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뒤로

용어사전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질소산화물(Nitrogen Oxygen)

    보통형의 연소장치에서 연료의 연소시 형성되고 방출되는 질소의 산화물이다. 질소산화물은 연료중에 포함된 질소가 기여하기 보다는 공기중에 있는 질소의 고온산화에 기인된 것이다. 질소산화물(대기오염에서는 NOx라고 쓴다.)의 직접적인 해는 사람의 기도를 자극하며 식물에 손상을 준다. 간접적인 해는 광화학 스모그반응에 원인을 제공하며 산성비의 문제도 일으킨다.

  • 집광체(Concentrator)

    집광형 집열기의 일부로서 태양에너지를 집열기의 집열판에 집광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 집광형집열기(Concentrating solar collector)

    태양열 집열기로서 반사경, 렌즈 혹은 그밖의 광학기구를 이용하여 집열기 전체면적(collector aperture)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그보다 적은 수열부면적(absorber surface)에 집광이 되도록 고안된 장치. 註1 : 이러한 형태의 집열기는 주로 직달일사량만을 이용한다. 註2 : 현재 상용되고 있는 집광형 집열기는 빛의 굴절(렌즈식집열기)과 빛의 반사에 의해 작용되고 있는 형태로 대별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반사면은 반구, 포물선, 포물선 모양의 실린더 혹은 원추 형태를 취하고 있다.

  • 집열기 표면집열면적(Collector aperture)

    집열기 정면의 단면적을 일컬으며 이곳에 수직 직달일사량이 직접 혹은 반사되어 집열판에 도달된다. 다시 말해서 태양광이 집열기의 첫 공기/덮개 경계를 통과하는 표면적이다.

  • 집열기 효율(Collector efficiency)

    주어진 기간동안 태양열 집열기에 의해 실제로 얻어진 열량과 같은 기간동안 집열기 표면에 입사된 총태양에너지양과의 비. 註 : 실제로는 모든 집열시스템은 열적관성(thermal inertia)을 보유한다. 그러므로, 효율계산은 균등한 조건(기후데이타, 집열기온도) 하에 일정한 기간동안 얻어진 기록을 근거로 하여야 한다.

  • 집열기경사각(Inclination of collector)

    설치된 집열기면과 수평면에 의해 만들어지는 각.

  • 집열매체

    집열기로부터 집열된 열에너지를 축열조나 이용부로 이동시켜주는 유체(주로 물, 공기, 부동액 등).

  • 집열판(Absorber)

    집열기의 한 부분으로서 태양광을 흡수, 열에너지로 전환하며 이를 다시 열매체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註 : 평판형 집열기의 경우, 집열판은 검고 대개 무광택 표면을 갖는다.

  • 천연가솔린(NGL / Natural Gas Liquid)

    거의 납사로만 구성된 원유로 천연가솔린이라고 불리기도하며 주로 천연가스전에서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가운데 생산됨. 납사가 주성분이면서 소량의 LPG유분, 등유 유분, 경유 유분을 포함하고 있는 Condensate와는 달리 거의 납사로만 구성되어 있어 아주 간단한 처리를 거치거나 또는 처리를 거치지 않고 바로 납사로 사용할 수 있다.

  • 천연가스(Natural Gas)

    주로 메탄으로 구성되며, 지하 저장층에 천연으로 부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