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헤럴드경제] 2050년 탄소중립은재생에너지 확대로부터

  • 작성일 2021.04.01
  • 조회수 16592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이 화두다. 시나리오 작성을 시작으로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정책·제도 개선안 마련, 산업계 대응 방향, 지자체 및 시민사회의 역할 등 사회·경제 전 분야에서 논의가 진행 중이며, 큰 변화와 비용이 필요한 만큼 경제 주체들의 합의 도출은 꼭 필요한 과정이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로 대표되는 온실가스 순배출을 0으로 만드는 것인데, 작년에 발표된 2018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에 의하면 2018년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1990년 대비 150%, 전년 대비 2.5% 증가한 72760t. 이 중 에너지 분야에 의한 비중이 87%로 가장 크며, 산업공정, 농업, 폐기물 순으로 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에너지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은 83% 이상에 달하는 화석연료 사용이 가장 큰 원인이므로, 에너지 분야의 탈탄소화를 기본으로, 필수불가결하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순환경제 체계 구축이 이뤄져야 탄소중립이 가능하다.

 

최근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에서 발표한 2050년 탄소중립 전략은 우리의 방향 설정에도 참고할 만하다. IRENA에 따르면 2050년 최종에너지 소비는 에너지 효율기술들의 빠른 보급과 함께 2018년 수준을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하며, 전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 중 전기 비율은 201821%에서 205050%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을 통해 그 수요를 현 수준을 유지하면서, 1차 에너지 공급 74%, 발전량 90%를 재생에너지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중 태양광, 풍력과 같이 변동성 큰 전원도 총 발전량의 63%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가 2018지구온난화 1.5특별보고서에서 제시한 재생에너지 공급목표인 1차 에너지의 50~65%, 전력생산의 70~85%를 상회하는 수치이나 대부분의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방향성은 동일하다. 결국 탄소중립은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 확대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2019년 폐기물을 제외한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전력은 전체 전기생산량의 5% 수준이다. 태양광발전의 경우 20204GW 이상의 신규 설치가 예상될 만큼 연간 보급이 크게 늘었으나 탄소중립에 필요한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고려하면 크게 부족하다. 이를 위해서는 입지의 다변화가 필수적인데, 농지경작과 태양광발전이 동시에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이나 저수지나 댐, 바다 등을 활용하는 수상형 태양광의 보급은 상대적으로 입지 부담이 적다. 무엇보다 건물 옥상이나 벽면을 활용하는 건물형 태양광은 보급뿐만 아니라 분산에너지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어 가장 유력한 방안이다. 탄소중립 전략에 있어서도 그 역할에 대한 재조명과 함께 정책적 지원책들이 제시되고 있어 효율적인 보급 확대가 기대된다.

 

산업혁명 이후 200여년간 인류가 사용해온 화석연료를 포기해야 비로소 가능한 탄소중립의 실현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며 불가능에 가까운 도전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론이 거론될 수 있겠지만 난도가 높고 복잡한 문제일수록 핵심을 제대로 직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떠한 난관이 있더라도 그 핵심부터 해결해나가는 것이 당연한데, 탄소중립의 핵심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있다.

 

기사원문링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401000579

Print Back

페이지 7/14

전체 267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2021.02.15 18,574
2021.02.10 18,673
2021.02.08 18,768
2021.02.03 19,006
2021.01.21 16,719
2021.01.19 19,637
2021.01.12 18,213
2021.01.12 18,667
2021.01.01 21,648
2020.12.28 21,534
2020.12.22 21,342
2020.12.08 20,980
2020.11.30 19,924
2020.11.30 21,642
2020.11.30 21,321
2020.11.11 18,441
2020.11.02 21,296
2020.10.28 20,552
2020.10.26 21,517
2020.10.23 22,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