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10년 뒤 딸 결혼 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 선물하고파”

  • 작성일 2016.02.01
  • 조회수 51865

 

“10년 뒤 딸 결혼 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 선물하고파”

 


 

“딸이 중학교 다닐 때 과학교과서에 실린 연료전지를 가리키며 친구들에게 ‘우리 아빠가 연구하는 것’이라고 자랑했다고 해요. 연구원으로 살며 가장 뿌듯했던 순간입니다.”

 

본격적인 겨울을 알리듯 매서운 칼바람이 불던 6일. 대전시 유성구 신성동에 위치한 샤브샤브 전문식당 ‘주먹시’에서 만난 박석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실 책임연구원은 ‘딸 바보’ 그 자체였다.

 

“딸이 초등학생 때 친구와 함께 부모의 직장에 찾아가는 현장학습 과제를 위해 연구원을 방문한 적이 있어요. 그때 제가 연구하는 분야를 직접 설명해줬는데, 괜히 어깨가 으쓱하더군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료전지 연구 1세대인 박석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차세대 신재생 에너지로 각광받는 연료전지 연구를 위해 외길 인생을 살아온 박 연구원은 딸에게 자랑거리가 된 연구원 생활에 조금의 후회가 없다고 말한다. 연료전지가 뭔지도 모르고 시작했지만 한 길을 꾸준히 걸었던 데 대한 자부심이 느껴졌다.

 

“1990년대 초에는 이공계 출신인 저도 연료전지가 뭔지 잘 몰랐어요. 실험실 선배가 제게 연료전지 연구를 함께 시작해보지 않겠냐고 권유했던 게 이 길을 걷게 된 계기였습니다. 그렇게 시작한 지 벌써 20년이 넘었네요.”

 

2007년 추계전기화학회에서 개발한
2007년 추계전기화학회에서 전극막접합체를 설명하고 있는 박석희 연구원(오른쪽). - 박석희 연구원 제공

삼성중공업에서 일하던 박 연구원은 1995년 연료전지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그는 “국내엔 선례가 없었기에 모든 걸 처음 만들어가야 한다는 부담이 있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2005년 에너지기술연구원에 입사한 뒤로는 연구팀과 함께 2007년 국내 최초로 차량용 연료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정부 출연연구소로 옮긴 것이 연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고 설명했다. 연료전지 분야는 가능성이 충분하지만 상용화가 되지 않은 탓에 민간기업들이 시작과 포기를 반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기간에 이윤을 내야 하는 기업과 달리 정부 출연연구소에서는 중장기적으로 연구를 지속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에요. 원천기술을 개발해 산업체에 이전하고, 또 연료전지 분야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 현재 에너지기술연구원과 우리 연구팀에게 주어진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10명 남짓의 연구원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10년 간 국내외 특허를 80건 넘게 등록할 만큼  ‘성적’이 좋다. 현재 연구팀은 연료전지 중에서도 전기를 발생시키는 핵심 부품인 ‘전극막접합체(MEA)’의 국산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전=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제공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를 개발하는 게 목표라고 밝힌 박석희 연구원. 
- 대전=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그는 연료전지 자동차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아직 넘어야할 산이 높다고 설명했다. 연료 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고 부산물로 물을 내놓는다. 하지만 한국의 겨울처럼 추운 날씨에는 물이 얼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박 연구원은 “영하 30도에서도 시동이 걸리는 연료전지 자동차를 개발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그는 또 “일본에서는 연료전지 자동차 ‘미라이(미래)’를 7000만 원에 팔고 있는데, 20세인 딸이 10년 뒤 결혼할 나이가 됐을 때, 결혼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를 선물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줄임말인 ‘에기연’으로 삼행시를 부탁했다.

 

너지 수입률이 96%이고, 름 한 방울도 안 나오는 우리나라에서, 료전지로 에너지 자립에 기여하겠습니다!”

  

대전=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원본기사 -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9826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2/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바닷물 속 염분·해상풍력… 친환경에너지 신기술의 寶庫  삼투현상 이용한 '해양염분차 발전' 연구 국내최초 kW급 모듈 제작 기술개발 성공       …
2016.06.26
  [현장르포]제주, '해양과학' 바람맞다 해양과기원 제주연구센터 설립 1주년...해양 바이오소재 등 지역특화 연구 집중 에너지연, 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 생…
2016.06.26
  [과학특공대] '에너지 기술변혁' 현장을 가다  솔라하우스부터 CO₂포집까지…기후변화대응 'R&D 선두주자'     대한민국이 선진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기…
2016.06.17
 에너지기술 융합, 미래혁신 키워드 “에너지기술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1980~90년대는 에너지절약이었지만 2000년대 지금은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바뀌었다.…
2016.05.31
    [한국 경제 신성장동력] 미래 발전 이끄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문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에너지…
2016.05.30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총 33종 범용장비를 구축해 시험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2016.05.04
  원천기술 개발·보급…국가 경쟁력 불 밝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설립 후 지난 39년 동안 국가 에너지기술분야의 산업원천기술…
2016.04.27
  친환경 하이브리드 석탄 기술력 주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하…
2016.04.27
 다양한 에너지 개발·융합… 미래가치 창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키 위해 국민의 생…
2016.04.27
  [대덕포럼] 기록습관의 중요성         다산 정약용 선생, 레오나르도 다 빈치, 빈센트 반 고흐. 이 세 인물을 공통점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2016.03.15
  [사이언스리뷰] 전자노트 작성을 통해 연구의 품질을 높이자        배다리, 기중기 등을 발명한 조선시대 실학자이자 과학기술인이었던 정약용 선생은…
2016.03.11
  [ET단상]기후변화 대응, 에너지기술에 달렸다         지난해 12월은 42년 만에 가장 따뜻했다. 올해 1월은 15년 만에 가장 추웠다. 많은 국가가 기록…
2016.03.07
  "나는 39년차 에너지 기술 연구원입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서양덕 기자] 에너지를 연구한 지 어느 덧 39년이 흘렀다. 한평생 에너지만 알고 에…
2016.02.01
  “10년 뒤 딸 결혼 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 선물하고파”     “딸이 중학교 다닐 때 과학교과서에 실린 연료전지를 가리키며 친구들에게…
2016.02.01
  3. 기후기술 수출 기반 닦았다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개도국에 적용 가능한 기술 195건 수출상담기후변화 대응 위해 이…
2015.12.17
  2.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美·EU와는 공동연구.. 개도국엔 기술전수 통해 '기후 리더십' 발…
2015.12.17
  1.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파리 COP21 중간 점검  2020년 신(新)기후체제를 둘러싼 국가 간…
2015.12.17
  [사이언스리뷰] CCUS 기술과 융합한 바이오 메탄 활용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여일 책임연구원                                               …
2015.09.08
 [ET단상] 혁신도시, 친환경에너지타운으로 만들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
2015.08.06
  [사이언스온고지신] 메르스 사태가 에너지 정책에 주는 교훈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중동호흡기…
201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