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과학서평] 의미부터 제작까지···플랜트의 모든 것

  • 작성일 2020.10.23
  • 조회수 26572

초보 엔지니어가 리드 엔지니어로 성장하는 5년의 기록
박정호 선임연구원 "기초 엔지니어를 위한 지침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90212_300113_5227.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0pixel, 세로 321pixel

저자 박정호 선임연구원의 '나는 플랜트 엔지니어입니다'[사진= 정원기 인턴 기자]


제조업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플랜트(Plant)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특히 해외 플랜트 건설은 우리나라 '13대 주력 수출 품목'에 포함된다. 하지만 플랜트 산업은 여전히 생소한 분야다.


이런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플랜트 의미와 탄생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책이 출간됐다. 여기서 플랜트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식물이 아닌 산업 공장을 의미한다.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나는 플랜트 엔지니어입니다' 책을 통해 초보 엔지니어가 리드 엔지니어로 성장하기까지 현장감 넘치는 5년의 기록을 소개했다. 기초 엔지니어를 위한 지침서인 셈이다.


그는 먼저 플랜트 의미를 설명했다. 플랜트는 사전을 찾아보면 식물 혹은 무언가를 심는다라는 뜻이 있다. 플랜트에서 파생된 임플란트도 심는다는 의미로 치의학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산업 공장이라는 의미는 18세기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부터 생겨났다. 싹이 트고 자라기 시작하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Planta'와 고정시키다라는 'Plantare'가 변형되어 탄생했다. 부지에 구조물을 짓고, 기계를 설치하는 형태가 식물이 자라는 모습과도 일맥상통한다.


박정호 선임연구원에 의하면 플랜트는 우리 삶과 밀접하다고 한다. 우리가 취사·난방용으로 쓰는 도시가스부터 옷, 식료품 등 많은 것들이 플랜트를 통해 정제되거나 생산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플랜트는 보통 어떤 원료나 에너지를 투입해 생산물을 제조하거나 다른 형태의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는 이어 플랜트 종류를 설명했다. 플랜트는 기능에 따라 나누기도 하지만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육상 플랜트와 해양 플랜트로 구분된다.  명칭만 다를 뿐 핵심 시스템 자체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한다. 그는 "오일·가스 플랜트로 예를 들면 육상과 해양에서 뽑아낸 오일과 가스에서 불순물을 분리하고 정제한 다음 원유나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것은 동일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 연간 300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안겨주는 살라맛 플랜트도 해양 플랜트다. 말레이시아 바다에서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살라맛 플랜트는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해외 자원개발 프로젝트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이 책은 살라맛 프로젝트를 토대로 저자가 성장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5년에 걸쳐 하나의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완수하며 실무 과정을 현장감 있게 전달했다.


끝으로 저자는 "플랜트 엔지니어를 꿈꾸는 사람 그리고 플랜트 엔지니어링과 플랜트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모습이 궁금한 사람을 위해 이 책을 썼다"라며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의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끈 플랜트 산업이 무엇인지 궁금증이 해소될 것이다"라며 집필 이유를 밝혔다.


기사원문링크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0212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2/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바닷물 속 염분·해상풍력… 친환경에너지 신기술의 寶庫  삼투현상 이용한 '해양염분차 발전' 연구 국내최초 kW급 모듈 제작 기술개발 성공       …
2016.06.26
  [현장르포]제주, '해양과학' 바람맞다 해양과기원 제주연구센터 설립 1주년...해양 바이오소재 등 지역특화 연구 집중 에너지연, 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 생…
2016.06.26
  [과학특공대] '에너지 기술변혁' 현장을 가다  솔라하우스부터 CO₂포집까지…기후변화대응 'R&D 선두주자'     대한민국이 선진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기…
2016.06.17
 에너지기술 융합, 미래혁신 키워드 “에너지기술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1980~90년대는 에너지절약이었지만 2000년대 지금은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바뀌었다.…
2016.05.31
    [한국 경제 신성장동력] 미래 발전 이끄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문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에너지…
2016.05.30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총 33종 범용장비를 구축해 시험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2016.05.04
  원천기술 개발·보급…국가 경쟁력 불 밝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설립 후 지난 39년 동안 국가 에너지기술분야의 산업원천기술…
2016.04.27
  친환경 하이브리드 석탄 기술력 주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하…
2016.04.27
 다양한 에너지 개발·융합… 미래가치 창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키 위해 국민의 생…
2016.04.27
  [대덕포럼] 기록습관의 중요성         다산 정약용 선생, 레오나르도 다 빈치, 빈센트 반 고흐. 이 세 인물을 공통점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2016.03.15
  [사이언스리뷰] 전자노트 작성을 통해 연구의 품질을 높이자        배다리, 기중기 등을 발명한 조선시대 실학자이자 과학기술인이었던 정약용 선생은…
2016.03.11
  [ET단상]기후변화 대응, 에너지기술에 달렸다         지난해 12월은 42년 만에 가장 따뜻했다. 올해 1월은 15년 만에 가장 추웠다. 많은 국가가 기록…
2016.03.07
  "나는 39년차 에너지 기술 연구원입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서양덕 기자] 에너지를 연구한 지 어느 덧 39년이 흘렀다. 한평생 에너지만 알고 에…
2016.02.01
  “10년 뒤 딸 결혼 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 선물하고파”     “딸이 중학교 다닐 때 과학교과서에 실린 연료전지를 가리키며 친구들에게…
2016.02.01
  3. 기후기술 수출 기반 닦았다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개도국에 적용 가능한 기술 195건 수출상담기후변화 대응 위해 이…
2015.12.17
  2.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美·EU와는 공동연구.. 개도국엔 기술전수 통해 '기후 리더십' 발…
2015.12.17
  1.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파리 COP21 중간 점검  2020년 신(新)기후체제를 둘러싼 국가 간…
2015.12.17
  [사이언스리뷰] CCUS 기술과 융합한 바이오 메탄 활용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여일 책임연구원                                               …
2015.09.08
 [ET단상] 혁신도시, 친환경에너지타운으로 만들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
2015.08.06
  [사이언스온고지신] 메르스 사태가 에너지 정책에 주는 교훈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중동호흡기…
201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