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도시가스로 수소 양산…수소충전소 확대 청신호

  • 작성일 2020.08.04
  • 조회수 25884

◆ K사이언스의 파워 ② / 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생산유닛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_readtop_2020_794490_1596453686430418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00pixel, 세로 295pixel


"이번에 개발한 고순도 수소생산유닛이 국내 수소충전소를 늘리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다."

2년 뒤 국내에서 운행되는 수소차를 8만대까지 늘리겠다는 다소 야심 찬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현실로 만들어줄 수소생산유닛을 개발한 윤왕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기연) 박사 얘기다. 윤 박사는 "정부가 주창하는 수소경제 이행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수소를 최대한 비용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라며 "에기연의 수소생산유닛 연구팀이 기존 도시가스 파이프라인을 활용해 99.999% 이상의 고순도 수소를 저렴하게 생산·공급할 수 있는 `현장생산형(On-Site) 고순도 수소생산유닛`을 개발한 것은 이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저렴하게 수소를 사용할 수 있는 비용경제성을 확보한 것이 수소생산유닛 개발의 가장 큰 성과"라며 "현재 수소차 보급에 가장 큰 장애물은 수소차 충전소가 부족하다는 점인데 앞으로 도심 곳곳에 수소생산유닛을 결합한 수소충전소를 설치하면 현장에서 손쉽게 수소를 생산하고 수소차를 충전할 수 있는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에기연의 수소생산유닛은 컨테이너 박스처럼 패키지 형태로 돼 있다. 이 때문에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 필요한 곳에서 쉽게 이동 설치를 할 수 있어 기존에 설치된 도시가스 공급망 파이프라인 혹은 이미 도심 곳곳에 퍼져 있는 도시가스 파이프라인을 끌어와 간편하게 연결하고 수소를 저렴한 가격에 대량생산할 수 있다. 그만큼 필요한 지점으로 수소를 실어 나르는 물류비용이 대폭 줄어든다는 점에서 대단한 경쟁력이 있다. 수소생산유닛이 들어선 곳에 수소충전소를 함께 설치하거나 수소충전소가 있는 곳으로 도시가스 파이프라인을 연결해 현장에서 값싸게 수소를 생산하고 수소차 등을 곧바로 충전할 수 있다. 수소충전소 인프라 구축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기존 수소생산유닛에 비해 초기 시설투자 비용도 확 낮췄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일본 오사카가스의 수소생산유닛 설치비용과 비교하면 절반도 안 된다. 윤 박사는 "수소 가격은 초기 시설투자 비용, 원료비, 운영비 등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며 "원료비와 운영비는 시설을 설치하는 입장에서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저렴한 수소 생산을 위해선 초기 시설투자 비용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에기연이 수소생산유닛 생산비용을 분석한 결과, 현재 수소 1㎏ 생산가격이 8800원인 데 반해 에기연 수소생산유닛은 이보다 30% 가까이 저렴한 6000원 수준이다.

수소생산효율성도 높다. 수소생산효율은 투입한 도시가스 에너지 총량 대비 얼마나 많은 에너지의 수소가 생산되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에기연의 수소생산유닛은 수소생산효율이 81%에 달한다. 100의 에너지를 가진 도시가스를 투입해 81의 수소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는 미국 에너지부와 일본 신에너지개발기구(NEDO)가 초기 수소 에너지 보급 사양으로 제시한 수소생산효율 75~80%보다 높은 수치다. 이처럼 수소생산효율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에기연은 자체 개발한 수소생산유닛의 수출 가능성도 높게 보고 있다. 윤 박사는 "미국 제품은 수소생산효율이 낮고 일본 제품은 초기 시설투자 비용이 크다"며 "이들 두 개 부문에서 미국과 일본 제품보다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수출 잠재력이 크다"고 강조했다.

