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인류 고민 '해수담수화' 기술 상용화_대전일보

  • 작성일 2015.04.27
  • 조회수 56069

 

인류 고민 '해수담수화' 기술 상용화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하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의 전경.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지구 위 물의 97%는 해수이며 나머지 3%가 담수다. 이 중에도 지표상에 존재하는 물은 0.3%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87%는 호수, 11%는 습지에 존재하고 사람이 수자원으로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강에 존재하는 물은 전체의 2% 뿐이다.

 

우리가 수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그만큼 제한적이다. 이에 비해 해수는 바다와 인접한 국가라면 어디나 풍부하게 얻을 수 있고 고갈 가능성도 없다. 바닷물 자원을 사람이 유용하게 쓰기 위해서는 바닷물에 포함된 3%의 염분을 제거해 담수로 만드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원장 이기우)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해 이같은 인류의 고민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해수담수화 기술은 말 그대로 해수를 담수화 시켜 수자원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바닷물을 증발시킨 후 이를 응축시켜 물로 만드는 증발법과 해수를 분리막에 통과시켜 삼투압을 역으로 이용해 담수를 얻는 역삼투압법이 대표적이다. 에너지기술연은 태양열을 이용한 증발식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했다.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에서 생산된 열과 태양광 발전을 통해 얻은 전기를 동시에 활용해 바닷물에서 염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를 통해 얻어진 열에너지가 집열기 안을 흐르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뜨거워진 물은 축열조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축열조의 온도가 증발에 필요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해수 취수펌프가 가동돼 바닷물이 담수기에 공급되는 원리다. 축열조의 뜨거운 물이 담수기로 이동하면 담수기 안의 바닷물은 증발과 응축과정을 거쳐 염기가 거의 없는 담수로 다시 태어난다.

 

이렇게 만든 담수는 식수나 농업용수, 공업용수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대형 도시규모부터 소규모 공공시설, 마을 단위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또 해수담수화에 필요한 전기도 태양광 발전을 통해 얻기 때문에 온실가스를 배출하지도 않는다. 또 기존의 역삼투압 담수플랜트에 비해 유지 관리비가 저렴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에너지기술연은 태양열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기술을 도암엔지니어링에 이전했고 전남도와 손잡고 여수에 3000 규모의 태양열 해수담수화 실증사업을 진행키로 합의했다.

 

에너지기술연 이기우 원장은 "이는 국내 최초로 진행되는 태양열 해수담수화 실증사업이며 오는 10월 설비가 완공되면 본격적인 실증에 착수한다"고 말했다. 오정연 기자

 

원본기사 -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166801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2/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바닷물 속 염분·해상풍력… 친환경에너지 신기술의 寶庫  삼투현상 이용한 '해양염분차 발전' 연구 국내최초 kW급 모듈 제작 기술개발 성공       …
2016.06.26
  [현장르포]제주, '해양과학' 바람맞다 해양과기원 제주연구센터 설립 1주년...해양 바이오소재 등 지역특화 연구 집중 에너지연, 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 생…
2016.06.26
  [과학특공대] '에너지 기술변혁' 현장을 가다  솔라하우스부터 CO₂포집까지…기후변화대응 'R&D 선두주자'     대한민국이 선진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기…
2016.06.17
 에너지기술 융합, 미래혁신 키워드 “에너지기술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1980~90년대는 에너지절약이었지만 2000년대 지금은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바뀌었다.…
2016.05.31
    [한국 경제 신성장동력] 미래 발전 이끄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문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에너지…
2016.05.30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총 33종 범용장비를 구축해 시험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2016.05.04
  원천기술 개발·보급…국가 경쟁력 불 밝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설립 후 지난 39년 동안 국가 에너지기술분야의 산업원천기술…
2016.04.27
  친환경 하이브리드 석탄 기술력 주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하…
2016.04.27
 다양한 에너지 개발·융합… 미래가치 창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기우)은 1977년 설립 이후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키 위해 국민의 생…
2016.04.27
  [대덕포럼] 기록습관의 중요성         다산 정약용 선생, 레오나르도 다 빈치, 빈센트 반 고흐. 이 세 인물을 공통점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2016.03.15
  [사이언스리뷰] 전자노트 작성을 통해 연구의 품질을 높이자        배다리, 기중기 등을 발명한 조선시대 실학자이자 과학기술인이었던 정약용 선생은…
2016.03.11
  [ET단상]기후변화 대응, 에너지기술에 달렸다         지난해 12월은 42년 만에 가장 따뜻했다. 올해 1월은 15년 만에 가장 추웠다. 많은 국가가 기록…
2016.03.07
  "나는 39년차 에너지 기술 연구원입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서양덕 기자] 에너지를 연구한 지 어느 덧 39년이 흘렀다. 한평생 에너지만 알고 에…
2016.02.01
  “10년 뒤 딸 결혼 선물로 내가 개발한 국산 연료전지 자동차 선물하고파”     “딸이 중학교 다닐 때 과학교과서에 실린 연료전지를 가리키며 친구들에게…
2016.02.01
  3. 기후기술 수출 기반 닦았다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개도국에 적용 가능한 기술 195건 수출상담기후변화 대응 위해 이…
2015.12.17
  2.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美·EU와는 공동연구.. 개도국엔 기술전수 통해 '기후 리더십' 발…
2015.12.17
  1. 개도국에 기후기술 전수 총력 [新기후체제.선진국-개도국 중재자로 나선 한국]     파리 COP21 중간 점검  2020년 신(新)기후체제를 둘러싼 국가 간…
2015.12.17
  [사이언스리뷰] CCUS 기술과 융합한 바이오 메탄 활용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여일 책임연구원                                               …
2015.09.08
 [ET단상] 혁신도시, 친환경에너지타운으로 만들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
2015.08.06
  [사이언스온고지신] 메르스 사태가 에너지 정책에 주는 교훈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윤용진 책임연구원)       중동호흡기…
201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