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에너지연, 도시·신재생에너지 연결 '플러스 에너지 소사이어티' 연구 시동

  • 작성일 2017.07.04
  • 조회수 406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도시를 에너지 자립화 기술 개발에 나선다. 2020년까지 관련 요소 기술을 확보하고 이후 국내 도시 적용 및 수출을 위한 패키지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에너지연은 최근 연구 부문 중점 추진 전략으로 신재생에너지 혁신 기술 개발 및 '플러스 에너지 소사이어티 구현' 계획을 수립, 연구에 착수한다고 3일 밝혔다. 전 세계에 확대되는 신재생에너지 확대 요구에 발맞춰 관련 기술 시장을 선도하고 '눈에 보이는 세계 수준의 성과'를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신재생에너지로 에너지 자립을 이룬 도시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기존 전력은 도시 밖 대규모 발전 시설에서 만든 것을 도시로 전달한다. 별도 발전소를 건립해야 하고, 해당 지역 주민의 반발도 적지 않다. 장거리 전력 전송에 따른 비효율성 문제도 거론된다.


에너지연은 문제 해결을 위해 에너지 생산지와 수요지를 일치시킨다는 방침이다. 도시 곳곳에 태양전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원을 설치하고 전력을 자체 생산해서 에너지 활용 효율성을 높이면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진이 태양전지를 연구하는 모습. 에너지연은 기존에 개발한 태양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건물 타일, 벽면재로 쓸 수 있는 차세대 전지를 개발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진이 태양전지를 연구하는 모습. 에너지연은 기존에 개발한 태양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건물 타일, 벽면재로 쓸 수 있는 차세대 전지를 개발한다.>


에너지연은 이를 위해 오는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도시에 적용하기 위한 요소 기술을 개발한다. 건물의 옥상 타일이나 벽면재로 쓸 수 있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다양한 건물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유연 소자를 적용할 예정이다. 높은 곳의 강풍에 견디도록 내구성을 높이고, 제조 단가도 낮춘다. 


수소 연료전지 상용화 기술 개발에도 힘쓴다. 가압형 수소 생산 시스템을 개발해 수소 사회를 구현하는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열 네트워크기술로 전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연구도 함께 진행한다. 


요소 기술 개발이 본 궤도에 오르면 인근 도시와 에너지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 풍력과 같이 날씨에 큰 영향을 받는 에너지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요·공급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고, 필요하면 외부와 에너지를 공유해 수급 안정화를 이뤄야 한다.


에너지연은 첨단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기술을 가미해 전력 수요를 정밀 파악하고 공유량을 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천리안 인공위성을 이용해 전국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파악하는 '신재생자원지도'도 만든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구축한 수소스테이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구축한 수소스테이션>


윤재호 신재생에너지연구본부장은 “극심한 기후 변화, 환경오염에 대비해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려는 수요가 점점 커지고 있다”면서 “여러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으고 패키지화하면 세계에서도 각광받는 체계를 만들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원문 링크 : http://www.etnews.com/20170703000269

Print Back

페이지 10/14

전체 280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곽병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최고난도 소재 개발 이루려면 지도자 과감한 결단·안목 필수연구진은 사즉생 각오 도전해야 인재 투자·기계장비산업 육성도[서울…
2019.08.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곽병성 원장언제부터인가 우리는 주변에서 다양한 전기자동차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가솔린엔진의 보조동력으로 전…
2019.08.08
정남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글로벌연구센터장 인터뷰"바다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R&D 중요..지속적 정부지원 절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2019.05.02
"여기 실험 결과 보이나요? 땅콩이 쌀보다 2배의 열량을 가지고 있네요."24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은 어린이들의 목소리로 가득했다. 김소희 에…
2019.04.25
곽병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투데이에너지]우리는 지난 200여년간 지구를 점점 더워지게 만들어 인류의 존속을 위협하는 절대적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이 지…
2019.04.24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시민권을 받은 인공지능(AI) 로봇 소피아, 세계에서 1126만㎞ 이상을 달린 구글 자율주행차, 상주 인력 10여명이 연간 운동화 50만 켤레…
2019.04.16
송희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팀, 금속층 기판 도입으로 100μm급 초박형 기판 구현태양전지 변환효율 19.2%대···공정 간소화로 제조비 절감   대체 에너…
2019.04.12
고석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팀, 태양전지 고장진단 모듈일체형 센서 개발무선센서 인버터로 실시간 모니터링, 유지비용 절감효과   태양광 발전이 신재…
2019.04.08
  한치환 에너지연 연구팀 '무전원 광 감응 자동 색변환 유리 및 필름' 기술 개발광흡수층 일체형 소자로 윈도우 색 자동조절, 자동차 창문부터 빌딩 외벽 빛 …
2019.04.03
  선택과 집중으로 효율 높여..지난해 기술이전 수입 55억유럽기업도 우리 기술 탐내..조만간 좋은 소식 있을 것   "기술이전료 수입을 첫해 40억원, 2년째 …
2019.04.01
"수소경제에 대한 명확한 투자 방향과 전략을 정하고, 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수소 컨트롤타워'가 확립돼야 한다. 수소 생산·저장·…
2019.03.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개발한 새로운 산소투과 멤브레인 기술은 순수한 산소를 저렴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순수한 산소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
2018.11.14
이정인 에너지연 박사, 태양광의 역할과 연구방향에 대해 강의 "전등 없이 공부하는 라오스의 한 학교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빛이 들어오게 했어요. 여러분들…
2018.11.13
김희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촉매의 역할과 중요성 강조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사람), '쟤물포(쟤 때문에 물리 포기했어)' 등. 과학은 평소 쉽지 않…
2018.10.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올해 3월 광주광역시에 바이오에너지 전문 연구기관 ‘광주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센터장 이진석)’를 개원했다. 광주…
2018.09.21
날씨와 기후를 인간이 마음먹은 대로 지배한다. 최근 개봉한 영화 '지오스톰'의 내용인데요. 과연 현실에선 어떨까요? 김예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인…
2017.11.06
- 3년 내 연간 기술료 수입 100억 달성 목표 - 에너지관리 핵심기술 및 에너지시스템 융복합 기술 개발 주력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기후변화, 미세먼지, …
2017.09.28
[이슈&뷰스]정부출연硏 R&D 전략, 기업에서 배워야  곽병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 우리나라 과학기술 연구개발에는 정부출연연구소(출연연), 대학, 기업 등…
2017.08.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수출을 목표로 기후 변화 대응 기술을 개발한다. 3년 안에 주요 기반 기술을 개발해 수출하고, 2025년까지 기술 완성도를…
2017.08.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도시를 에너지 자립화 기술 개발에 나선다. 2020년까지 관련 요소 기술을 확보하고 이후 국내 …
2017.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