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전자신문-이슈분석] "태양광 산업, 고효율 태양광 셀 초격차가 관건"

  • 작성일 2021.02.03
  • 조회수 12572

윤재호 에너지기술硏 태양광연구단장

탠덤셀 등 고출력 제품 5년 내 상용화

프리미엄 전략으로 中 추격 따돌려야

그린뉴딜·탄소중립 등 국익에도 도움


[윤재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장. (사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고효율 (태양광) 셀 기술력을 높이는 것이 태양광 산업을 선도할 핵심이다.”


윤재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장은 “향후 수년 내 고부가가치(고효율) 태양광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셀은 태양전지 기본 단위(약 10㎝)로, 이를 여러 개로 합치고 구성한 것이 모듈이다. 모듈은 패널 1매 단위다.


윤 단장은 셀 기술력 강화는 국내 태양광 산업 생존을 위해 필수불가결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LG(LG전자)나 한화(한화솔루션) 등 국내 기업의 셀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생산량 등을 놓고 중국과 경쟁해야 한 다”면서 “태양광 효율은 셀 기술력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전체 모듈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셀 기술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부가가치 태양광 모듈 제조를 위해서는 기본 단위인 셀 경쟁력부터 갖춰야 한다 는 의미다.


[사진= UNIST 제공]


우리나라 태양광 산업은 중국으로부터 위협받고 있다. 중국산 셀 의존도는 심화하고 있고, 모듈 가격 경쟁력 도 뒤처진다. 윤 단장은 “우리나라와 중국 간 태양광 기술 격차는 거의 없는 상황”이라면서 “가격 경쟁력이 가 장 문제”라고 짚었다.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다결정 실리콘 모듈 가격은 W당 0.17달러로 하향 안정화에 접어들었다. 저가 셀을 내세운 중국이 태양광 시장을 선도하면서 태양광 모듈 가격까지 하락 세다.


윤 단장은 가격 경쟁력을 극복할 유일 수단은 태양광 기술 격차 확대밖에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대표적인 것 이 탠덤셀이다. 탠덤셀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 광흡수층에 두 가지 이상 물질을 사용한다. 이 물질들이 받 아들이는 태양광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흡수 가능한 에너지가 많다. 태양광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때 문에 약 20%대인 기존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화솔루션 등은 탠덤셀 전 문가들을 영입하고,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관련 연구개발(R&D) 지원을 받고 있다.


윤 단장은 “향후 3~5년 사이 탠덤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이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확대될 고출력 태양광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기술 격차를 벌이는 프리미엄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단장은 현재 우리나라 기술력 수준에 비춰볼 때 기술 격차 확대는 어렵지 않을 것으로 진단했다. 그는 “우 리나라는 세계적인 반도체 강국”이라면서 “고효율 태양광 시장으로 재편될수록 우리나라가 보유한 반도체 공정 및 소자 기술 등을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단장은 셀 경쟁력 강화가 결국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고부가가치 셀 생산에 나선다면 그린뉴딜과 탄소중립을 추진 중인 정부의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설치 면적을 줄이면서도 설치량을 확대할 수 있고, 결국 내수 시장 활성화를 통한 국내 산업 생태계 육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원문링크 : https://www.etnews.com/20210202000067

Print Back

전체 241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나날이 심각해지는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해 이제는 전 세계가 현실을 자각하고 있으며 탄소중립사회 실현을 위한 노…
2021.02.26
백동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울산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책임연구위원요즘 출퇴근길에 연구소에서 가까운 남구 옥동 수소충전소를 매일 지나다니며 눈여겨보는…
2021.02.24
과학 이야기 과학과 놀자 (37) 정유산업의 이해 화학공학과에서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는 '석유는 언제쯤 고갈될까'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2018년 원유…
2021.02.22
세계 주요국이 앞다퉈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2050 탄소중립’을 향한 사회 전 분야 전환을 위해 ‘유럽그린딜’을 발표하고 관련 노력들을 기울…
2021.02.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진석 책임연구원]필자는 바이오디젤 보급 초기 단계부터 연구개발을 진행해 오면서 관련 산업의 태동 시기의 혼란스러움과 어려움을 …
2021.02.15
[국민 생활 도움 주는 과학기술센터] (3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시멘트 제조는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산업군이다. 따라서 업…
2021.02.10
[정학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효율연구본부장]문재인 대통령은 2020년 10월 28일 국회 시정 연설에서 2050년 탄소 중립을 선언했다. 탄소 중립이란 사회…
2021.02.08
윤재호 에너지기술硏 태양광연구단장탠덤셀 등 고출력 제품 5년 내 상용화프리미엄 전략으로 中 추격 따돌려야그린뉴딜·탄소중립 등 국익에도 도움 [윤재호 한…
2021.02.03
■ 이수연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앵커]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는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주범이죠. 그런데 미생물을 활용하면 이산화탄소…
2021.01.21
과학 이야기 과학과 놀자 (33) 화학과와 화학공학과의 차이 화학은 물질단위 변화와 합성, 화학공학은 공학적 접근법 다뤄사진=연합뉴스 …
2021.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