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뒤로

용어사전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온실가스가 태양열이 지표면에 복사된 후 우주공간으로 방출되는 것을 흡수 차단함으로서 온실과 같은 현상을 가져와 지구대기의 기온이 상승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에 의한 지구온난화라 한다.

  •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

    지구온난화지수는 각각의 기체들을 기준이 되는 기체들과 비교했을 때 대기하층에서 성층권까지의 상대적 가열정도의 척도로서 나타내어진 것임. 이산화탄소 1㎏과 비교하였을 때 어떤 온실기체가 대기중에 방출된 후 특정기간 동안 그 기체 1㎏의 가열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평가하는 척도임. 100년을 기준으로 CO2를 1로 볼 때 CH4가 21, N2O가 310, HFCs가 1,300, PFCs가 7,000, SF6가 23,900 임.

  • 지구환경기금(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수십억달러를 보유하고 있는 GEF는 세계은행(World Bank), 유엔개발계획(UNDP) 및 유엔환경계획(UNEP)에 의해 '90년에 설립되었음. 잠정적으로 협약의 재정메커니즘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세계 기후변화방지를 위한 개발도상국의 프로젝트에 기금을 출연하고 있음.

  • 지역냉난방(District Heat and Cooling)

    일정지역의 다수의 건물에 동시에 냉난방을 하는 방식. 가정의 집중난방이나 빌딩의 공기조절을 지역적으로 확대한 것으로 중앙에 냉난방 플랜트를 만들어 거기서 파이프를 통하여 주변의 빌딩에 냉난방기능을 공급한다.

  • 지역에너지 시스템

    태양에너지, 지열, 해양에너지 등 그 지역의 특성과 자주성에 대응하고, 또한 환경, 공해, 입지문제를 고려한 에너지시스템을 말한다.

  • 지열에너지

    지열은 지하의 물체가 갖는 열을 말한다. 지열은 지구가 생성될 때있던 열로 아직 방열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우라늄이나 토륨 같은 방사선원소의 붕괴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일본과 같이 화산이 많은 고온지열지대는 지하에 용융암석의 활동에 의한 것으로 여기에 물을 주입하여 증기를 생산하고 이것으로 증기터빈을 돌려서 발전에 이용할 수가 있고 이런 시스템을 지열발전소라고 한다. 보통 화산이 없는 지대에서는 약 3000미터 지하로 들어가면 약 섭씨 100도가 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이보다 온도가 높을 수도 있다. 파리 같은 곳에서는 약 1500미터 정도에서 약70도 전후의 열을 퍼올려 지역난방에 이용한다.

  • 직달일사량(Direct radiation)

    태양면으로부터 발생하여 물체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방향의 변화가 없이 직접 입사되는 일사량.

  • 직달일사량(Pyrheliometer)

    입사방향에 수직인면에서의 직달일사량을 측정하는 기구

  • 직류(Straight Run)

    증류공정만을 거쳐 원류로부터 바로 생산된 제품을 말함.

  • 진공형집열기(Vacuum collector)

    일반적으로 약간의 집광형 집열방식을 취하며 집열판과 덮개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