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생활속 과학이야기] 전기자동차의 시작

  • 작성일 2020.09.07
  • 조회수 27630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1799년 알렉산드로 볼타가 세계 최초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지를 개발한 이후로 19세기에는 망간전지를 비롯해 매우 다양한 전지가 발명됩니다. 그중 하나가 지금까지도 엔진 자동차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납축전지입니다. 충전을 해서 다시 쓸 수 있는 납축전지는 프랑스 사람인 가스통 플란테에 의해서 1859년에 개발됐습니다. 납축전지가 개발된 이후 여러 발명가들이 납축전지를 이용한 자동차 개발을 거듭했고, 이후 실용성을 갖춘 세계 최초의 전기자동차가 독일의 안드레아스 플로켄에 의해 제작됩니다. 플로켄은 지붕이 있는 4륜 마차 형태에 직류모터와 납축전지를 이용해서 1888년에 전기자동차를 만들었죠. 칼 벤츠가 1885년에 최초의 엔진자동차를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으니까 3년의 차이를 두고 독일의 발명가들이 엔진자동차를 만들고 전기자동차를 만들었습니다.


당시에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전기자동차와 엔진자동차가 경쟁을 했고, 초기 달리기 성능은 전기자동차가 엔진자동차를 앞섰습니다. 세계 최초로 시속 100km를 돌파한 것도 벨기에 사람인 카밀 제나치가 만든 로켓모양의 전기자동차였죠. 성능뿐만 아니라 실제 운행한 자동차도 1890년대 후반부터 1900년대 초반까지는 전기자동차가 엔진자동차보다 많았습니다. 전기자동차는 엔진자동차에 비해서 소음도 없고, 진동도 적어 대중적인 인기를 얻은 것이죠. 런던과 뉴욕에는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택시가 돌아다녔고, 수많은 전기자동차 제조사가 생겨났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헨리포드가 세계 최초의 양산차인 포드 T를 개발하고, 컨베이어 시스템을 활용해 값싸게 제조하면서 엔진자동차가 다시 우위를 점하게 됩니다. 자주 충전해줘야 하는 전기차에 비해 기름만 충분히 넣으면 오랫동안 달릴 수 있는 데다가 가격까지 저렴한 엔진자동차가 훨씬 더 시장성이 있던 것이죠. 그래서 전기자동차는 20세기 초 경쟁에서 밀려, GE에서 EV1을 양산하기 시작한 1996년까지 약 90년 동안 시장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기사원문링크 :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438290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2/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바닷물 속 염분·해상풍력… 친환경에너지 신기술의 寶庫  삼투현상 이용한 '해양염분차 발전' 연구 국내최초 kW급 모듈 제작 기술개발 성공       …
2016.06.26
  [현장르포]제주, '해양과학' 바람맞다 해양과기원 제주연구센터 설립 1주년...해양 바이오소재 등 지역특화 연구 집중 에너지연, 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 생…
2016.06.26
  [과학특공대] '에너지 기술변혁' 현장을 가다  솔라하우스부터 CO₂포집까지…기후변화대응 'R&D 선두주자'     대한민국이 선진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기…
2016.06.17
 에너지기술 융합, 미래혁신 키워드 “에너지기술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1980~90년대는 에너지절약이었지만 2000년대 지금은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바뀌었다.…
2016.05.31
    [한국 경제 신성장동력] 미래 발전 이끄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문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에너지…
2016.05.30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총 33종 범용장비를 구축해 시험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2016.05.04
  원천기술 개발·보급…국가 경쟁력 불 밝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설립 후 지난 39년 동안 국가 에너지기술분야의 산업원천기술…
2016.04.27
  친환경 하이브리드 석탄 기술력 주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하…
2016.04.27
 다양한 에너지 개발·융합… 미래가치 창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키 위해 국민의 생…
2016.04.27
  [대덕포럼] 기록습관의 중요성         다산 정약용 선생, 레오나르도 다 빈치, 빈센트 반 고흐. 이 세 인물을 공통점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2016.03.15
  [사이언스리뷰] 전자노트 작성을 통해 연구의 품질을 높이자        배다리, 기중기 등을 발명한 조선시대 실학자이자 과학기술인이었던 정약용 선생은…
2016.03.11
  [ET단상]기후변화 대응, 에너지기술에 달렸다         지난해 12월은 42년 만에 가장 따뜻했다. 올해 1월은 15년 만에 가장 추웠다. 많은 국가가 기록…
2016.03.07
  "나는 39년차 에너지 기술 연구원입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서양덕 기자] 에너지를 연구한 지 어느 덧 39년이 흘렀다. 한평생 에너지만 알고 에…
2016.02.01
  “10년 뒤 딸 결혼 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 선물하고파”     “딸이 중학교 다닐 때 과학교과서에 실린 연료전지를 가리키며 친구들에게…
2016.02.01
  3. 기후기술 수출 기반 닦았다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개도국에 적용 가능한 기술 195건 수출상담기후변화 대응 위해 이…
2015.12.17
  2.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美·EU와는 공동연구.. 개도국엔 기술전수 통해 '기후 리더십' 발…
2015.12.17
  1.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파리 COP21 중간 점검  2020년 신(新)기후체제를 둘러싼 국가 간…
2015.12.17
  [사이언스리뷰] CCUS 기술과 융합한 바이오 메탄 활용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여일 책임연구원                                               …
2015.09.08
 [ET단상] 혁신도시, 친환경에너지타운으로 만들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
2015.08.06
  [사이언스온고지신] 메르스 사태가 에너지 정책에 주는 교훈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중동호흡기…
201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