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생활속 과학이야기] 테슬라의 빠른 성공 비결

  • 작성일 2020.11.02
  • 조회수 2472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noname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1pixel, 세로 180pixel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메타인지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메타인지는 인지심리학 용어로 '자신이 어떤 것을 알고 어떤 것을 모르는지와 같이 지식과 사고에 대한 인지 및 조절이나 통제전략을 의미한다'라고 요약돼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처럼 스마트폰을 이용해 다양한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시대에 내가 알고 있는 범위를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요? 스마트폰을 이용해 쉽게 알아낼 수 있는 지식까지 내가 아는 범위라고 할 수 있을까요?


엔진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들은 엔진을 만들지 않으면 진정한 자동차회사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정교한 엔진 제조기술을 개발하거나 다른 회사로부터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규모 생산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공식처럼 적용됐죠. 하지만 테슬라는 개발 초기에 전기자동차 구동장치의 핵심인 배터리와 모터를 직접 제조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양산시스템이 구축된 이후로 모터는 제조하고 있지만 배터리는 여전히 다른 회사 것을 구입해서 씁니다. 심지어 자동차의 몸체도 로터스 사에서 개발한 것을 그대로 가져다 썼죠. 그들은 다른 회사에서 개발한 것도 가져다 쓸 수 있으면 그들의 역량 영역에 포함시킨 것입니다. 그리고 전체 시스템을 통합하는 컴퓨팅 기술에 개발 역량을 집중합니다. 그 결과로 처음 양산한 로드스터 2008은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그 이후 내놓는 모델마다 성공합니다. 엔진자동차업계에서 이렇게 빠르게 새로운 모델 개발에 성공한 회사는 없었습니다. 개념이 바뀐 것이죠.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익숙한 새로운 세대의 메타인지는 확장되고 있습니다. 자기가 아는 것, 할 수 있는 것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것이죠. 테슬라의 CEO 앨런 머스크는 심지어 화성으로 인류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정확히 구분하고, 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시키는 것이야말로 최근 급격히 성장한 회사의 트렌드가 됐고, 이러한 경향은 인류의 체질 개선을 위한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기사원문링크 :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445626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2/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바닷물 속 염분·해상풍력… 친환경에너지 신기술의 寶庫  삼투현상 이용한 '해양염분차 발전' 연구 국내최초 kW급 모듈 제작 기술개발 성공       …
2016.06.26
  [현장르포]제주, '해양과학' 바람맞다 해양과기원 제주연구센터 설립 1주년...해양 바이오소재 등 지역특화 연구 집중 에너지연, 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 생…
2016.06.26
  [과학특공대] '에너지 기술변혁' 현장을 가다  솔라하우스부터 CO₂포집까지…기후변화대응 'R&D 선두주자'     대한민국이 선진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기…
2016.06.17
 에너지기술 융합, 미래혁신 키워드 “에너지기술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1980~90년대는 에너지절약이었지만 2000년대 지금은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바뀌었다.…
2016.05.31
    [한국 경제 신성장동력] 미래 발전 이끄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문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에너지…
2016.05.30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총 33종 범용장비를 구축해 시험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2016.05.04
  원천기술 개발·보급…국가 경쟁력 불 밝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설립 후 지난 39년 동안 국가 에너지기술분야의 산업원천기술…
2016.04.27
  친환경 하이브리드 석탄 기술력 주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하…
2016.04.27
 다양한 에너지 개발·융합… 미래가치 창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키 위해 국민의 생…
2016.04.27
  [대덕포럼] 기록습관의 중요성         다산 정약용 선생, 레오나르도 다 빈치, 빈센트 반 고흐. 이 세 인물을 공통점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2016.03.15
  [사이언스리뷰] 전자노트 작성을 통해 연구의 품질을 높이자        배다리, 기중기 등을 발명한 조선시대 실학자이자 과학기술인이었던 정약용 선생은…
2016.03.11
  [ET단상]기후변화 대응, 에너지기술에 달렸다         지난해 12월은 42년 만에 가장 따뜻했다. 올해 1월은 15년 만에 가장 추웠다. 많은 국가가 기록…
2016.03.07
  "나는 39년차 에너지 기술 연구원입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서양덕 기자] 에너지를 연구한 지 어느 덧 39년이 흘렀다. 한평생 에너지만 알고 에…
2016.02.01
  “10년 뒤 딸 결혼 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 선물하고파”     “딸이 중학교 다닐 때 과학교과서에 실린 연료전지를 가리키며 친구들에게…
2016.02.01
  3. 기후기술 수출 기반 닦았다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개도국에 적용 가능한 기술 195건 수출상담기후변화 대응 위해 이…
2015.12.17
  2.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美·EU와는 공동연구.. 개도국엔 기술전수 통해 '기후 리더십' 발…
2015.12.17
  1.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파리 COP21 중간 점검  2020년 신(新)기후체제를 둘러싼 국가 간…
2015.12.17
  [사이언스리뷰] CCUS 기술과 융합한 바이오 메탄 활용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여일 책임연구원                                               …
2015.09.08
 [ET단상] 혁신도시, 친환경에너지타운으로 만들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
2015.08.06
  [사이언스온고지신] 메르스 사태가 에너지 정책에 주는 교훈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중동호흡기…
201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