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뒤로

용어사전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에너지의 형태(Forms of Energy)

    고체연료(Solid Fuels), 액체연료(Liquid Fuels), 가스연료(Gaseous Fuels), 수력전기(Hydropower), 핵에너지(Nuclear Energy), 전기에너지(Electrical Energy), 태양에너지(Solar Energy), 생물에너지(Biomass Energy), 풍력에너지(Wind Energy), 해양에너지(Ocean Energy), 지열에너지(Geothermal Energy), 핵융합(Nuclear Fusion) 주 : 이러한 일반적인 용어들은 비평을 야기시키므로 각각의 에너지형태는 그 자체의 특정한 명칭으로 불러야 된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에너지"란 용어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에너지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더 체계적인 방법에 사용되거나 보다 정교한 기술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 마찬가지로 "고전 에너지"(혹은 전통에너지라고 불린다.) -종종 화석 연료나 부분적으로 전기에너지로 언급된다.-는 매우 상대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고 시간과 함께 반전된다. 재생에너지자원은 끊임없이 재생가능하고(끝없는 변화), 짧은 주기에서 재생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1년, 한세대 혹은 여러 세대에 걸치기도 하며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재생이 될 수 있다. "유동에너지" 그리고 "저장에너지" 등의 명칭은 때로는 "재생에너지"와 "비재생에너지를 구별하는 애매함과 같이 언급된다. 또한 "soft energy source"와 그 반대인 "hard energy source"라는 용어들은 공학적이나 경제적인 것 보다는 오히려 사회학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일반적인 용어들은 매우 직설적이고 질적인 방법에 단지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이 양으로 표시될 때, 그것들이 포함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 화석연료(Fossil Fuel)

    태고의 생물이 지각층에 매장되어 연료로 되어 사용되어지는 천연자원을 총칭해 화석연료라 부른다. 통상 석탄, 석유, 천연가스의 탄수화물을 지칭하며, 1차 에너지원으로서의 수력, 지열, 우라늄 등과 구분된다.

  • 연료전지(Fuel Cell)

    연료(주로 수소)와 산화제(주로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그 반응에너지를 전기로 직접 빼내는 직류발전장치이다. 연료의 연소에너지를 열로서가 아니고, 전기에너지로서 이용하는 것으로서, 전기자동차용 연료전지나 연료전지발전소 등의 고성능이고 경제성이 뛰어난 연료전지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 연료소비율(Fuel Consumption Rate)

    줄여서 연비라고도 말한다. 단위시간, 단위출력당의 연료소비량, 보통 g/psh, cc/psh로 나타낸다. 자동차에서는 연료단위량당의 주행거리 km/ℓ로 나타내기도 한다.

  • 연료가스(Fuel Gas)

    연료가스는 환경이 허용할 수 있는 연료로서 석유와 석탄 등을 원료로 해서 가스화에 의하여 얻어진다.

  • 연료유(Fuel Oil)

    석유제품중 에너지발생을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유종을 말하며 이에는 휘발류, 등유, 경유, B-C유, 제트류가 포함된다. 통상 석유제품은 연료유, LPG, 비연료유로 구분된다.

  • 로(Furnace)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물질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설계된 용기로서 통상적으로 내부는 내화성 물질로 장비되어 있다. 주 : 산업용 로는 아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 여기에 포함되는 것은 금속 용융, 철과 비철 금속의 열처리, 유리 생산, 도자기, 벽돌, 시멘트와 석회를 위한 가마의 가열 그리고 다수의 화학공정들이다.

  • 기체연료(Gas Fuel)

    기체형태의 연료로서 천연가스, 프로판 가스, 석탄 및 석유의 가스화 연료가 있다. 기체연료의 발열량에 따라 고열가스(9,400kcal/㎥, 천연가스 등), 증열가스(2,800∼3,800kcal/㎥, 수성가스 등) 및 저열가스(1,300kcal/㎥, 발생로 가스, 용광로 가스 등)로 나뉘어진다. 고열가스는 최근 액화천연가스로서 대량 수입되어, 발전용 및 도시가스로서 중요하게 되었으며 석탄, 석유의 가스화에 의한 합성 천연가스(SNG)가 연구 개발중이다. 중열가스인 수성가스는 메탄올로 이는 합성석유의 원료로서 중요한데 수성가스의 변성, 증열에 의한 합성 천연가스의 원료로도 된다. 저열가스는 공업용 및 발전용으로 중요하다. 장래의 크린가스로서 수소연료가 큰 연구과제로 되어있다. 기체연료는 고체 및 액체연료에 의해 탈류, 탈화되기 때문에 연소성, 취급 등의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 가스오일(Gas oil)

    끓는점이 200∼350℃의 범위에 속하는 석유제품을 말한다. 가스유, 중유, 경유, 중질등유, 발동기유라고도 한다. 등유와 중유의 중간 유분으로, 비중은 대체로 0.84∼0.90이다. 석유 원유를 증류하여 끓는점 200∼350℃ 사이에 유분을 채취하여 황산 및 가성소다로 세정하고 정제하여 제품으로 한다. 용도는 대체로 등유와 비슷하여 등화용, 동력용(석유기관, 고속 디젤 기관 등), 열용 등으로 사용되며, 기타 기계의 세척, 석유유제, 절삭유 등에도 사용된다. 수성가스 등의 중열용으로 사용한 데서 유래하여 가스 오일이라고 하게 되었다. 출처 : [가스뉴스 kgnp@gasnews.com]

  • 가스터빈(Gas turbine)

    터빈기관으로서 압축된 뜨거운 연소가스가 터빈을 작동시키고, 다음으로 이 터빈은 연소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압축기(콤프레샤)를 작동시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