…
2015.12.17
  1.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파리 COP21 중간 점검  2020년 신(新)기후체제를 둘러싼 국가 간…
2015.12.17
  [사이언스리뷰] CCUS 기술과 융합한 바이오 메탄 활용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여일 책임연구원                                               …
2015.09.08
 [ET단상] 혁신도시, 친환경에너지타운으로 만들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
2015.08.06
  [사이언스온고지신] 메르스 사태가 에너지 정책에 주는 교훈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중동호흡기…
201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