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세계 최고 수준 태양광 성능 평가 기술 국산화

  • 작성일 2011.07.13
  • 조회수 66394

세계 최고 수준 태양광 성능 평가 기술 국산화

에너지연, 표준연 협력연구 통해 핵심 인프라기술 개발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기술력 확보

 세계선도 기관과 측정 정밀도 대등

전 세계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지난 10년간 태양광 시장이 급속히 성장했다. 2010년에는 전년 대비 무려 100%의 성장세를 과시했으며, 올해 시장규모는 500억 달러로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추월할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90여개의 산업체들이 태양광의 핵심인 태양전지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메모리, 시스템, 광소자를 포함한 전체 반도체 산업의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태양광 산업의 급속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신뢰성 있는 태양전지 성능 평가가 독자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국내 관련 산업계의 경쟁력 향상에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황주호 원장)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김명수 원장)은 공동으로 미국, 독일, 일본 등 태양광 기술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1차 기준 태양전지 교정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KIER과 KRISS 공동 연구팀은 솔라 시뮬레이터의 절대복사도 측정방법과 미분 분광감응도 측정방식을 활용해 세계선도 기관과 측정 일치도가 99.5% 이상인『1차 기준 태양전지 교정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

1차 기준 태양전지는 태양전지 중 가장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어 시험기관이나 생산 현장에서 사용하는 태양전지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최상위 비교기준으로 사용되며 신뢰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태양전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외국에서 교정한 1차 기준 태양전지에 의존해 측정의 신뢰도나 자립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KRISS가 보유한 광측정 표준기 교정 기술과 KIER이 보유한 태양전지 성능평가 기술을 결합하여 해외 선도기관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1차 기준 태양전지 교정기술의 국산화를 이루게 되었다.

참여연구원인 표준연 이동훈 박사는 “국가 측정표준 확립 및 보급과 태양광을 연구하는 최고의 기관들이 서로 협력하여, 국가가 반드시 확보해야 할 인프라 기술을 개발한 사례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이번에 확보한 1차 기준 태양전지 교정기술을 바탕으로 국제규격으로 정해진 2차 기준 태양전지를 표준 기준물로 개발하여 국내 산업체와 시험기관에 보급하고 교정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연구총괄책임자인 에너지연 윤경훈 박사는 “이 기술을 통해 최근 태양전지 기술개발과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국내 태양광 산업에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평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1차 및 2차 기준 태양전지 교정에 관한 국제협력프로그램인 WPVS (World Photovoltaic Scale : 세계태양전지눈금)에 참여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태양전지 제품의 성능평가 신뢰도를 제고하는데도 기여할 예정이다.

지식경제부 기술혁신사업(신⋅재생에너지 기반구축사업)으로 실시된 이번 연구는 태양전지 성능평가 기술의 자립성을 확보하여 국내 태양광산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5/19

전체 368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2012.04.27 66,268
2012.04.05 74,329
2012.03.14 66,797
2012.03.09 68,611
2012.03.09 66,913
2012.02.17 69,512
2012.02.02 68,735
2011.12.07 70,089
2011.11.15 68,799
2011.11.15 67,602
2011.11.05 64,376
2011.10.25 68,168
2011.09.27 67,434
2011.08.31 73,089
2011.08.25 65,152
2011.07.13 66,395
2011.07.05 65,832
2011.07.04 67,722
2011.06.29 65,579
2011.06.22 66,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