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헤럴드경제] 탄소중립, 기술혁신이 답

  • 작성일 2021.02.18
  • 조회수 12395

세계 주요국이 앞다퉈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2050 탄소중립을 향한 사회 전 분야 전환을 위해 유럽그린딜을 발표하고 관련 노력들을 기울여왔다. 이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2019년 태양광과 풍력발전에 의한 전기생산량이 석탄 발전량을 추월한 데 이어 지난해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화석연료 발전량을 넘어섰다. 중국은 ‘2060 탄소중립을 공언, 지난해 풍력 71.7GW, 태양광 48.2GW 규모의 설비 설치로 세계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도하고 있다. 미국도 새 행정부 출범과 함께 파리협정에 재가입하고,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대규모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해 한국형 그린뉴딜종합계획 발표 이후 ‘2050 탄소중립선언에 동참했으며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을 통해 탄소중립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구상 중이다.

 

 

온실가스 순배출량 ‘0’을 의미하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국내 1차 에너지로 80% 이상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현재에서 탈피해 변혁적인 에너지 시스템 구축이 필수 불가결하다. 이를 위해 우선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무탄소 전원 사용의 확대와 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전체적 에너지 시스템의 전기화가 필요하다. 수송 부문에서도 전기차 보급으로 전기화를 도모하되, 수소·바이오매스 기반의 청정연료 사용을 확대해야 한다. 무탄소 에너지원만 사용하더라도 온실가스 배출을 피할 수 없는 산업 공정들도 존재하는데, 그 감축과 에너지 효율 향상까지 극대화될 때 비로소 탄소중립 구현이 가능해진다.

 

 

탄소중립은 무탄소 전원의 핵심인 재생에너지가 중심이라는 점에서 그간 화두가 돼온 에너지 전환그린 뉴딜과 궤를 같이하면서도 당면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전 지구적 목표를 앞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그 함의에 차이가 있다. 화석연료 중심 사회에서 친환경에너지 중심으로 전환하는 에너지 시스템의 변혁은 에너지의 종류나 수급구조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많은 부분이 전방위적으로 바뀌어야만 가능한 도전이다. 이를 위해 경제성, 수용성, 계통안전성, 부지확보 등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하지만 기술혁신이 탄소중립 성공의 근간이 되리라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예를 들어 한계효율을 뛰어넘는 이중 접합 태양전지 기술이 개발·보급되면 설치 면적의 제약을 극복하고 태양에너지 잠재량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경량·다색·투광 등 다기능 태양전지의 개발은 설치 형태나 위치 제약 극복으로 수용성 및 부지 확보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기술로 수용성 이슈 등을 보완할 수 있으며, 재생에너지 연계 전력망 기술, 이차전지 기반의 에너지 저장 및 변환 기술, ‘그린 수소등도 탄소중립에 필요한 혁신기술이다. 기술집적화를 통한 탄소중립도시 구현도 중요한데, 선진적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핵심기술들을 최적 적용함으로써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과 온실가스 감축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는 그 자체로도 개발 난이도가 높은 기술들이지만 그 혁신이 보급과 적용으로 이어져 탄소중립 구현이라는 사회혁신까지 이어지려면 요소 기술들의 접목과 융합이 전 개발 단계와 분야에서 목표를 향해 유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를 통해 목표달성에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앞당길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도 가능하다. 2050 탄소중립까지 30년 남았다. ‘에너지 전환을 기반으로 탄소중립목표달성을 향한 그린뉴딜의 성공, 친환경에너지 확대를 위한 혁신기술 개발에 달렸다.


기사원문링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218000599

Print Back

전체 248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과학 이야기과학과 놀자 (44) 화학반응에 대한 이해 화학공장은 전처리, 반응, 분리·정제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주요 구성 장치는 반응기, 열교환기, 분리기(…
2021.04.12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이 화두다. 시나리오 작성을 시작으로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정책·제도 개선안 마련, 산업계 대응 방향, 지자체 및 시민사회의 …
2021.04.01
■ 윤하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앵커]휴대전화부터 전기차까지 배터리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엔 플렉서블 웨어러블 기기가…
2021.03.26
[우상혁 한국에너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기후변화라는 말을 들으면 아마도 대부분 독자들은 조그만 얼음 위에 서 있는 북극곰을 상상할 것이다. 기후 변화는 최…
2021.03.23
이산화탄소 배출없는 친환경에너지 주목에너지기술硏, 고효율 수전해 기술 개발수소자동차 상용화 시대 앞당길 원천기술[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진이 개발한 수…
2021.03.17
과학 이야기과학과 놀자 (40) 석유화학산업의 이해 플라스틱 섬유 등 우리 소지품 70% 이상이 석유화학 산물 원유를 끓는점 차이로 분리·정제해 나프타, …
2021.03.15
■ 강기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앵커]태양으로부터 받은 빛을 전기로 활용하는 '태양광 에너지'는 미래 대체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죠. 하지만 태양…
2021.03.12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나날이 심각해지는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해 이제는 전 세계가 현실을 자각하고 있으며 탄소중립사회 실현을 위한 노…
2021.02.26
백동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울산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책임연구위원요즘 출퇴근길에 연구소에서 가까운 남구 옥동 수소충전소를 매일 지나다니며 눈여겨보는…
2021.02.24
과학 이야기 과학과 놀자 (37) 정유산업의 이해 화학공학과에서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는 '석유는 언제쯤 고갈될까'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2018년 원유…
2021.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