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에너지연, 포스코기술연구원과 ‘그린 철강’ 위해 손잡다.

  • 작성일 2023.09.19
  • 조회수 86685

- 9/19(화), 포스코기술연구원에서 바이오매스 활용 및 온실가스 저감 기술 업무협약 체결

- 철강 산업 석탄 대체를 위한 탄소중립적 바이오매스 적용 공동 개발 협력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창근)과 포스코기술연구원(원장 주세돈)은 19일 포스코기술연구원(포항)에서 바이오매스 활용과 온실가스 저감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자동차, 조선, 기계, 방위 등 대부분 산업에 소재를 공급하는 ‘산업의 쌀’ 철강 산업은 대표적인 온실가스 배출 산업이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18억 톤의(20년 기준) 철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글로벌 배출량의 약 7%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 국내 철강 산업의 2019년 기준 CO2 배출량은 1.17억 톤으로 전체 배출량의 16%, 산업부문의 36%를 차지


□ 올해 발표된 ‘탄소중립·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산업 부문의 이산화탄소 배출은 현재보다 11% 이상 감축돼야 한다. 이에 철강 산업의 대표기업들은 ‘저탄소’, ‘친환경’으로의 근본적 변화를 모색하며 협력을 꾀하고 있다.

* 2018년 산업부문 CO2 배출량 260.5백만톤 -> 2030년 230.7백만톤으로 11.4% 감축 필요


 에너지·환경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철강 기술 전문 연구기관인 포스코기술연구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바이오매스 원료 선정 및 고품위화 ▲바이오매스의 제철 공정 적용 기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 기술 정보교류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현재 포스코를 포함한 철강 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은 고로-전로* 공정에서 사용하는 석탄이 주원인으로, 바이오카본**으로 석탄을 대체하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이에 포스코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고로 공정, 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의 공정의 연료로 바이오카본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 중이다.

* 고로: 석탄(코크스)과 철광석(소결광)을 고로 상부에서 넣어 겹겹이 쌓은 뒤, 고로 하부에 뜨거운 바람을 불어넣어 녹여서 ‘용선’이라고 하는 쇳물을 만들어 내는 설비

* 전로: 고로에서 생산한 쇳물인 ‘용선’을 불순물을 제거한 깨끗한 쇳물 ‘용강’으로 정련하는 제강로

** 바이오카본: 바이오매스를 산소가 부족하거나 없는 조건에서 열분해하여 생성되는 고형물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고품질 바이오카본 생산을 위한 COMB* 반응기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은 기존 킬른(회전 원통 방식) 대비 크게 줄어든 열풍 유량으로 원료와의 접촉을 최적화해 바이오카본 생산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현재 5톤/일 규모의 실증 장치도 운영되고 있다. 이 기술을 기반으로 양 기관은 향후 바이오카본의 제조와 철강 공정 적용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 역흐름 다중 방해판 열분해(Counter flOw Multi Baffle): 반응기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의방해판을 설치해 최소 열풍 유량으로 와류를 유발함으로써 고체와 기체간의 접촉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바이오매스 건조/열분해 장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창근 원장은 “2023년에 발표된 정부의 철강 부문 감축 방안은화석연료를 바이오매스 등으로 대체하는 것”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철강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으로 2050 탄소중립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자”고 밝혔다.


□ 포스코기술연구원 주세돈 원장은 “포스코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수소환원제철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업무협약은 포스코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매우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19

전체 369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2025.01.15 520
2024.12.23 32,455
2024.12.23 31,203
2024.12.03 58,122
2024.11.22 72,436
2024.11.15 80,652
2024.11.15 50,646
2024.11.08 60,576
2024.11.01 43,466
2024.10.24 40,649
2024.10.15 41,619
2024.10.10 48,305
2024.09.25 59,393
2024.09.11 68,822
2024.08.30 73,669
2024.08.28 65,272
2024.08.22 66,264
2024.08.21 47,659
2024.08.13 39,974
2024.08.06 34,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