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고온의 물체에서 저온의 물체로 이동하는 에너지의 일종으로, 역학적 일과 구별하여 내부에너지의 변화를 가져오는 에너지를 열이라고 하고, 그 출입량을 열량이라고 부른다.
폐열보일러등 열교환에 의하여 폐열을 회수하는 방식.
열량운반의 매체로서 쓰여지는 유체로 취급할 수 있고 열적으로 안정되며, 매체 단위중량당의 열용량이 크고, 압력범위도 적당하며, 전열계수도 높다. 장치에 대한 부식성이 적고 불연성, 가격이 저렴, 무독한 것이 필요하다. 공업적으로는 연도가스, 열공기, 수증기, 열유, 보일러 dowtherm 등의 폐열회수에 이용되는 것도 있다.
단위량의 연료가 일정조건하에서 완전 연소한 경우에 내는 열량.
수은, 납, 세레늄, 그리고 크롬과 같은 원자량이 큰 원소. 비소, 베릴륨, 망간, 아연, 구리, 니켈, 카드뮴, 탈륨, 바나듐, 그리고 코발트도 가끔 포함된다. 이러한 원소들은 보통 산업공정에서 사용되며 환경으로 배출되면 생명체에 흡수 축적되어 독성을 나타낸다.
원유를 증류해 가솔린과 등유, 경유 등을 추출한 후에 남는 상압잔사유에서 얻어진다. 인화점이 높은 연료유.
D2O 또는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로 이루어진 물. 보통물에는 1/6000정도의 비율로 존재하며 어떤 원자로에서는 순수 중수를 감속재로 사용.
불연성 무독성 가스로 취급이 용이하며, 화학적으로 안전하여 냉장고 및 에어컨의 냉매, 발포, 세정, 반도체 에칭가스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몬트리올의정서에 의해 사용이 규제된 CFCs, HCFCs의 대체물질임. 국내에서 소비되는 HFCs의 99%는 냉매인 HFC-134a 임.
종래의 석유계 탄화수소 연료에 비해서, 발열량 및 연소온도가 높고 추진력이 큰 연료, 수소, 베릴리움, 붕소, 리튬 등은 단위 질량당 연소열이 크며,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소등은 고온화염을 내기 때문에 액체수소나 상기 원소의 수소화물 및 단체의 비분말을 탄화수소 연료에 현탁시키거나 고체연료에 섞어서 속에 넣은 것 등이 고에너지 연료이다.
800℃ 이상의 온도에서 석탄을 건류하고 남은 고체 잔유물. 800℃라는 최저온도는 전세계적으로 일정하지는 않다. 어떤나라(프랑스,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경성탄의 경우 1000℃, 갈탄의 경우 900℃를 최저온도로 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