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전문가 기고] 태양광 모듈 탄소 인증제 시행에 거는 기대

  • 작성일 2020.04.21
  • 조회수 28669

<윤재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장>

 

태양광 소재·부품의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중요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고통받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가 국경을 가리지 않는 것처럼, 기후변화에 따른 전 지구적인 피해에 대한 경각심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코로나로 침체한 경제를 회생시키기 위한 '그린뉴딜'이 여러 나라에서 제안되는 것도 이런 상황 때문이다.

 

현재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한 '에너지 전환'은 이미 여러 형태로 진행 중이다. 2019년 현재 세계적으로 신설된 발전설비의 72%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다. 우리나라도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정책을 통해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9년까지 총 11.2GW의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했다. 20182.4GW, 2019년엔 3.1GW의 신규 태양광발전소를 완공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태양광발전소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태양광발전 설비의 급격한 확대에도 국내 태양광 산업은 세계시장의 절대 비율을 점유하고 있는 중국제품과의 가격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보급 확대와 국내 산업 경쟁력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정부는 지난해 4월 재생에너지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추진해 어느 정도의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더 구체적인 성과를 위해선 추가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제조 기업들은 태양광 소재·부품의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노력에 힘써야 한다. 태양광 산업의 핵심 분야인 태양전지(모듈) 부문은 세계적인 기술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세계 최고의 효율 기술을 확보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정부가 지난 1월 시행한 태양광 모듈 최저 효율제(효율 17.5% 이상인 제품만 국내에 유통)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내수 시장 확대를 위해서라도 국내 태양광 산업의 제조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다.

 

둘째,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야 한다. 최근 주목받는 도심 속 태양광 보급을 위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BIPV)이 대표적이다. 다양한 모양과 색을 가지고 건축자재와 융합된 태양광 모듈이야말로 세계시장을 선점할 아이템이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재생에너지 특성을 고려해 실질적인 탄소 절감에 기여하는 제품을 우대해야 한다. 바로 '태양광 모듈 탄소 인증제'가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될 수 있다. 탄소 인증제는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확보 방안'에서 가장 먼저 언급된 정책으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태양광 모듈 탄소 인증제는 2011년 프랑스에서 도입해 시행 중인 CFP(Carbon FootPrint)와 유사하다. 태양광 모듈의 소재·부품·완제품 생산과정에서의 탄소 배출량을 평가하고, 일정기준 이하인 제품에 탄소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따라서 태양광 모듈의 소재·부품·완제품 생산과정에서의 탄소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계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탄소 배출량이 적은 태양광 모듈에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다. 현재 유럽연합(EU)에서도 유사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어서 국내 도입을 통해 우리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런 제도 시행으로 우리 기업이 저탄소 태양광 모듈 개발에 더욱 노력하고, 우리나라 태양광 산업 생태계는 고효율·저탄소 시스템을 구축해 우리 기업이 한층 더 성장할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태양광이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오해를 불식시켜 태양광 보급 확대에도 큰 전환점이 될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갈수록 미세먼지와 황사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고효율·저탄소 태양광 모듈 보급이 확산되면,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이를 위해선 정부와 태양광 관련 기업들이 고효율·저탄소 태양광 모듈을 보급·확산할 수 있도록 정책 강화와 기술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기사원문링크 : https://www.ajunews.com/view/20200420092729324

Print Back

페이지 9/14

전체 27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해 촉발된 경기침체, 탈세계화, 글로벌 가치사슬의 재편 등 우리는 큰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2020년 현대경제연구원은 글로벌 1…
2020.06.23
육상풍력 발전, 해상 풍력보다 경제성 뛰어나전국 육상풍력 발전사업, 절반가량 규제에 막혀환경·산림정보 등 규제항목 60종 데이터 정리     [앵커]우리…
2020.05.22
[투데이에너지] 플라스틱은 특정한 물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유연성이 있어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하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2020.05.13
정부가 지난해 1월 발표한 '수소경제592활성화로드맵' 이후 수소에너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뿐만 아니라 우려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수소에너지 사회로 가면 …
2020.04.27
  태양광 소재·부품의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중요코로나19로 전 세계가 고통받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가 국경을 가리지 않는 것처럼, …
2020.04.21
[앵커]햇빛이 강하게 들어올 때 블라인드나 커튼을 쳐 이를 막곤 하죠. 창문이 스스로 투과율을 조절해 빛을 차단한다면 어떨까요? 오늘 '과학돋보기'에서는 '…
2020.04.14
염분차발전 핵심부품 30배 저렴한 것으로 대체에너지기술연구원, 1㎥ 크기 부품서 20㎾ 생산[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바다의 짠 성분을 이용해 전기를 생…
2020.03.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해양융복합연구팀 정남조 박사. 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압력밥솥으로 밥을 짓듯이 매우 얇고 고르게 코팅할 수 있는 새로…
2020.03.24
타이완 전력공사와 25억 원 수출 계약 맺어2001년 이후 45개 업체 졸업, 현재 20여 개 입주5년 이상 생존기업 70%, 국내 평균보다 2배 높아     [앵커]…
2020.03.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안에 둥지를 튼 연구소 기업삼중열병합 발전 가능한 건물용 ‘고온 PEMFC’ 개발현지 실증과 인증을 거쳐 열수요 높은 유럽시장 공략성재경…
2020.03.04
최근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거머쥐면서 한국 영화가 세계에 우뚝 선 쾌거를 이루었다. 한국은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5위권의 영화 시장 강국…
2020.02.26
[앵커멘트]한전과 에너지기술연구원이 힘을 합쳐 적은 비용으로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소재와 공정을 개발하고, 실증에도 성공했습니다. 기술이 …
2020.02.25
'중소기업 조력자' 출연연 새로운 역할 본보기中企, 에너지연 플랫폼연구실에 기술 시험 의뢰3년간 4529건 신청···잠수함·플랜트 등 업종 다양 에너지연 플…
2020.02.17
"딱딱한 조직 문화를 탈피하고 역동적이고 즐거운 일터를 만들고 있습니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직원들로 구성된 'E-board'가 전직원 산책 행사, 작은 음악회…
2020.02.05
에너지연 '제19회 모형 태양광 자동차 경주대회' 개최"방학 반납하고, 태양광 車 조립 매진하며 한팀 됐죠""직접 실습하며 원리 깨달아···과학·에너지 친숙해져…
2019.09.30
곽병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최고난도 소재 개발 이루려면 지도자 과감한 결단·안목 필수연구진은 사즉생 각오 도전해야 인재 투자·기계장비산업 육성도[서울…
2019.08.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곽병성 원장언제부터인가 우리는 주변에서 다양한 전기자동차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가솔린엔진의 보조동력으로 전…
2019.08.08
정남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글로벌연구센터장 인터뷰"바다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R&D 중요..지속적 정부지원 절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2019.05.02
"여기 실험 결과 보이나요? 땅콩이 쌀보다 2배의 열량을 가지고 있네요."24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은 어린이들의 목소리로 가득했다. 김소희 에…
2019.04.25
곽병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투데이에너지]우리는 지난 200여년간 지구를 점점 더워지게 만들어 인류의 존속을 위협하는 절대적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이 지…
2019.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