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ET단상]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기술에 달렸다

  • 작성일 2016.03.07
  • 조회수 48207

 

[ET단상]기후변화 대응, 에너지기술에 달렸다

 


 

 

 

지난해 12월은 42년 만에 가장 따뜻했다. 올해 1월은 15년 만에 가장 추웠다. 많은 국가가 기록적인 한파로 큰 피해를 보았다. 모두 지구온난화 탓이다. 

이 상태로 가면 금세기 말 지구 온도는 최고 3.7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보고서도 나왔다. 지구 온도 상승에 따른 기상이변과 자연재해가 어느 정도일지 상상조차 하기 어렵다. 

우리나라의 2012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CO₂ 기준으로 6억8830만톤이었다. 1990년 대비 약 2.5배 증가했다. 최근 배출 증가율이 낮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총 배출량 기준으로 세계 8위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에서 에너지 분야가 87.2%나 차지한다.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같은 에너지 다소비 산업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우리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사람들의 행태나 제도로 기후변화를 막을 수 있는 수준까지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것은 사실 어렵다.

에너지를 합리적으로 소비하면서 효과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에너지 기술이 필요한 이유다.

지난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1)에서는 모든 국가가 기후변화 대응에 참여하는 의미 있는 대응체계 구축을 끌어냈다. 많은 국가가 자발적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목표치를 발표했다.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2도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려는 것이다. 

COP 21에서는 청정에너지 기술 혁신을 통해 중장기적이면서 근본적으로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협의체 ‘미션 이노베이션’이 창설됐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청정에너지 연구개발(R&D) 투자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 중국, 인도 등 20개국이 참여한다. 미션 이노베이션은 2021년까지 청정에너지기술 R&D 예산을 2016년 대비 2배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계획대로 필요한 곳에 R&D 투자 확대가 이뤄지면 기후변화 대응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새롭고 넓은 청정에너지기술 시장이 열리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20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라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국제사회에 발표하고 COP 21 이후 파리협정 이행을 위한 국내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전략’ ‘기후변화대응 핵심기술개발 전략’을 통해 에너지프로슈머, 저탄소 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 공정과 같은 신산업 육성, 6대 핵심기술(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연료, 이차전지, 전력IT, CCS)을 비롯한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녹색성장위원회는 현재 1조5000억원 수준인 에너지 R&D 투자를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재편하고 2021년까지 청정에너지 R&D 투자 2배 확대를 위해 노력하기로 결정했다.

COP 21에서 세계 주요국과 함께 약속한 ‘미션 이노베이션’에 따른 청정에너지 R&D 확대를 이행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어려운 경제 여건에도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에너지기술 중요성을 인식해 내린 결정에 박수를 보낸다.

기후변화 대응은 단기로는 비용과 고통이 따른다. 하지만 기술 대응을 통해 중장기로는 새로운 산업 창출과 기술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로 만들 수 있다. 

무엇보다 에너지 관련 과학기술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세계 최고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이것이 국가와 국민 모두의 기대에 부응하는 길이다. 

이기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 kwlee@kier.re.kr 

 

URL : http://www.etnews.com/20160303000217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2/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바닷물 속 염분·해상풍력… 친환경에너지 신기술의 寶庫  삼투현상 이용한 '해양염분차 발전' 연구 국내최초 kW급 모듈 제작 기술개발 성공       …
2016.06.26
  [현장르포]제주, '해양과학' 바람맞다 해양과기원 제주연구센터 설립 1주년...해양 바이오소재 등 지역특화 연구 집중 에너지연, 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 생…
2016.06.26
  [과학특공대] '에너지 기술변혁' 현장을 가다  솔라하우스부터 CO₂포집까지…기후변화대응 'R&D 선두주자'     대한민국이 선진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기…
2016.06.17
 에너지기술 융합, 미래혁신 키워드 “에너지기술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1980~90년대는 에너지절약이었지만 2000년대 지금은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바뀌었다.…
2016.05.31
    [한국 경제 신성장동력] 미래 발전 이끄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문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에너지…
2016.05.30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총 33종 범용장비를 구축해 시험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2016.05.04
  원천기술 개발·보급…국가 경쟁력 불 밝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설립 후 지난 39년 동안 국가 에너지기술분야의 산업원천기술…
2016.04.27
  친환경 하이브리드 석탄 기술력 주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하…
2016.04.27
 다양한 에너지 개발·융합… 미래가치 창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키 위해 국민의 생…
2016.04.27
  [대덕포럼] 기록습관의 중요성         다산 정약용 선생, 레오나르도 다 빈치, 빈센트 반 고흐. 이 세 인물을 공통점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2016.03.15
  [사이언스리뷰] 전자노트 작성을 통해 연구의 품질을 높이자        배다리, 기중기 등을 발명한 조선시대 실학자이자 과학기술인이었던 정약용 선생은…
2016.03.11
  [ET단상]기후변화 대응, 에너지기술에 달렸다         지난해 12월은 42년 만에 가장 따뜻했다. 올해 1월은 15년 만에 가장 추웠다. 많은 국가가 기록…
2016.03.07
  "나는 39년차 에너지 기술 연구원입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서양덕 기자] 에너지를 연구한 지 어느 덧 39년이 흘렀다. 한평생 에너지만 알고 에…
2016.02.01
  “10년 뒤 딸 결혼 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 선물하고파”     “딸이 중학교 다닐 때 과학교과서에 실린 연료전지를 가리키며 친구들에게…
2016.02.01
  3. 기후기술 수출 기반 닦았다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개도국에 적용 가능한 기술 195건 수출상담기후변화 대응 위해 이…
2015.12.17
  2.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美·EU와는 공동연구.. 개도국엔 기술전수 통해 '기후 리더십' 발…
2015.12.17
  1.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파리 COP21 중간 점검  2020년 신(新)기후체제를 둘러싼 국가 간…
2015.12.17
  [사이언스리뷰] CCUS 기술과 융합한 바이오 메탄 활용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여일 책임연구원                                               …
2015.09.08
 [ET단상] 혁신도시, 친환경에너지타운으로 만들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
2015.08.06
  [사이언스온고지신] 메르스 사태가 에너지 정책에 주는 교훈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중동호흡기…
201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