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가스화(Gasification)
가스화용 매체(공기, 산소, 증기 등)와 고체연료를 반응시켜 연료가스를 제조하는 공정.
-
지구환경기금(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수십억달러를 보유하고 있는 GEF는 세계은행(World Bank), 유엔개발계획(UNDP) 및 유엔환경계획(UNEP)에 의해 '90년에 설립되었음. 잠정적으로 협약의 재정메커니즘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세계 기후변화방지를 위한 개발도상국의 프로젝트에 기금을 출연하고 있음.
-
전천일사량(Global radiation)
어떤시각에 태양과 하늘에서 각각 수평면에 도달한 직달 및 산란 일사량의 함.
-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온실가스가 태양열이 지표면에 복사된 후 우주공간으로 방출되는 것을 흡수 차단함으로서 온실과 같은 현상을 가져와 지구대기의 기온이 상승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에 의한 지구온난화라 한다.
-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
지구온난화지수는 각각의 기체들을 기준이 되는 기체들과 비교했을 때 대기하층에서 성층권까지의 상대적 가열정도의 척도로서 나타내어진 것임. 이산화탄소 1㎏과 비교하였을 때 어떤 온실기체가 대기중에 방출된 후 특정기간 동안 그 기체 1㎏의 가열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평가하는 척도임. 100년을 기준으로 CO2를 1로 볼 때 CH4가 21, N2O가 310, HFCs가 1,300, PFCs가 7,000, SF6가 23,900 임.
-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
파장이 2.5μm이상인 적외선 영역에서는 투과율이 아주 낮고(열손실을 방지) 다른 영역에서는 투과율이 좋은 유리 혹은 그밖의 재료로 이루어진 온실에서 태양열을 흡수한 물체로부터 복사된 적외선 에너지(열)가 보존되는 효과를 일컫는다. 또한 진공상태에서는 흡수된 에너지의 절반가량이 다시 닫힌 공간으로 재복사된다. 註 :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증가때문에 발생되는 온실효과는 지구표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
증가목표(Growth Target)
기준년도 배출량 대비 증가를 허용토록 감축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말함.
-
경성탄(Hard Coal Lignite)
수분과 회분을 제외한 계산기준으로 총열량이 24MJ/Kg(5700Kcal/Kg 또는 10260 Btu/1b) 이상인 가연성, 고체, 검은색, 화석 탄화물의 침강성 퇴적물. 단, 석탄의 총열량이란 30℃, 96% 상대습도의 공기와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회분제외기준으로 계산된 것임.
-
열수지(Heat Balance)
열평형, 열정산, 공급열량과 그 사용상태를 명확히하여 열의 출입량 관계를 정산하는 것. 이것에 의하여 열의 분포상태를 알고, 열손실을 줄여 이것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연료경제를 꾀하며 보일러 또는 공업요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가 얻어진다. kcal/연료(kg 또는 N㎥) 혹은 백분율을 쓴다.
-
열펌프(Heat Pump)
지하수, 표면수, 흙, 외부공기, 환기된 공기와 같은 저급의 열원으로부터 작동유체로 열을 전달하고 기계적 에너지와 같은 고급에너지를 응용함으로써(고온측에서) 열을 방출하기 이전에 작동유체의 온도를 높이거나 열 함량을 증가시키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