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에너지연, 수전해 장치 성능·효율 정밀하게 들여다 본다

  • 작성일 2020.07.15
  • 조회수 23804

- 수전해 셀의 성능과 효율을 정밀하게 평가 가능하도록 장비 개발

-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풍력·태양광)의 부하 입력에 대한 응답성 및 신뢰성 평가 가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수소연구단 김창희 박사 연구진은 친환경 에너지인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장치의 성능과 효율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장비를 자체 개발했다.

 

2018년 정부의 3대 전략투자 대상에 수소경제가 선정되어 재생에너지와 연계로 친환경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전해 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전해 핵심 소재, 부품 및 장치의 성능과 효율을 평가할 수 있는 장비가 국내와 해외에 많이 보급되고 있다.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전해 장치는 수소와 산소가 각각 발생하는 음극·양극과 두 전극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고 수소, 산소 가스의 혼합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수전해 셀의 집합체다. 수전해 장치의 효율은 이 수전해 셀의 성능에 좌우된다.

 

통상적인 국내 평가 장비는 전류를 흐르게 했을때 나타나는 수전해 셀의 전압만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성능과 효율을 평가하는데,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장치 구성만으로도 평가가 가능하다. 하지만 실제 수소, 산소 생산량을 정량적으로 검증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되는 전류 밀도 범위에 따라 부정확한 성능 및 효율 평가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전해 셀의 경우 낮은 전류 밀도에서 운전될 때 수소, 산소 가스가 혼합 될 확률이 매우 높아지는데, 이는 부정확한 전압 효율 측정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운전 환경 중 하나이다.

 

연구진은 통상적인 전압 효율 측정과 더불어, 수전해 셀 운전 시 생성되는 수소, 산소 가스의 유량과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혼합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인가되는 전류 대비 생성된 수소의 양(전류 효율)까지 동시에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평가 장비를 자체 개발했다.

 

연구진은 개발한 평가 장비를 이용하여 수전해 셀이 운전되는 동안 생성된 수소, 산소 가스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날씨에 따라 전기 생산량의 변화가 심한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와 연계되었을 때 수전해 셀의 응답성과 신뢰성 역시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원에서는 자체 개발한 이 장비를 활용하여 수전해 핵심 소재 및 부품들의 성능평가가 필요한 대학·연구소에게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김창희 책임연구원은 이번 평가 장치의 개발은 연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요소 기술이 반영된 평가 장치를 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구현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밝혔으며 해외 선도 기업 제품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해짐에 따라 국내 수전해 평가 장치의 보급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하는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약 5년간 진행되고 있으며, 작년 10월 수경화학 기술이전을 완료했다.

 

한편, 수경화학은 연구원으로부터 받은 기술이전을 통해 평가 장치 기술개발에 소요되는 막대한 투자비용과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었으며, 이와 관련된 그린수소 생산기술을 습득하여 향후 주요 사업영역으로 키워나갈 계획이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9/19

전체 369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2020.05.18 26,759
2020.05.07 27,117
2020.04.24 26,349
2020.04.08 25,819
2020.03.20 28,062
2020.03.18 28,239
2020.03.11 26,697
2020.02.26 25,556
2020.02.21 27,540
2020.02.13 28,025
2020.01.30 27,807
2020.01.22 27,995
2020.01.20 30,179
2020.01.15 28,121
2020.01.10 27,935
2020.01.09 28,187
2020.01.08 27,588
2019.12.24 30,252
2019.11.19 28,777
2019.11.12 27,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