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뒤로

용어사전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궁극매장량/최대 매장량(Ultimate or Reserves)

    지구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언젠가는 발견될 수 있는 탄화수소의 양. 이것은 기술적이나 경제적 개념, 혹은 시간적 제약에 관계없는 순수한 지질학적 개념이다.

  • 금속수소산화물(수소흡장합금이용 수소저장)

    금속합금 형태로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금속의 결정 격차 공간에 수소를 채워 저장한다.

  • 기저부하용 발전소(Base-load Power Station)

    주로 기저부하대 소요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

  • 기준년도(Historical Base Year)

    감축목표 설정시 이용되는 특정 연도를 지칭. 선진국의 경우 '90년을 기준년도로 사용하고 있음.

  • 기체연료(Gas Fuel)

    기체형태의 연료로서 천연가스, 프로판 가스, 석탄 및 석유의 가스화 연료가 있다. 기체연료의 발열량에 따라 고열가스(9,400kcal/㎥, 천연가스 등), 증열가스(2,800∼3,800kcal/㎥, 수성가스 등) 및 저열가스(1,300kcal/㎥, 발생로 가스, 용광로 가스 등)로 나뉘어진다. 고열가스는 최근 액화천연가스로서 대량 수입되어, 발전용 및 도시가스로서 중요하게 되었으며 석탄, 석유의 가스화에 의한 합성 천연가스(SNG)가 연구 개발중이다. 중열가스인 수성가스는 메탄올로 이는 합성석유의 원료로서 중요한데 수성가스의 변성, 증열에 의한 합성 천연가스의 원료로도 된다. 저열가스는 공업용 및 발전용으로 중요하다. 장래의 크린가스로서 수소연료가 큰 연구과제로 되어있다. 기체연료는 고체 및 액체연료에 의해 탈류, 탈화되기 때문에 연소성, 취급 등의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88년에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에 의해 설립됨. 기후변화에 관련된 과학적·기술적 사실에 대한 평가를 제공함.

  • 난방일수(Degree Day)

    24시간 동안의 평균외부 온도가 기본온도보다 낮아질 경우 두 온도간의 차이로 나타낸 실험적인 단위. 난방일수는 건물의 난방 수용을 예측하는 데 쓰인다.

  • 납사 분해시설(NCC / Naphtha Cracking Center)

    납사를 스팀과 혼합하여 800℃ 정도의 고온에서 열분해함으로써 석유화학의 기초원료인 에틸렌(Ethylene, 폴리에틸렌의 원료), 프로필렌(Propylene, 폴리프로필렌의 원료), 부틸렌(Butylene, 합성고무의 원료)을 생산하는 시설로, 부산물로는 B.T.X.도 생산됨. Naphtha Cracker 또는 Steam Cracker라 불리기도 하며 규모를 말할 때 보통 에틸렌 생산 기준으로 말한다.

  • 납사, 나프타(Naphtha)

    넓은 의미로는 휘발성 석유류를 총칭하며, 좁은 의미로는 원유에서 직접 생산되는 유분으로 끓는점 범위 300℃-200℃에 있는 유분을 말함. 이중 끓는점이 100℃ 이하인 것을 경질납사(Light Straight Run Naphtha, HSR)라 함. 경질납사는 주로 용제 및 석유화학의 원료로 사용되며(NCC의 원료), 중질납사는 개질시설(Reformer)을 통해 휘발유 제조나 B.T.X. 생산에 사용된다.

  •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연 주기에 따라서 작동하는 엔진, 열기관 내에서 연료의 연소가 실린더 내에서 일어나 이 연소생성물이 동력 왕복운동의 작동매체가 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예로서는 휘발류, 디젤 그리고 가스를 사용하는 엔진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