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헤럴드포럼] 탄소중립시대, 탄소포집·수소생산 기술융합으로

  • 작성일 2020.11.11
  • 조회수 2067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윤여일.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8pixel, 세로 944pixel

[윤여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 시정 연설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탄소중립이란 경제활동을 하며 발생한 온실가스를 탄소 감축 기술로 제어해 실질적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문 대통령은 “특히 탈탄소와 수소 경제 활성화,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등 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강구해주기 바란다”라고 당국에 강력하게 촉구했다.


한국은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고 1차 에너지 공급량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최하위권이기에 에너지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을 경우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그렇다고 재생에너지에 집중하는 것이 답이 될 것인가? 대표적 재생에너지인 태양광, 풍력 등의 장비를 설치하려면 산림 훼손이 심하고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다. 그렇다면 현재 기술 중 저탄소 산업으로 에너지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탄소포집’ 기술과 ‘수소 생산용 촉매개질’ 기술을 융합하는 것이 해답이 될 수 있다.



탄소포집 기술은 대규모 탄소 배출 사업장 굴뚝 후단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제로 연속 포집하는 기술이다. 수소는 수전해와 촉매개질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수전해의 경우 여전히 화력발전에서 생산한 전기를 이용하고 있고, 수소·산소의 분리기술 국산화 등 상용화에 이르려면 갈 길이 멀기에 수십년 이상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단기간에 수소 사회를 만들려면 화석 연료와 수증기를 활용한 촉매개질로 수소를 생산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방식도 수소 1㎏을 생산하는 데 약 9㎏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촉매개질 반응을 통해 얻은 수소는 청정에너지의 탈만 썼을 뿐 지구 온난화를 유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에 적절한 탄소감축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만약 수소 생산용 촉매개질 장치 후단에 탄소 포집기술을 연결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수소 생산 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전량 포집할 수 있고, 탄소 포집용 흡수제 재생에 필요한 열에너지는 촉매개질 장치로부터 얻을 수 있어서 서로가 윈윈인 시너지가 발생한다. 포집한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이용하는 촉매개질 신기술에 재활용한다면 수소 생산량은 더 증가할 것이다. 말 그대로 온실가스를 자원화하는 것이다. 실제 이러한 생각을 현실화하려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예스코, 금호석유화학과 같은 곳이 대표적이다. 서울시와 예스코는 바이오 메탄으로 수소를 생산해 청정연료전지발전으로 발전 방식 변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에너지연의 키어솔(KIERSOL) 기술로 포집해 스마트팜에 공급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키어솔 기술로 포집한 후, 이를 합성가스 생산에 활용하려고 계획 중이다.


탄소 중립 선언이라는 주사위는 던져졌다. 이제 실현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탄소포집기술과 수소 생산용 촉매개질 기술의 융합이 그린 뉴딜 정책의 선봉장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프리미어리그 토트넘에서 대활약 중인 손흥민과 해리 케인처럼.


기사원문링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1110000523

Print Back

페이지 8/14

전체 27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머투 초대석]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사진=홍봉진 기자   “불과 1℃(도) 차이에 따라 지구 운명이 바뀝니다.” …
2020.11.30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은 기후위기 대응에 준비된 과학자다. 지난 35년 연구원에서 석유화학·정유 공정, 해양플랜트, 온실가스 포집, 탈황 장치·설비, …
2020.11.30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전기로 달리는 전기차는 무엇보다도 배터리가 중요합니다. 배터리에 얼마나 많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지가 자동차…
2020.11.30
[윤여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 시정 연설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탄소중립이란 경제활동을 하며 발생한 …
2020.11.11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메타인지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메타인지는 인지심리학 용어로 '자신이 어떤 것을 알고 어떤 것을 모르는지와 같이 …
2020.11.02
소재·부품·장비 자립 산학연 협력日의 수출규제 등 위기상황에 대처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연료전지연구실이 ‘국가연구실(N-Lab)’로 지정됐다고 26일 밝혔다. …
2020.10.28
■ 류호정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앵커]국내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대부분은 이산화탄소로 주로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를 …
2020.10.26
초보 엔지니어가 리드 엔지니어로 성장하는 5년의 기록 박정호 선임연구원 "기초 엔지니어를 위한 지침서"저자 박정호 선임연구원의 '나는 플랜트 엔지니어입니…
2020.10.23
언택트 시대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온라인, 비대면이 일상화가 됐다. 체험이 중요한 과학관 역시 굳게 문을 닫았다. 본지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 …
2020.10.20
[윤재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 단장]태양광발전, 기후위기 대응 측면에서 역할 분명해초고효율 태양전지·고출력 모듈 등 혁신기술 '주목'폭염, 태…
2020.10.06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2019년 12월 처음 발생한 코로나19는 1년도 채 되지 않은 지금 인류의 삶 상당 부분을 바꾸어 놓았다. 그야말로 패러…
2020.10.06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20세기 초에 시장에서 사라졌던 전기자동차는 1990년대 초반 캘리포니아주의 환경적인 규제로 인해 다시 살아납니다.…
2020.10.05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 선임연구원]대전 현충원 인근에는 덕명하우스토리 아파트가 있다. 23층짜리 102동은 몇 층일까?6시 내 고향은 몇 …
2020.09.11
1799년 알렉산드로 볼타가 세계 최초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지를 개발한 이후로 19세기에는 망간전지를 비롯해 매우 다양한 전지가 발명됩니다. 그중 하나…
2020.09.07
여러분은 전기차를 타 본 적이 있나요? 어땠나요? 엔진자동차와 많이 다른가요? 요즘 도로에서는 심심치 않게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
2020.08.12
◆ K사이언스의 파워 ② / 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생산유닛 ◆ "이번에 개발한 고순도 수소생산유닛이 국내 수소충전소를 늘리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다." 2…
2020.08.04
에너지연 미세먼지연구단 '친환경 에너지 연구' 기후변화 대응 선봉저급 연료 고품질화해 오염물질↓, 중국·몽골에 기술이전 추진여과집진기 효율 높여 미세먼지…
2020.07.17
인류는 산업혁명을 통해 이전에 누려보지 못한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게 됐지만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라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석탄과 석유와 같은 손쉽…
2020.07.13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삼척 수소에너지 자급 도시 구축도시형 태양광 시설 개발 추진폐플라스틱으로 연료 생산 연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에…
2020.07.01
세계 수소시장은 2017년 약 1,292억달러에서 2050년 약 2조5,000억달러이며 누적 3,0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국내 수소산업의 경우 205…
2020.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