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헤럴드 포럼] 에너지 효율 향상, DNA기술 융합으로

  • 작성일 2020.02.26
  • 조회수 30229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200225000368_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0pixel, 세로 129pixel


최근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거머쥐면서 한국 영화가 세계에 우뚝 선 쾌거를 이루었다. 한국은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5위권의 영화 시장 강국이며 4DX와 멀티플렉스 등 뛰어난 기술 경쟁력을 자랑한다. 기생충 이전에도 임권택, 박찬욱 감독 등 여러 작품이 칸을 비롯한 세계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 한국영화의 세계적 위상이 이렇게 높아진 이유는 실력 있는 감독과 배우가 있기 때문이지만, 보다 큰 시각으로 보면 오랜 시간 꾸준한 투자를 통한 영화산업의 육성과 관객의 지속적인 관심이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에너지 분야는 어떤가.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는 인구증가, 도시화, 그리고 개발도상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경제 성장에 의해 2050년 세계 에너지수요는 2014년의 1.4배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은 2050년에 2014년보다 1.6배 증가한 55GtCO2로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미세먼지 등 에너지와 관련된 환경문제 역시 더욱 심각한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분야에서 성장과 환경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석탄과 석유로 대표되는 화석연료는 이용 가능한 자원이 많고 기술의 성숙도가 높아 접근성이 좋지만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배출과 같은 환경문제를 안고 있어서 대안으로 재생에너지와 수소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로의 전환을 중점 추진하고 있으나, 자연 환경이나 기술적인 제약으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에너지와 환경문제에 비교적 단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큰 효과를 기대할 방안으로 에너지효율 향상이 있다. 2019년에 수립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최종에너지소비 원단위 개선 등 효율 향상을 중심으로 2040년 최종에너지 수요의 18.6%를 절감하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경제 성장에 비례하여 에너지소비도 같이 증가하는데, 에너지효율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면 성장을 하면서도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것을 경제성장과 에너지소비의 탈동조화(decoupling)라고 한다.


전통적인 효율향상 기술과 DNA(Data, Network, AI) 기술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수단이 융합하면 지금까지 경험하거나 상상하지 못한 효율 향상을 이룰 수 있다. IoT 기반의 센서를 활용해 다양한 적용 분야의 물리적인 현상에 대한 분석 및 제어를 통해 에너지 생산과 소비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수요관리, 분산에너지 관리를 구현하여 에너지 사용의 시각화 및 효율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효율향상과 DNA 기술의 융합을 위해서는 수많은 데이터를 모아 빅데이터를 만들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인공지능으로 연결하기는 쉽지 않은 기술개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앞서 영화산업의 사례에서 보았듯이 기술개발에 꾸준한 투자와 관심이 필요한 이유다. 효율향상을 통해 성장과 에너지소비의 탈동조화를 이루고 에너지 전환으로 청정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면 우리가 지향하는 미래 저탄소 사회 건설에 크게 한 걸음 다가서는 길이 될 것이다.


원본링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225000434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9/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2019년 12월 처음 발생한 코로나19는 1년도 채 되지 않은 지금 인류의 삶 상당 부분을 바꾸어 놓았다. 그야말로 패러…
2020.10.06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20세기 초에 시장에서 사라졌던 전기자동차는 1990년대 초반 캘리포니아주의 환경적인 규제로 인해 다시 살아납니다.…
2020.10.05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 선임연구원]대전 현충원 인근에는 덕명하우스토리 아파트가 있다. 23층짜리 102동은 몇 층일까?6시 내 고향은 몇 …
2020.09.11
1799년 알렉산드로 볼타가 세계 최초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지를 개발한 이후로 19세기에는 망간전지를 비롯해 매우 다양한 전지가 발명됩니다. 그중 하나…
2020.09.07
여러분은 전기차를 타 본 적이 있나요? 어땠나요? 엔진자동차와 많이 다른가요? 요즘 도로에서는 심심치 않게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
2020.08.12
◆ K사이언스의 파워 ② / 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생산유닛 ◆ "이번에 개발한 고순도 수소생산유닛이 국내 수소충전소를 늘리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다." 2…
2020.08.04
에너지연 미세먼지연구단 '친환경 에너지 연구' 기후변화 대응 선봉저급 연료 고품질화해 오염물질↓, 중국·몽골에 기술이전 추진여과집진기 효율 높여 미세먼지…
2020.07.17
인류는 산업혁명을 통해 이전에 누려보지 못한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게 됐지만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라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석탄과 석유와 같은 손쉽…
2020.07.13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삼척 수소에너지 자급 도시 구축도시형 태양광 시설 개발 추진폐플라스틱으로 연료 생산 연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에…
2020.07.01
세계 수소시장은 2017년 약 1,292억달러에서 2050년 약 2조5,000억달러이며 누적 3,0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국내 수소산업의 경우 205…
2020.06.23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해 촉발된 경기침체, 탈세계화, 글로벌 가치사슬의 재편 등 우리는 큰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2020년 현대경제연구원은 글로벌 1…
2020.06.23
육상풍력 발전, 해상 풍력보다 경제성 뛰어나전국 육상풍력 발전사업, 절반가량 규제에 막혀환경·산림정보 등 규제항목 60종 데이터 정리     [앵커]우리…
2020.05.22
[투데이에너지] 플라스틱은 특정한 물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유연성이 있어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하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2020.05.13
정부가 지난해 1월 발표한 '수소경제592활성화로드맵' 이후 수소에너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뿐만 아니라 우려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수소에너지 사회로 가면 …
2020.04.27
  태양광 소재·부품의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중요코로나19로 전 세계가 고통받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가 국경을 가리지 않는 것처럼, …
2020.04.21
[앵커]햇빛이 강하게 들어올 때 블라인드나 커튼을 쳐 이를 막곤 하죠. 창문이 스스로 투과율을 조절해 빛을 차단한다면 어떨까요? 오늘 '과학돋보기'에서는 '…
2020.04.14
염분차발전 핵심부품 30배 저렴한 것으로 대체에너지기술연구원, 1㎥ 크기 부품서 20㎾ 생산[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바다의 짠 성분을 이용해 전기를 생…
2020.03.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해양융복합연구팀 정남조 박사. 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압력밥솥으로 밥을 짓듯이 매우 얇고 고르게 코팅할 수 있는 새로…
2020.03.24
타이완 전력공사와 25억 원 수출 계약 맺어2001년 이후 45개 업체 졸업, 현재 20여 개 입주5년 이상 생존기업 70%, 국내 평균보다 2배 높아     [앵커]…
2020.03.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안에 둥지를 튼 연구소 기업삼중열병합 발전 가능한 건물용 ‘고온 PEMFC’ 개발현지 실증과 인증을 거쳐 열수요 높은 유럽시장 공략성재경…
2020.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