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국내 연구진, 폐플라스틱 열분해 단점 극복한 신개념 융합 공정 개발

  • 작성일 2024.10.24
  • 조회수 40314

- 화학적/생물학적 융합 공정 개발로 온실가스 배출 없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성공

- 열분해유를 미생물의 먹이로 정제, 고부가 플라스틱 원료인 ‘디카르복실산’ 전환

- 에너지환경분야 세계적 권위지 ‘저널 오브 클리너 프로덕션’ 4월호 게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 바이오자원순환연구실 전상구 박사 연구팀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 바이오상용화지원센터 안정오 박사 공동 연구팀이 가정용 혼합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고부가 플라스틱의 원료인 ‘디카르복실산(α,ω-diacid)’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플라스틱은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통해 생산되며 폐플라스틱은 분쇄하고 녹여 새 제품을 만드는 방법으로 재활용된다. 하지만 생산과 가공 과정에서 폐수와 유해물질이 방출돼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국가와 기업이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열분해**와 같은 화학적 방법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 플라스틱 순환 경제: 사용한 플라스틱의 재활용 또는 분해를 통해 플라스틱을 재원료화 함으로써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를 구축하는 것.

** 열분해 (Pyrolysis) : 혼합된 폐플라스틱을 무산소의 고온 환경에서 가열해 기체, 액체(열분해유), 고체로 분해하는 과정

 

그러나 열분해 방식도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다. 열분해 시 나오는 열분해유 중 30%의 나프타(Naphta) 성분만 플라스틱 원료로 재활용되고 대부분은 연소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저급 연료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기존의 화학적 재활용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화학적 공정과 생물학적 공정이 결합된 융합 공정을 제시했다. 개발된 공정은 열분해유를 저급 연료로 쓰는 대신 미생물 반응 공정의 원료인 ‘노르말 파라핀*’으로 정제하고 이를 미생물의 먹이로 활용해 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 노르말 파라핀 (Normal Paraffin) : 직선 사슬 구조를 가진 탄화수소 화합물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재료 등으로 활용되며 미생물 공정 반응의 원료가 됨

 

에너지연이 개발한 화학적 전처리 기술을 이용하면 열분해유에서 노르말 파라핀만을 선택적으로 정제할 수 있다. 열분해유를 수소로 가득 찬 400()의 고온 환경에서 촉매와 반응시키면 불순물과 독성이 제거돼 노르말 파라핀으로 전환된다.

 

□ 이후 정제된 노르말 파라핀을 미생물의 먹이로 활용하면 폴리에스터(PES), 폴리아미드(PA), 폴리우레탄(PU) 고부가 플라스틱 원료인 ‘디카르복실산’으로 최종 전환된다.

 

연구진은 기술 활용을 통해 플라스틱 원료 생산 비용을 기존 석유화학 기반의 생산 기술 대비 최대 40%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또 열분해유 중 저급 연료로 활용되는 양의 30%를 플라스틱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어 국가 온실가스 저감에도 유리하다.

 

■ 연구를 주도한 에너지연 전상구 박사는 “이번 기술은 기존 화학적 플라스틱 재활용 방법의 한계를 극복한 기술로 플라스틱 순환 경제 구축과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성과”라며, “최종 생산된 디카르복실산을 이용해 플라스틱을 합성하는 검증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수요기업과의 교류를 통해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한편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기술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사업으로 수행됐으며 연구성과는 에너지환경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저널 오브 클리너 프로덕션(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IF 9.7)’에 게재됐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19

전체 368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2024.12.23 5,345
2024.12.23 4,810
2024.12.03 32,086
2024.11.22 46,431
2024.11.15 55,200
2024.11.15 50,332
2024.11.08 59,990
2024.11.01 43,206
2024.10.24 40,315
2024.10.15 41,360
2024.10.10 48,008
2024.09.25 59,089
2024.09.11 68,495
2024.08.30 73,382
2024.08.28 64,947
2024.08.22 65,946
2024.08.21 47,373
2024.08.13 39,688
2024.08.06 34,227
2024.07.17 57,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