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에너지연, 국내 에너지기술혁신 분석 결과 발표

  • 작성일 2012.02.17
  • 조회수 69468

에너지연, 국내 에너지기술혁신 분석 결과 발표 

 

 


 

 

그린에너지기술, 기술개발 기간은 3.3년 수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핵심기술 보유를 위한 노력 절실

 

 

□  2009년부터 녹색성장을 주도하는 정부의 그린에너지기술개발에 대한 분석결과가 나왔다. 그린에너지기술 분야는다른 기술분야와 비교하여 기술혁신이 힘든 분야로 알려져 왔으나 그동안 기술개발 역량을 집중 시켜 2011년 한국에너지기술대전에 출품한 제품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기술개발 기간은 3.3년, 연구개발 중심 기술의 개발 기간은 4.1년이 소요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황주호)은 최근 국내 에너지기술혁신의 조사 분석 결과를 이슈페이퍼를 통해 발간한 “국내 에너지기술혁신 현주소” 에서 2011년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출품업체와 에너지기술개발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에서 그린에너지기술을 대상으로 기술혁신 실태를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 이루어진 것으로써, 분석 결과에 의하면 기술혁신의 목표는 제품혁신(57%)이 공정혁신(33%) 보다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확보의 경우 자체개발, 국내공동연구, 국내기술제휴, 해외기술 순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기술혁신의 성숙도에서는 연구기관의 시제품(53.9%)과 기업체의 완제품(63.6%)이 각각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기술시장 진입효과의 경우, 실제 기술대전에 출시되고 있는 제품은 유사하고 다양한 기술완제품으로 시장군(市場群)을 형성하면서 시장확보 전략과도 맞물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들 기술은 이미 특허를 주무기로 국․내외 시장을 저울질하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분석도 함께 진행한 이번 조사에서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각국의 특허등록을 조사한 결과, 태양전지의 경우 미국, 일본, 유럽, 한국, 대만 등이 등록이 우수한 국가로 조사된 반면 기술영향력지수(PII)에서는 미국(1.8), 일본(0.7), 독일(0.6), 한국(0.2)순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특허에 대한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고, 특허패밀리지수(PFS)에서도 독일(1.7), 미국(1.1), 일본(0.8), 한국(0.6), 대만(0.5) 순으로 국내 특허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고, 연료전지기술과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의 국내 기술혁신 또한 낮은 범주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 기술영향력 지수(PII) : 특정 국가나 기업에 대한 기술혁신 성과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로써, 특정주체의 특허가 차후에 발생하는 특허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음.

※ 특허패밀리 지수(PFS) : 특정 주체의 특허가 등록된 국가의 수를 활용하여 해당 특허의 지적재산권 확보지역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기술적 중요성과 혁신성과의 가치를 나타냄.

 

 

□  연구책임자인 박수억 책임연구원은 “이번 분석 결과는 국내 특허의 질적 향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중요한 시사점을 안겨주고 있다”고 밝히면서, “한국의 그린에너지기술혁신은 기술개발 속도가 많이 향상되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 핵심기술개발이 미비하여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4/19

전체 368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2013.05.29 58,721
2013.04.22 61,810
2013.04.15 61,090
2013.03.29 57,432
2013.03.29 56,312
2013.01.28 59,264
2013.01.22 60,532
2012.10.15 70,287
2012.10.15 72,971
2012.09.18 73,049
2012.08.31 67,415
2012.08.22 75,226
2012.07.25 66,659
2012.07.25 64,543
2012.07.25 68,329
2012.07.04 66,854
2012.07.04 72,358
2012.06.01 71,289
2012.05.14 70,208
2012.05.02 68,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