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생활속 과학이야기] 엔진자동차 vs 전기자동차

  • 작성일 2020.08.12
  • 조회수 24198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여러분은 전기차를 타 본 적이 있나요? 어땠나요? 엔진자동차와 많이 다른가요? 요즘 도로에서는 심심치 않게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동차가 처음 만들어지던 시절에도 전기차와 엔진차가 경쟁했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초기에는 전기차의 달리기 성능이 엔진차보다 좋았습니다. 최초로 시속 100㎞를 달성한 자동차도 전기차였죠. 그런데 왜 전기차는 엔진차와의 경쟁에서 밀려 사라졌을까요? 그리고 왜 2000년대에 다시 엔진차와 경쟁하기 시작했을까요?


한동안 전기차가 사라지고 엔진차는 발전을 거듭했습니다. 그래서 시속 400㎞보다 빠르게 달리는 엔진 자동차가 개발됐죠. 가만히 서 있다가 시속 100㎞까지 도달하는데 겨우 2.5초밖에 걸리지 않죠. 엄청난 성능을 자랑하는 이런 차를 슈퍼카 혹은 하이퍼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대표적인 전기차 메이커인 테슬라에서 선보이는 2020년형 로드스터는 시속 400㎞ 이상 달릴 수 있으면서 서 있다가 시속 100㎞까지 도달하는 데 불과 2.1초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가격도 슈퍼카에 비하면 월등히 싸죠. 다시 시작된 엔진차와 전기차의 달리기 성능 경쟁에서 전기차가 앞서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기차는 자율주행 기능도 엔진차보다 좋습니다. 테슬라에서 보급형으로 만든 모델 3의 자율주행이 고속도로는 물론 일반도로에서도 가능하다고 많은 사람들이 신기해하고 있죠. 깜빡이를 넣으면 자동으로 차선을 바꾸고, 고속도로에서는 앞차가 속도를 내지 않으면 추월도 합니다. 자동차가 알아서 말이죠. 이런 기술이 가능한 것은 자동차 자체의 기술보다 배터리, 센서, 컴퓨터 등 관련 기술이 발달한 덕입니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빠르게 발전한 전자산업이 전기차에 적용돼 더딘 자동차산업의 발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죠. 게다가 전기차는 환경규제로부터도 자유롭습니다. 앞으로 어떤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전기자동차가 개발될지 기대가 됩니다.


기사원문링크 :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434528 

Print Back

페이지 8/14

전체 27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머투 초대석]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사진=홍봉진 기자   “불과 1℃(도) 차이에 따라 지구 운명이 바뀝니다.” …
2020.11.30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은 기후위기 대응에 준비된 과학자다. 지난 35년 연구원에서 석유화학·정유 공정, 해양플랜트, 온실가스 포집, 탈황 장치·설비, …
2020.11.30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전기로 달리는 전기차는 무엇보다도 배터리가 중요합니다. 배터리에 얼마나 많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지가 자동차…
2020.11.30
[윤여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 시정 연설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탄소중립이란 경제활동을 하며 발생한 …
2020.11.11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메타인지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메타인지는 인지심리학 용어로 '자신이 어떤 것을 알고 어떤 것을 모르는지와 같이 …
2020.11.02
소재·부품·장비 자립 산학연 협력日의 수출규제 등 위기상황에 대처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연료전지연구실이 ‘국가연구실(N-Lab)’로 지정됐다고 26일 밝혔다. …
2020.10.28
■ 류호정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앵커]국내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대부분은 이산화탄소로 주로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를 …
2020.10.26
초보 엔지니어가 리드 엔지니어로 성장하는 5년의 기록 박정호 선임연구원 "기초 엔지니어를 위한 지침서"저자 박정호 선임연구원의 '나는 플랜트 엔지니어입니…
2020.10.23
언택트 시대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온라인, 비대면이 일상화가 됐다. 체험이 중요한 과학관 역시 굳게 문을 닫았다. 본지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 …
2020.10.20
[윤재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 단장]태양광발전, 기후위기 대응 측면에서 역할 분명해초고효율 태양전지·고출력 모듈 등 혁신기술 '주목'폭염, 태…
2020.10.06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2019년 12월 처음 발생한 코로나19는 1년도 채 되지 않은 지금 인류의 삶 상당 부분을 바꾸어 놓았다. 그야말로 패러…
2020.10.06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20세기 초에 시장에서 사라졌던 전기자동차는 1990년대 초반 캘리포니아주의 환경적인 규제로 인해 다시 살아납니다.…
2020.10.05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 선임연구원]대전 현충원 인근에는 덕명하우스토리 아파트가 있다. 23층짜리 102동은 몇 층일까?6시 내 고향은 몇 …
2020.09.11
1799년 알렉산드로 볼타가 세계 최초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지를 개발한 이후로 19세기에는 망간전지를 비롯해 매우 다양한 전지가 발명됩니다. 그중 하나…
2020.09.07
여러분은 전기차를 타 본 적이 있나요? 어땠나요? 엔진자동차와 많이 다른가요? 요즘 도로에서는 심심치 않게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
2020.08.12
◆ K사이언스의 파워 ② / 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생산유닛 ◆ "이번에 개발한 고순도 수소생산유닛이 국내 수소충전소를 늘리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다." 2…
2020.08.04
에너지연 미세먼지연구단 '친환경 에너지 연구' 기후변화 대응 선봉저급 연료 고품질화해 오염물질↓, 중국·몽골에 기술이전 추진여과집진기 효율 높여 미세먼지…
2020.07.17
인류는 산업혁명을 통해 이전에 누려보지 못한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게 됐지만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라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석탄과 석유와 같은 손쉽…
2020.07.13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삼척 수소에너지 자급 도시 구축도시형 태양광 시설 개발 추진폐플라스틱으로 연료 생산 연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에…
2020.07.01
세계 수소시장은 2017년 약 1,292억달러에서 2050년 약 2조5,000억달러이며 누적 3,0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국내 수소산업의 경우 205…
2020.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