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전자신문] 연구현장을 가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자원순환연구실

  • 작성일 2021.04.26
  • 조회수 19021

[이경환 책임연구원과 김영두 선임연구원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화암캠퍼스에 구축한 연속 열분해

 공정 시스템의 운전 성능 결과를 두고 이야기를 나누고 잇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후변화연구부 에너지자원순환연구실은 미래에너지와 화학자원을 얻기 위해 바이오 매스와 폐자원 에너지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폐비닐을 연속식 열분해 플랜트를 통해 고품질 오일로 전환하는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매립지 고갈 과 수거업체들의 중단에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폐비닐 처리문제를 해소, 대체연료유와 같은 에너지 자원을 얻도록 고안한 장비다.


폐비닐은 2017년 기준 폐플라스틱 발생량 700만톤 가운데 300만톤에 달하지만, 열분해 처리되는 것은 소량 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경환 책임연구원이 에너지기술연구원 화암캠퍼스에 구축한 연속 열분해 공정은 일일 50㎏ 폐비닐을 처리 하고, 62% 오일을 얻을 수 있다. 50시간 이상 운전을 통해 연속 운전 성능을 검증했다.


기존 회분식 반응기는 1회에 5∼10톤의 원료를 투입, 반응 온도를 높여 장시간 가열해야만 오일을 생산할 수 있다. 원료의 연속적인 투입이 불가능한데다 반응 후 잔재물 처리 등을 위한 냉각 절차로 인해 한 차례 운전 후 정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 책임연구원은 “폐비닐 연속 투입과 열분해가 가능할 뿐 아니라 열분해 공정을 최적화해 기존 반응기에 비 해 동일 규모에서 처리량이 3배 이상 높다”고 설명했다.


연구실은 상용화 규모의 연속 열분해 공정을 설계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하반기에 일일 처리 규모 2톤의 열분해 공정을 기업 현장에 접목한다는 계획이다. 공정의 수율과 오일 질을 높이기 위한 후단 공정 개 발도 병행할 예정이다.


김영두 선임연구원은 “열분해 오일은 열원 생산용 연소 연료를 대체하는 것이 목적이며 후단 공정의 개발을 통해 오일의 질을 보다 높이고 활용처를 보다 확대 할 수 있는 상용화 기술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올해 2톤 급이 성공적으로 개발되면 향후 일 처리 10톤 이상 급 규모로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원문링크 : https://www.etnews.com/20210426000081#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0/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최근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거머쥐면서 한국 영화가 세계에 우뚝 선 쾌거를 이루었다. 한국은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5위권의 영화 시장 강국…
2020.02.26
[앵커멘트]한전과 에너지기술연구원이 힘을 합쳐 적은 비용으로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소재와 공정을 개발하고, 실증에도 성공했습니다. 기술이 …
2020.02.25
'중소기업 조력자' 출연연 새로운 역할 본보기中企, 에너지연 플랫폼연구실에 기술 시험 의뢰3년간 4529건 신청···잠수함·플랜트 등 업종 다양 에너지연 플…
2020.02.17
"딱딱한 조직 문화를 탈피하고 역동적이고 즐거운 일터를 만들고 있습니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직원들로 구성된 'E-board'가 전직원 산책 행사, 작은 음악회…
2020.02.05
에너지연 '제19회 모형 태양광 자동차 경주대회' 개최"방학 반납하고, 태양광 車 조립 매진하며 한팀 됐죠""직접 실습하며 원리 깨달아···과학·에너지 친숙해져…
2019.09.30
곽병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최고난도 소재 개발 이루려면 지도자 과감한 결단·안목 필수연구진은 사즉생 각오 도전해야 인재 투자·기계장비산업 육성도[서울…
2019.08.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곽병성 원장언제부터인가 우리는 주변에서 다양한 전기자동차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가솔린엔진의 보조동력으로 전…
2019.08.08
정남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글로벌연구센터장 인터뷰"바다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R&D 중요..지속적 정부지원 절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2019.05.02
"여기 실험 결과 보이나요? 땅콩이 쌀보다 2배의 열량을 가지고 있네요."24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은 어린이들의 목소리로 가득했다. 김소희 에…
2019.04.25
곽병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투데이에너지]우리는 지난 200여년간 지구를 점점 더워지게 만들어 인류의 존속을 위협하는 절대적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이 지…
2019.04.24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시민권을 받은 인공지능(AI) 로봇 소피아, 세계에서 1126만㎞ 이상을 달린 구글 자율주행차, 상주 인력 10여명이 연간 운동화 50만 켤레…
2019.04.16
송희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팀, 금속층 기판 도입으로 100μm급 초박형 기판 구현태양전지 변환효율 19.2%대···공정 간소화로 제조비 절감   대체 에너…
2019.04.12
고석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팀, 태양전지 고장진단 모듈일체형 센서 개발무선센서 인버터로 실시간 모니터링, 유지비용 절감효과   태양광 발전이 신재…
2019.04.08
  한치환 에너지연 연구팀 '무전원 광 감응 자동 색변환 유리 및 필름' 기술 개발광흡수층 일체형 소자로 윈도우 색 자동조절, 자동차 창문부터 빌딩 외벽 빛 …
2019.04.03
  선택과 집중으로 효율 높여..지난해 기술이전 수입 55억유럽기업도 우리 기술 탐내..조만간 좋은 소식 있을 것   "기술이전료 수입을 첫해 40억원, 2년째 …
2019.04.01
"수소경제에 대한 명확한 투자 방향과 전략을 정하고, 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수소 컨트롤타워'가 확립돼야 한다. 수소 생산·저장·…
2019.03.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개발한 새로운 산소투과 멤브레인 기술은 순수한 산소를 저렴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순수한 산소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
2018.11.14
이정인 에너지연 박사, 태양광의 역할과 연구방향에 대해 강의 "전등 없이 공부하는 라오스의 한 학교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빛이 들어오게 했어요. 여러분들…
2018.11.13
김희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촉매의 역할과 중요성 강조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사람), '쟤물포(쟤 때문에 물리 포기했어)' 등. 과학은 평소 쉽지 않…
2018.10.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올해 3월 광주광역시에 바이오에너지 전문 연구기관 ‘광주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센터장 이진석)’를 개원했다. 광주…
2018.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