윤 박사는 수출 가능 국가로 중국과 유럽을 꼽았다. 그는 "수소 굴기를 선언한 중국이 전기차와 함께 수소차 보급에 나서면서 수소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이고, 유럽에도 불순물만 정제하면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도시가스 성분과 매우 유사한 바이오가스가 많다"며 "중국·유럽에서 효율적인 수소 생산과 현장 충전이 가능하도록 우리가 개발한 수소생산유닛을 개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초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2018년 1800대 수준이었던 수소차도 2022년까지 8만1000대, 2040년까지 620만대 수준으로 확대해 수소경제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기사원문링크 : https://www.mk.co.kr/news/home/view/2020/08/794490/


Print Back

페이지 8/14

전체 27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머투 초대석]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사진=홍봉진 기자   “불과 1℃(도) 차이에 따라 지구 운명이 바뀝니다.” …
2020.11.30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은 기후위기 대응에 준비된 과학자다. 지난 35년 연구원에서 석유화학·정유 공정, 해양플랜트, 온실가스 포집, 탈황 장치·설비, …
2020.11.30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전기로 달리는 전기차는 무엇보다도 배터리가 중요합니다. 배터리에 얼마나 많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지가 자동차…
2020.11.30
[윤여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 시정 연설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탄소중립이란 경제활동을 하며 발생한 …
2020.11.11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메타인지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메타인지는 인지심리학 용어로 '자신이 어떤 것을 알고 어떤 것을 모르는지와 같이 …
2020.11.02
소재·부품·장비 자립 산학연 협력日의 수출규제 등 위기상황에 대처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연료전지연구실이 ‘국가연구실(N-Lab)’로 지정됐다고 26일 밝혔다. …
2020.10.28
■ 류호정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앵커]국내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대부분은 이산화탄소로 주로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를 …
2020.10.26
초보 엔지니어가 리드 엔지니어로 성장하는 5년의 기록 박정호 선임연구원 "기초 엔지니어를 위한 지침서"저자 박정호 선임연구원의 '나는 플랜트 엔지니어입니…
2020.10.23
언택트 시대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온라인, 비대면이 일상화가 됐다. 체험이 중요한 과학관 역시 굳게 문을 닫았다. 본지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 …
2020.10.20
[윤재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 단장]태양광발전, 기후위기 대응 측면에서 역할 분명해초고효율 태양전지·고출력 모듈 등 혁신기술 '주목'폭염, 태…
2020.10.06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2019년 12월 처음 발생한 코로나19는 1년도 채 되지 않은 지금 인류의 삶 상당 부분을 바꾸어 놓았다. 그야말로 패러…
2020.10.06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20세기 초에 시장에서 사라졌던 전기자동차는 1990년대 초반 캘리포니아주의 환경적인 규제로 인해 다시 살아납니다.…
2020.10.05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 선임연구원]대전 현충원 인근에는 덕명하우스토리 아파트가 있다. 23층짜리 102동은 몇 층일까?6시 내 고향은 몇 …
2020.09.11
1799년 알렉산드로 볼타가 세계 최초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지를 개발한 이후로 19세기에는 망간전지를 비롯해 매우 다양한 전지가 발명됩니다. 그중 하나…
2020.09.07
여러분은 전기차를 타 본 적이 있나요? 어땠나요? 엔진자동차와 많이 다른가요? 요즘 도로에서는 심심치 않게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
2020.08.12
◆ K사이언스의 파워 ② / 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생산유닛 ◆ "이번에 개발한 고순도 수소생산유닛이 국내 수소충전소를 늘리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다." 2…
2020.08.04
에너지연 미세먼지연구단 '친환경 에너지 연구' 기후변화 대응 선봉저급 연료 고품질화해 오염물질↓, 중국·몽골에 기술이전 추진여과집진기 효율 높여 미세먼지…
2020.07.17
인류는 산업혁명을 통해 이전에 누려보지 못한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게 됐지만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라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석탄과 석유와 같은 손쉽…
2020.07.13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삼척 수소에너지 자급 도시 구축도시형 태양광 시설 개발 추진폐플라스틱으로 연료 생산 연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에…
2020.07.01
세계 수소시장은 2017년 약 1,292억달러에서 2050년 약 2조5,000억달러이며 누적 3,0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국내 수소산업의 경우 205…
2020.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