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에너지연,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적용 ‘에너지자립형‘ 스마트팜 실증 나선다

  • 작성일 2020.11.04
  • 조회수 24930

- 복합 계간축열식 태양열 및 지열원 히트펌프 적용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실증 추진

- 재생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한 똑똑하고 친환경적 농업 실증 나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은 복합 계간축열식 태양열 및 지열원 히트펌프가 적용된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기반 에너지자립형스마트팜* 실증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 에너지자립형 스마트팜: 비닐하우스 같은 시설이나 기계 장치를 설치하는 시설농가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화석연료 대신 태양광·, 지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대체하여 에너지를 저장 및 공급하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미래형 온실이다.  

 

태양복사에너지를 이용해 열을 생산하는 태양열시스템은 계절 간 에너지생산·소비가 불균형하다는 단점이 있다. 집열기에서 생산되는 열은 여름철 가장 많으나 난방 및 급탕 소비량은 겨울에 가장 높다. 이러한 계절 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봄부터 가을까지 생산된 열을 저장했다가 겨울에 공급하는 시스템이 계간축열시스템이다.

 

연구원에서 추진하는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기반 에너지자립형스마트팜은 3,900m2 (1,180) 규모의 스마트팜을 대상으로 난방부하 80% 와 냉방부하 50% 이상을 담당할 수 있는 복합 계간축열식 태양열 및 지열원 히트펌프 적용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이다.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연간 에너지 비용 70% 이상을 절감하는 통합에너지 시스템이 구성되고 관리운영 방안도 제시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존의 농업용 냉난방 설비는 가스보일러나 전기히터 등을 주로 사용해왔다. 이번에 개발하는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은 태양 복사에너지를 이용해 열과 전기를 동시 생산하는 PVT(PhotoVoltaic-Thermal, 태양광·) 집열기 및 일반 태양열 집열기와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 그리고 계절 간 부하 평준화를 위한 탱크축열(TTES) 및 지중축열(BTES)을 복합 활용하는 계간축열조 등으로 구성된 친환경에너지로 구축된다.

 

연구진은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개발을 통해 농업 현장에서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생산·저장·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의 스마트팜 적용 기술을 고도화하고 시스템 확산을 위한 비즈니즈 모델 및 표준모델 개발, 사후관리 등 유지보수 방안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로 온실에 적합한 재생에너지 융복합 이용 공조시스템을 개발해 안정적인 작물 생산과 에너지 절감 및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나아가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농업부문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증을 통해 친환경 인식을 확산하고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활용해 농촌에서의 에너지자립도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실증사업은 국내 최초의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인 푸르메 여주팜을 대상으로 1029일 착공식을 가졌다.

 

연구책임자인 신재생열융합연구실 김민휘 선임연구원은 장애인 표준사업장에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지역 상생 모델 개발에 일조할 수 있어서 뜻깊다.”본 융복합 시스템의 초기투자비용은 다소 높으나, 유지비용 절감에 효과적이므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모델에 적합하고 재생에너지 융합기술 개발을 통한 스마트시티와 그린뉴딜 모델 구축 및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원하는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업에너지 자립형 산업모델 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관으로 장한기술, 경북대학교가 참여하여 산--연 공동으로 원예시설 공조를 위한 태양열·지열 융복합 에너지 생산·저장·관리 및 실증모델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8/20

전체 387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 폐비닐 대란의 해결 방법은 열분해에 의한 청정 오일 생산이 대안- 친환경적, 경제적으로 우수한 연속식 열분해 오일화 플랜트 개발 - 오일 생산 수율 60%이…
2021.02.15
- 에너지연의 에너지닥터 기술멘토링, 기업성장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애로기술 해결 지원- 2년간의 애로기술 지원으로 FDA인증과 제품출시 이끌어- 유해가…
2021.02.09
- 태양빛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시각적인 투광성도 함께 구현하는 미래형 에너지하베스팅 투명 태양전지 기술개발- 차세대 투명 태양전지기술, 재료과학분야 저…
2021.02.04
- 온실가스인 메탄으로부터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원료 생산- 셰일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을 고부가가치 에틸렌으로 전환 □ 탄소원자 하나와 수소 네 개가 결합한 …
2021.01.28
- 불 안나는 ESS 바나듐 전해액 대량생산, 재생에너지 전환의 마중물 역할- 촉매반응을 이용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고순도 전해액 대량생산 성공- 비 발…
2021.01.21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로 에너지 대상 수상 - KIER CONFERENCE를 통해 성과공유를 지속하고, 성과공유를 통해 지식자산 축적의 장 마련   ■ 한국에…
2020.12.28
- 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하는 염화칼륨 함유 먼지와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탄산광물로 전환시켜- 이산화탄소 포집과 동시에 전환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기술…
2020.12.22
- 협업 문화 활성화와 탁월한 성과 창출 촉진을 위한 지식 공유의 장- 『KIER Conference 2020』 온라인 개최(12월 15일~12월 16일)   ■ 한국에너지기술연구…
2020.12.16
- 국내에서 처음으로 브레이징 밀봉기술을 적용해 연료전지 효율과 안정성 잡았다.- 국산 단전지 및 분리판 소재를 이용해 연료전지용 핵심 기술 확보   ■ …
2020.12.10
- 에너지연, 정밀화학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고점도 물질용 복합 건조장치 개발- 복합 전열 방식을 통해 건조효율과 건조시간을 동시에 향상- 제품의 변성…
2020.12.01
- ‘질소산화물 흡수액 기술’로 녹색기술 인증 획득 - 금속착화합물 흡수액을 이용해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수용성 악취가스 동시 제거 가능 - 녹색기술 인…
2020.11.26
- 부산의 에코델타시티(EDC)에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와 에너지공유 플랫폼 실증- 에너지 자립률 100% 및 에너지효율화 60% 달성 위한 복합에너지시스템…
2020.11.24
- 노후 공동주택에도 무선 스마트미터로 난방·온수 사용량을 실시간 확인 가능한 무선 보안 통신 기반 보급형 제품 개발- 열사용량 실시간 확인으로 최대 13% …
2020.11.19
- 별도의 분리설비 없이 온실가스 포집과 함께 초미세먼지 유발물질인 질소산화물도 저감-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
2020.11.12
- 에너지저장장치와 신재생에너지의 하이브리드 결합을 통해 친환경성 더해- 안정적인 운영과 더불어 에너지자립률도 향상시켜   □ 국내 연구진이 에너지저장…
2020.11.08
- 복합 계간축열식 태양열 및 지열원 히트펌프 적용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실증 추진 - 재생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한 똑똑하고 친환경적 농업 실증 나서   …
2020.11.04
- 국내 최초 순수 국산기술을 활용한 대형 풍력발전기 형식시험 적합 확인서 획득- 해외기관의 비용 대비 50% 수준, 수행시간 단축 가능   □ 그린뉴딜 정책에…
2020.11.02
- 운영 현장에서 직접 설비의 성능 및 상태를 주기적으로 시험평가 가능한 기술 확보- 향후 현장 성능시험평가에 대한 기술 표준화 제정을 위한 기반 확보에도 …
2020.11.01
- 그린뉴딜 정책 실현에 꼭 필요한 에너지기술 엄선, 우수기술과 수요기업 연결 기대- 태양광, 풍력, 수소, 에너지효율, 기후변화대응기술 등 63개의 에너지기…
2020.10.20
- 에너지연, '2020 KIER 모형 태양광 자동차 경주대회' 온라인 개최 - 태양광 발전 이해도, 창의력 향상···청소년 진로·진학에도 도움 - 중·고등부 제출 작품…
2020.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