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뒤로

용어사전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고열가스(High-calorie Gas)

    천연가스 및 SNG(합성 천연가스)가 이에 속하며, 메탄이 주성분으로 발열량은 9,400kcal/㎥정도이다. 파이프라인에 의한 원거리 수송에 저당하기 때문에 파이프라인급 가스라고도 한다. 미국에서는 석탄의 가스화가 SNG제조의 목표로 되어 있다. 도시가스, 공업용 및 발전용 가스로서 중요하다.

  • 기준년도(Historical Base Year)

    감축목표 설정시 이용되는 특정 연도를 지칭. 선진국의 경우 '90년을 기준년도로 사용하고 있음.

  • 수첨분해시설(Hydrocracker / Hydrocracking Unit)

    VDU에서 생산된 VGO(감압경유)를 촉매가 채워진 고온·고압의 반응기에서 수소와 반응시켜 분해하는 시설로 생산제품은 LPG, 납사, 등유, 경유이며 경유가 주 제품임. Hydrocracker는 FCC와는 달리 촉매가 고정상(Fixed Bed)으로 반응기에 채워져 있어 일정기간이 지나면 오염된 촉매를 재생시키기 위해 가동을 중지시켜야 하며, 다량의 수소를 사용할 뿐만아니라 촉매의 오염문제 때문에 B-C를 직접 처리못하고 VGO만 처리가 가능함. 그러나 Hydrocracker에서 생산된 제품은 분해반응과 동시에 탈황반응이 이루어진 초저유황 제품이며, 불포화 탄화수소도 거의 포함되지 않아 제품의 안정도도 매우 높음. Hydrocracker는 VGO를 처리하므로 원료를 만드는 VDU가 필수 시설이며 VDU에서 VGO와 동시에 생산되는 감압잔사유를 처리하기 위해 보통 VRHDS나 Coker를 같이 건설한다.

  • 수소화 분해공정(Hydrocracking)

    나프타에서 잔사유에 이르는 각종 탄화수소를 촉매를 첨가하여 고온, 고압하에 수소기류 속에서 분해하여 수소화하고, 보다 경질인 탄화수소로 전환시키는 것. LPG, 휘발류, 등유, 제트연료, 경유 등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그 품질도 좋아 후처리 등이 불필요하다.

  • 수소(Hydrogen)

    원소기호로 H로서 가장 가볍고 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임. 일반적으로 분자상태로 존재하며, 물이나 유기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고 1차에너지의 변환 형태로 보기 때문에 에너지담체 또는 에너지매체라고도 한다.

  • 수소에너지경제(Hydrogen energy economy)

    수소에너지를 에너지매체로 하는 경제 체제.

  • 수소액화(Hydrogen liquefaction)

    수소는 20K이하의 온도로 낮추게 되면 액체상태로 존재한다.

  • 수소저장(Hydrogen storage)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상용화된 방법은 고압기체저장, 액체저장 등이 있다.

  • 국제에너지기구(IEA)

    '74년 11월 OECD 이사회에서 설립을 결의, '76년 1월에 발족. 회원국은 미국, 영국, 일본, 호주 등 선진국 중심의 24개국임.

  • 소각로(Incinerator)

    반고형물, 액체, 또는 기체 연소성 폐기물을 인화소각하여 가연성 성분이 거의 없는 상태의 잔류 고형물로 배출시키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