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에너지연, 기후변화 대응 기술로 신화 꿈꾼다

  • 작성일 2017.08.08
  • 조회수 4704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수출을 목표로 기후 변화 대응 기술을 개발한다. 3년 안에 주요 기반 기술을 개발해 수출하고, 2025년까지 기술 완성도를 최고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에너지연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청정연료 연계 CCU(탄소 포집 및 이용) 기술 개발' 계획을 연구 부문 중점 추진 목표로 설정, 연구 및 상용화에 착수한다고 2일 밝혔다.

화석에너지 남용으로 심화되는 기후 변화를 막고 세계 기술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취지다.

 

저등급 석탄 고품위화를 위해 바이오매스를 입힌 하이브리드 석탄의 개념도 

<저등급 석탄 고품위화를 위해 바이오매스를 입힌 하이브리드 석탄의 개념도>

 

에너지연은 이를 위해 △청정연료 생산 및 저급 자원의 고부가 가치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 저배출 청정 발전 플랜트 개발 △세계 최고 수준의 온실가스 포집 및 이용 기술 개발 등 세 가지 세부 기술 분야를 선정했다. 환경에 영향을 덜 미치는 연료에서부터 이를 이용한 발전, 환경 유해가스 포집까지 연계해서 이어 가겠다는 의도다.

청정연료 분야는 등급이 낮은 석탄의 품위를 늘려 청정화하고 효율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바이오 오일 및 팜유와 같은 바이오매스를 섞어 열량을 높이고, 격자무늬로 된 건조 장치를 적용해 열 공정 효율을 개선하는 등 세부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청정 발전 플랜트 분야에서는 '순환 유동층 발전 플랜트' 설계 패키지 개발에 주력한다. 순환 유동층 발전 플랜트는 플랜트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서 재나 아직 타지 않은 탄소를 쉽게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별도 설비가 있어야 제거할 수 있던 황화합물을 플랜트 내에서 직접 제거하는 것이 핵심이다. 에너지연은 이미 20메가와트(㎿) 규모의 소형 발전소 기술을 확보, 일본 수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 흡수제인 'KIERSOL'의 모습

<이산화탄소 포집 흡수제인 'KIERSOL'의 모습>

 

온실가스 포집·이용 기술은 기존 기술 발전에 중점을 뒀다. 에너지연은 매년 세계 최고 수준의 관련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현재 미국 몬태나주 '콜스트립 파워 플랜트'에서 액상 형태의 흡수제를 이용한 공정을 시험 운전하는 등 실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실증이 완료되면 미국을 비롯한 세계 시장에 관련 기술을 수출할 계획이다. 

류호정 기후변화연구본부장은 “세부 요소 기술 개발에만 힘쓰던 과거에서 벗어나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전체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세계가 인정하고 이전받으려 하는 기술을 개발, 기후 변화 대응과 함께 경제 성과도 거두겠다”며 의욕을 내비쳤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원본 링크 : http://www.etnews.com/20170802000257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0/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최근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거머쥐면서 한국 영화가 세계에 우뚝 선 쾌거를 이루었다. 한국은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5위권의 영화 시장 강국…
2020.02.26
[앵커멘트]한전과 에너지기술연구원이 힘을 합쳐 적은 비용으로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소재와 공정을 개발하고, 실증에도 성공했습니다. 기술이 …
2020.02.25
'중소기업 조력자' 출연연 새로운 역할 본보기中企, 에너지연 플랫폼연구실에 기술 시험 의뢰3년간 4529건 신청···잠수함·플랜트 등 업종 다양 에너지연 플…
2020.02.17
"딱딱한 조직 문화를 탈피하고 역동적이고 즐거운 일터를 만들고 있습니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직원들로 구성된 'E-board'가 전직원 산책 행사, 작은 음악회…
2020.02.05
에너지연 '제19회 모형 태양광 자동차 경주대회' 개최"방학 반납하고, 태양광 車 조립 매진하며 한팀 됐죠""직접 실습하며 원리 깨달아···과학·에너지 친숙해져…
2019.09.30
곽병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최고난도 소재 개발 이루려면 지도자 과감한 결단·안목 필수연구진은 사즉생 각오 도전해야 인재 투자·기계장비산업 육성도[서울…
2019.08.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곽병성 원장언제부터인가 우리는 주변에서 다양한 전기자동차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가솔린엔진의 보조동력으로 전…
2019.08.08
정남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글로벌연구센터장 인터뷰"바다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R&D 중요..지속적 정부지원 절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2019.05.02
"여기 실험 결과 보이나요? 땅콩이 쌀보다 2배의 열량을 가지고 있네요."24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은 어린이들의 목소리로 가득했다. 김소희 에…
2019.04.25
곽병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투데이에너지]우리는 지난 200여년간 지구를 점점 더워지게 만들어 인류의 존속을 위협하는 절대적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이 지…
2019.04.24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시민권을 받은 인공지능(AI) 로봇 소피아, 세계에서 1126만㎞ 이상을 달린 구글 자율주행차, 상주 인력 10여명이 연간 운동화 50만 켤레…
2019.04.16
송희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팀, 금속층 기판 도입으로 100μm급 초박형 기판 구현태양전지 변환효율 19.2%대···공정 간소화로 제조비 절감   대체 에너…
2019.04.12
고석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팀, 태양전지 고장진단 모듈일체형 센서 개발무선센서 인버터로 실시간 모니터링, 유지비용 절감효과   태양광 발전이 신재…
2019.04.08
  한치환 에너지연 연구팀 '무전원 광 감응 자동 색변환 유리 및 필름' 기술 개발광흡수층 일체형 소자로 윈도우 색 자동조절, 자동차 창문부터 빌딩 외벽 빛 …
2019.04.03
  선택과 집중으로 효율 높여..지난해 기술이전 수입 55억유럽기업도 우리 기술 탐내..조만간 좋은 소식 있을 것   "기술이전료 수입을 첫해 40억원, 2년째 …
2019.04.01
"수소경제에 대한 명확한 투자 방향과 전략을 정하고, 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수소 컨트롤타워'가 확립돼야 한다. 수소 생산·저장·…
2019.03.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개발한 새로운 산소투과 멤브레인 기술은 순수한 산소를 저렴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순수한 산소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
2018.11.14
이정인 에너지연 박사, 태양광의 역할과 연구방향에 대해 강의 "전등 없이 공부하는 라오스의 한 학교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빛이 들어오게 했어요. 여러분들…
2018.11.13
김희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촉매의 역할과 중요성 강조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사람), '쟤물포(쟤 때문에 물리 포기했어)' 등. 과학은 평소 쉽지 않…
2018.10.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올해 3월 광주광역시에 바이오에너지 전문 연구기관 ‘광주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센터장 이진석)’를 개원했다. 광주…
2018.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