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생활속 과학이야기] 전기자동차의 시작

  • 작성일 2020.09.07
  • 조회수 26013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1799년 알렉산드로 볼타가 세계 최초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지를 개발한 이후로 19세기에는 망간전지를 비롯해 매우 다양한 전지가 발명됩니다. 그중 하나가 지금까지도 엔진 자동차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납축전지입니다. 충전을 해서 다시 쓸 수 있는 납축전지는 프랑스 사람인 가스통 플란테에 의해서 1859년에 개발됐습니다. 납축전지가 개발된 이후 여러 발명가들이 납축전지를 이용한 자동차 개발을 거듭했고, 이후 실용성을 갖춘 세계 최초의 전기자동차가 독일의 안드레아스 플로켄에 의해 제작됩니다. 플로켄은 지붕이 있는 4륜 마차 형태에 직류모터와 납축전지를 이용해서 1888년에 전기자동차를 만들었죠. 칼 벤츠가 1885년에 최초의 엔진자동차를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으니까 3년의 차이를 두고 독일의 발명가들이 엔진자동차를 만들고 전기자동차를 만들었습니다.


당시에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전기자동차와 엔진자동차가 경쟁을 했고, 초기 달리기 성능은 전기자동차가 엔진자동차를 앞섰습니다. 세계 최초로 시속 100km를 돌파한 것도 벨기에 사람인 카밀 제나치가 만든 로켓모양의 전기자동차였죠. 성능뿐만 아니라 실제 운행한 자동차도 1890년대 후반부터 1900년대 초반까지는 전기자동차가 엔진자동차보다 많았습니다. 전기자동차는 엔진자동차에 비해서 소음도 없고, 진동도 적어 대중적인 인기를 얻은 것이죠. 런던과 뉴욕에는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택시가 돌아다녔고, 수많은 전기자동차 제조사가 생겨났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헨리포드가 세계 최초의 양산차인 포드 T를 개발하고, 컨베이어 시스템을 활용해 값싸게 제조하면서 엔진자동차가 다시 우위를 점하게 됩니다. 자주 충전해줘야 하는 전기차에 비해 기름만 충분히 넣으면 오랫동안 달릴 수 있는 데다가 가격까지 저렴한 엔진자동차가 훨씬 더 시장성이 있던 것이죠. 그래서 전기자동차는 20세기 초 경쟁에서 밀려, GE에서 EV1을 양산하기 시작한 1996년까지 약 90년 동안 시장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기사원문링크 :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438290

Print Back

페이지 8/14

전체 27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머투 초대석]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사진=홍봉진 기자   “불과 1℃(도) 차이에 따라 지구 운명이 바뀝니다.” …
2020.11.30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은 기후위기 대응에 준비된 과학자다. 지난 35년 연구원에서 석유화학·정유 공정, 해양플랜트, 온실가스 포집, 탈황 장치·설비, …
2020.11.30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전기로 달리는 전기차는 무엇보다도 배터리가 중요합니다. 배터리에 얼마나 많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지가 자동차…
2020.11.30
[윤여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 시정 연설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탄소중립이란 경제활동을 하며 발생한 …
2020.11.11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메타인지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메타인지는 인지심리학 용어로 '자신이 어떤 것을 알고 어떤 것을 모르는지와 같이 …
2020.11.02
소재·부품·장비 자립 산학연 협력日의 수출규제 등 위기상황에 대처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연료전지연구실이 ‘국가연구실(N-Lab)’로 지정됐다고 26일 밝혔다. …
2020.10.28
■ 류호정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앵커]국내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대부분은 이산화탄소로 주로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를 …
2020.10.26
초보 엔지니어가 리드 엔지니어로 성장하는 5년의 기록 박정호 선임연구원 "기초 엔지니어를 위한 지침서"저자 박정호 선임연구원의 '나는 플랜트 엔지니어입니…
2020.10.23
언택트 시대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온라인, 비대면이 일상화가 됐다. 체험이 중요한 과학관 역시 굳게 문을 닫았다. 본지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 …
2020.10.20
[윤재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 단장]태양광발전, 기후위기 대응 측면에서 역할 분명해초고효율 태양전지·고출력 모듈 등 혁신기술 '주목'폭염, 태…
2020.10.06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2019년 12월 처음 발생한 코로나19는 1년도 채 되지 않은 지금 인류의 삶 상당 부분을 바꾸어 놓았다. 그야말로 패러…
2020.10.06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20세기 초에 시장에서 사라졌던 전기자동차는 1990년대 초반 캘리포니아주의 환경적인 규제로 인해 다시 살아납니다.…
2020.10.05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 선임연구원]대전 현충원 인근에는 덕명하우스토리 아파트가 있다. 23층짜리 102동은 몇 층일까?6시 내 고향은 몇 …
2020.09.11
1799년 알렉산드로 볼타가 세계 최초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지를 개발한 이후로 19세기에는 망간전지를 비롯해 매우 다양한 전지가 발명됩니다. 그중 하나…
2020.09.07
여러분은 전기차를 타 본 적이 있나요? 어땠나요? 엔진자동차와 많이 다른가요? 요즘 도로에서는 심심치 않게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
2020.08.12
◆ K사이언스의 파워 ② / 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생산유닛 ◆ "이번에 개발한 고순도 수소생산유닛이 국내 수소충전소를 늘리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다." 2…
2020.08.04
에너지연 미세먼지연구단 '친환경 에너지 연구' 기후변화 대응 선봉저급 연료 고품질화해 오염물질↓, 중국·몽골에 기술이전 추진여과집진기 효율 높여 미세먼지…
2020.07.17
인류는 산업혁명을 통해 이전에 누려보지 못한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게 됐지만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라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석탄과 석유와 같은 손쉽…
2020.07.13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삼척 수소에너지 자급 도시 구축도시형 태양광 시설 개발 추진폐플라스틱으로 연료 생산 연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에…
2020.07.01
세계 수소시장은 2017년 약 1,292억달러에서 2050년 약 2조5,000억달러이며 누적 3,0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국내 수소산업의 경우 205…
2020.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