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에너지기술연] 원천기술 개발·보급…국가 경쟁력 불 밝혀

  • 작성일 2016.04.27
  • 조회수 46742


 

원천기술 개발·보급…국가 경쟁력 불 밝혀






▲ 연구원 야간 전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설립 후 지난 39년 동안 국가 에너지기술분야의 산업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그 성과를 확산하면서 한국 경제 성장에 기여해왔다.에너지는 사회의 삶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는다.

최근에는 국가 경쟁력과 안보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에너지연은 기후변화 대응기술을 확보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에너지기술 연구개발과 실용보급 확대,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기술지도사업, 산업연계형사업 등이 그 예다. 에너지연은 그중에서도 최근 국제협력분야에 관심을 두고 한국의 에너지기술 경쟁력을 세계수준으로 끌어올리고자 매진 중이다.

에너지연의 국제협력과 관련한 지난 성과와 앞으로 기대되는 성과에 대해 정리해 본다.<편집자 주>

▲현재까지 성과= 에너지연은 작년 4월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허브기관으로 지정됐다.

에너지연은 국제공동과제를 기획수행하고자 기술선도국과 신흥국간 연구협력을 통한 R&D 역량을 확보해왔다. 이와 함께 해외진출 인프라 조성에도 앞장섰다. 'KIER Energy Eureka Forum'도 미국과 유럽 등 세계 곳곳에서 개최한 바 있다.

에너지연은 에너지 분야의 기술을 선도하는 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세계과학기술포럼 에너지 세션을 주최하기도 했다. 세계과학기술포럼 후에도 연계 ESI(에너지시스템통합)분야에서 선도기관 워크숍과 국제공동연구 논의의 시간도 가졌다.

에너지연은 개도국과 협력하고 기술이전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 해외민간수탁활성화와 국제협력사업 발굴을 통해 에너지연 보유기술의 해외진출과 협력을 강화시켜왔다.

또 국제인력교류와 K-Fan(Korea Friendship and Networking) 운영을 통해 산업과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이바지했다.

▲향후 기대되는 성과=기존에 개최해 오던 'KIER Energy Eureka Forum'을 질적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기존 단독포럼 형태에서 벗어나 EKC(한국-유럽 과학기술대회), CKC(한국-캐나다 과학기술학술대회), UKC(한국-미국 과학기술학술대회) 심포지엄에 공동의장이 참여한 후 관심이 있는 논문 발표자에게 직접 사업제안서 접수하는 과정을 추가할 예정이다.

또 미국, 유럽, 캐나다 등 재외한인과학자와의 네트워킹을 활성화한다. 연구협력파트너 발굴을 통해 최신ㆍ최첨단 에너지기술 분야 공동연구과제를 추진하고 점검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첨단 융합과 협력 연구의 저변을 확대할 계획이다.

개도국 협력과 기술이전 인프라 구축을 위해 에너지연은 개도국 보유기술 및 현황을 바탕으로 양자 및 다자간 사업을 제안할 방침이다.

K-Fan 프로그램은 상·하반기로 나눠 연 2회 이상 개최하고 국외인력을 대상으로 기어코(KIERKO)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올해 말 국외인력을 대상으로 제3회 네트워킹데이를 열어 우수 국외인력에 대한 포상도 시행한다.

- 최소망 기자 somangchoi@

-원본기사 : http://www.joongdo.co.kr/jsp/article/article_view.jsp?pq=201604180310

 

 

Print Back

페이지 12/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바닷물 속 염분·해상풍력… 친환경에너지 신기술의 寶庫  삼투현상 이용한 '해양염분차 발전' 연구 국내최초 kW급 모듈 제작 기술개발 성공       …
2016.06.26
  [현장르포]제주, '해양과학' 바람맞다 해양과기원 제주연구센터 설립 1주년...해양 바이오소재 등 지역특화 연구 집중 에너지연, 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 생…
2016.06.26
  [과학특공대] '에너지 기술변혁' 현장을 가다  솔라하우스부터 CO₂포집까지…기후변화대응 'R&D 선두주자'     대한민국이 선진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기…
2016.06.17
 에너지기술 융합, 미래혁신 키워드 “에너지기술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1980~90년대는 에너지절약이었지만 2000년대 지금은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바뀌었다.…
2016.05.31
    [한국 경제 신성장동력] 미래 발전 이끄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문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에너지…
2016.05.30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총 33종 범용장비를 구축해 시험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2016.05.04
  원천기술 개발·보급…국가 경쟁력 불 밝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설립 후 지난 39년 동안 국가 에너지기술분야의 산업원천기술…
2016.04.27
  친환경 하이브리드 석탄 기술력 주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하…
2016.04.27
 다양한 에너지 개발·융합… 미래가치 창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키 위해 국민의 생…
2016.04.27
  [대덕포럼] 기록습관의 중요성         다산 정약용 선생, 레오나르도 다 빈치, 빈센트 반 고흐. 이 세 인물을 공통점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2016.03.15
  [사이언스리뷰] 전자노트 작성을 통해 연구의 품질을 높이자        배다리, 기중기 등을 발명한 조선시대 실학자이자 과학기술인이었던 정약용 선생은…
2016.03.11
  [ET단상]기후변화 대응, 에너지기술에 달렸다         지난해 12월은 42년 만에 가장 따뜻했다. 올해 1월은 15년 만에 가장 추웠다. 많은 국가가 기록…
2016.03.07
  "나는 39년차 에너지 기술 연구원입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서양덕 기자] 에너지를 연구한 지 어느 덧 39년이 흘렀다. 한평생 에너지만 알고 에…
2016.02.01
  “10년 뒤 딸 결혼 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 선물하고파”     “딸이 중학교 다닐 때 과학교과서에 실린 연료전지를 가리키며 친구들에게…
2016.02.01
  3. 기후기술 수출 기반 닦았다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개도국에 적용 가능한 기술 195건 수출상담기후변화 대응 위해 이…
2015.12.17
  2.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美·EU와는 공동연구.. 개도국엔 기술전수 통해 '기후 리더십' 발…
2015.12.17
  1.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파리 COP21 중간 점검  2020년 신(新)기후체제를 둘러싼 국가 간…
2015.12.17
  [사이언스리뷰] CCUS 기술과 융합한 바이오 메탄 활용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여일 책임연구원                                               …
2015.09.08
 [ET단상] 혁신도시, 친환경에너지타운으로 만들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
2015.08.06
  [사이언스온고지신] 메르스 사태가 에너지 정책에 주는 교훈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중동호흡기…
201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