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뒤로

용어사전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미이용 에너지(Unused Energy)

    도시내부, 공장등에서 생활, 업무, 생산, 활동의 결과로서 생겨나 그대로 혹은 유효하게 회수되지 않고 환경에 방출되는 다양한 온도의 열에너지등으로서, 자연에 풍부히 존재하며 그 활용이 도시환경에 생태학적으로 영향을 주지않는다고 생각되는 자연에너지를 말한다.

  • 바이오 가스(Biogas)

    혐기적 소화작용으로 바이오매스에서 생성되는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혼합형태인 기체를 말한다. 이러한 혼합기체로부터 분리된 메탄을 바이오메탄가스라고 한다. 그외 바이오개스의 형태는 퇴비가스, 습지가스, 폐기물 등의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것과 제조된 가스도 있다.

  • 바이오매스(Biomass)

    바이오매스란 원래 "생물량"이라는 생태학적 용어였으나 현재는 에너지화할 수 있는 생물체량이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 녹색식물은 태양에너지를 받아 물과 탄산가스를 이용하여 전분, 당 또는 섬유소를 합성하고 이를 식물에 저장함. 동물은 식물을 먹고 자라며 동식물은 미생물에 의하여 종국적으로 탄산가스와 물 등의 무기물로 분해되어 하나의 순환과정을 형성한다. 이러한 생태계의 순환과정 중에 관련된 모든 "유기체"를 일컬어 바이오매스라 하며 이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식물 자원임. 이러한 바이오매스로부터 여러 가지 형태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에너지는 "재생성(renewability)"을 가지고 있다고 말함. 그 재생속도는 생물체마다 각기 다르며, 또한 계절 또는 하루를 주기로하는 태양광의 조사량, 기후 그리고 날씨조건 등에 따라서 다르다. 각 식물의 성장주기에 따라서도 다르며, 생물체의 지배조건에 따라서 크게 달라짐. 그러나 통계학적으로는 재생속도를 평균 1년을 주기로 한다고 보면 됨.

  • 바이오매스 자원(Biomass Resources)

    에너지원 또는 화학공업용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일정규모로 집적한 생물체를 말한다. 목재와 같이 태워서 연료로 하는 것, 수액처럼 분해하여 석유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 혹은 식물중의 전분처럼 발효시켜 알콜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농축산폐기물이나 도시쓰레기 등의 미이용 자원도 포함된다.

  • 바이오연료(Biofuel)

    바이오매스의 혐기발효를 목적으로 설계된 탱크를 말한다.

  • 박막 태양전지(Thin Film Solar Cells)

    비정질실리콘, CuInSe2 등의 화합물반도체를 소재로 한 것으로, 두께 수 um 내외로 유리 등의 기판위에 박막형태로 만든 태양전지로 대면적의 모듈을 일관공정으로 제조 할 수 있음.

  • 반사율(Reflectance/reflection factor)

    어떤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된 복사에너지와 같은 표면에 입사된 총 복사에너지와의 비. 註 : 이를 더 세분하면, 단색반사율(reflectivity : 어떤 주어진 파장에서 반사된 복사에너지와의 비)과 반사계수(reflection coefficient : 파장의 범위가 주어졌을때 태양복사에너지의 스펙트럼 분포에 따라 가중치를 고려 계산된 평균반사율)로 구분된다.

  • 발광효율

    백열전구나 형광등 같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의 시감량을 소비전력으로 나눈 값 즉 lm/W를 말한다. 소비전력에 비해서 시감량이 클수록 그 광원의 에너지효율이 크다고 할 수가 있다. 형광등의 발광효율이 백열전구에 비해 약 3배 정도나 크다.

  • 발열량(Heating Value)

    단위량의 연료가 일정조건하에서 완전 연소한 경우에 내는 열량.

  • 발전기

    발전기는 유도발전기와 동기발전기로 분류되며, 유도발전기는 계통선 연계용으로, 동기발전기는 벽지, 오지 등 독립된 발전소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