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생활속 과학이야기] 전기자동차의 재도약

  • 작성일 2020.10.05
  • 조회수 23748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20세기 초에 시장에서 사라졌던 전기자동차는 1990년대 초반 캘리포니아주의 환경적인 규제로 인해 다시 살아납니다. 1990년 캘리포니아 대기환경 위원회에서 무공해차 의무화 법안이 통과되면서 GM에서는 전기차 개발을 추진해 EV 1을 시장에 선보입니다. 초기에 생산된 EV1 은 납축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약 90㎞를 주행할 수 있었고, 이후에는 니켈금속수소전지를 적용해 약 170㎞를 주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를 생산했습니다. 1996년부터 양산한 EV 1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단종되는데, 이는 생산 가격이 높아 수익이 나지 않는 이유와 배출가스 없는 자동차 생산에 대한 의무 법률이 소송으로 인해서 천연가스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대체됐기 때문입니다.


EV 1의 수명은 매우 짧았지만 역할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여러 사람들이 전기차가 사라지는 것을 아쉬워했고, 그중 전기공학자인 마틴 에버하드와 컴퓨터공학자인 마크 타페닝은 아쉬워하는데 그치지 않고, 2003년 전기차 제조회사 테슬라를 만듭니다. 그리고 엘런 머스크가 이 스타트업 기업에 대부분의 초기 자본을 지원해 주며, 대표이사가 됩니다. 이후 테슬라는 전기차 산업을 이끄는 세계적인 회사로 성장하고, 최근에는 기업 가치가 도요타를 제쳐 세계 1위 자동차 회사로 도약했습니다.


그런데 '니콜라스 테슬라'는 교류전기 기술을 이끈 발명가인데 왜 직류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에 테슬라라는 이름을 붙인 것일까요? 창업 초기 테슬라가 개발한 자동차는 로드스터 형태의 스포츠카였습니다. 그래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모터가 필요했는데, 직류모터는 그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삼상교류모터가 그 성능을 만족시켜 이를 적용하고, 삼상교류모터를 개발한 테슬라의 이름을 따서 회사명을 정한 것이죠. 자신이 개발한 발명품 덕분에 19세기 말 에디슨과 경쟁했던 천재 과학자 테슬라가 21세기 초에 다시 주목받게 된 이유입니다.


기사원문링크 :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441748

Print Back

페이지 8/14

전체 27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머투 초대석]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사진=홍봉진 기자   “불과 1℃(도) 차이에 따라 지구 운명이 바뀝니다.” …
2020.11.30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은 기후위기 대응에 준비된 과학자다. 지난 35년 연구원에서 석유화학·정유 공정, 해양플랜트, 온실가스 포집, 탈황 장치·설비, …
2020.11.30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전기로 달리는 전기차는 무엇보다도 배터리가 중요합니다. 배터리에 얼마나 많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지가 자동차…
2020.11.30
[윤여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 시정 연설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탄소중립이란 경제활동을 하며 발생한 …
2020.11.11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메타인지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메타인지는 인지심리학 용어로 '자신이 어떤 것을 알고 어떤 것을 모르는지와 같이 …
2020.11.02
소재·부품·장비 자립 산학연 협력日의 수출규제 등 위기상황에 대처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연료전지연구실이 ‘국가연구실(N-Lab)’로 지정됐다고 26일 밝혔다. …
2020.10.28
■ 류호정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앵커]국내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대부분은 이산화탄소로 주로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를 …
2020.10.26
초보 엔지니어가 리드 엔지니어로 성장하는 5년의 기록 박정호 선임연구원 "기초 엔지니어를 위한 지침서"저자 박정호 선임연구원의 '나는 플랜트 엔지니어입니…
2020.10.23
언택트 시대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온라인, 비대면이 일상화가 됐다. 체험이 중요한 과학관 역시 굳게 문을 닫았다. 본지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 …
2020.10.20
[윤재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 단장]태양광발전, 기후위기 대응 측면에서 역할 분명해초고효율 태양전지·고출력 모듈 등 혁신기술 '주목'폭염, 태…
2020.10.06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2019년 12월 처음 발생한 코로나19는 1년도 채 되지 않은 지금 인류의 삶 상당 부분을 바꾸어 놓았다. 그야말로 패러…
2020.10.06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20세기 초에 시장에서 사라졌던 전기자동차는 1990년대 초반 캘리포니아주의 환경적인 규제로 인해 다시 살아납니다.…
2020.10.05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 선임연구원]대전 현충원 인근에는 덕명하우스토리 아파트가 있다. 23층짜리 102동은 몇 층일까?6시 내 고향은 몇 …
2020.09.11
1799년 알렉산드로 볼타가 세계 최초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지를 개발한 이후로 19세기에는 망간전지를 비롯해 매우 다양한 전지가 발명됩니다. 그중 하나…
2020.09.07
여러분은 전기차를 타 본 적이 있나요? 어땠나요? 엔진자동차와 많이 다른가요? 요즘 도로에서는 심심치 않게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
2020.08.12
◆ K사이언스의 파워 ② / 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생산유닛 ◆ "이번에 개발한 고순도 수소생산유닛이 국내 수소충전소를 늘리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다." 2…
2020.08.04
에너지연 미세먼지연구단 '친환경 에너지 연구' 기후변화 대응 선봉저급 연료 고품질화해 오염물질↓, 중국·몽골에 기술이전 추진여과집진기 효율 높여 미세먼지…
2020.07.17
인류는 산업혁명을 통해 이전에 누려보지 못한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게 됐지만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라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석탄과 석유와 같은 손쉽…
2020.07.13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삼척 수소에너지 자급 도시 구축도시형 태양광 시설 개발 추진폐플라스틱으로 연료 생산 연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에…
2020.07.01
세계 수소시장은 2017년 약 1,292억달러에서 2050년 약 2조5,000억달러이며 누적 3,0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국내 수소산업의 경우 205…
2020.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