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어느 유량의 값보다 같거나 큰 값이 전체시간에 몇 %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내는 곡선.
하천의 임의 단면을 통과하는 유량에 직접적인 공헌을 하는 지역의 경계.
일차에너지(에너지자원)를 사용하기 쉬운 전력, 가솔린, 등유, 도시가스 등으로 바꾸어 공장과 일반가정에 공급되는 것을 이차에너지라고 한다. 이것을 에너지매체(Energy Medium)라고도 한다.
상온에서 무색, 무취, 무독의 기체로 500℃ 이상의 열에서도 안전하나 불순물이 들어가면 분해되어 유독하며, 반도체 생산공정과 가스절연개폐기 및 가스절연변압기에 사용됨.
전지에서 방전시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지하 저유층에서 가스상태로 존재하며 지상의 조건하에서는 액체로 변하는 탄화수소, 주로 펜탄 및 보다 무거운 물질들로 구성된다. 응축액을 액성 천연가스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함.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기간. 현행 교토의정서의 경우 5년 단위로 의무이행기간을 설정, 2008∼2012년을 1차 의무이행기간으로 규정하고 있음 1차 의무이행기간 : 2008-2012 2차 의무이행기간 : 2013-2017 3차 의무이행기간 : 2018-2022
법률과 시행령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협약을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내용을 담은 문서를 말.
연간에너지절약량을 CO2 저감량으로 환산한 양 = TOE * 0.8374(환산계수)
이온화 경향(Ionization Tendency)은 이온화의 난이도로서 이온화하기 쉬운 것을 이온화경향이 크다고 하며, 일반적으로 금속원소가 양이온이 되어 용액속에 들어가려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 경향은 금속원소의 종류, 용액의 농도에 따라 다르므로,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일정한 조건하에서의 전극전압을 비교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물에 대한 이온화경향의 크기에 따라 나열한 원소의 계열을 이온화서열 또는 전기화학계열이라고 합니다. 이 계열의 앞쪽에 있는 것일수록 이온화경향이 크며, 산화되기 쉽습니다. 어떤원소가 그보다 이온화 경향이 작은 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하면 이온의 치환반응을 일으킵니다. 예를 들면, 아연과 구리, 구리와 은에서는 아래와 같이 치환됩니다. Zn + Cu2+ → Zn2+ + Cu, Cu + 2Ag+ → Cu2+ + 2Ag 또, 수소이온의 경우에는 수소기체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Zn + 2H+ → Zn2+ + H2↑ 가 되는데, 이것을 일반적으로 설명하면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묽은 산에 녹아 수소를 발생'하는 것이 됩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수소보다도 이온화경향이 작은 금속은 보통의 묽은 산과는 작용하지 않고, 산화되어 산에 용해됩니다. 이온화경향은 어떤 일정 조건하에서 비교한 것이기 때문에 조건이 달라지는 경우, 즉 용액의 성질(예를 들면, 산화력의 유무, 음이온의 종류 등)이 변한 경우에는 그대로 적용할 수 없을 때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크롬의 금속조각은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커도 진한 질산에는 녹지 않습니다. 이것은 질산에 의해 금속의 표면이 산화되어 산화피막을 만들어 내부를 보호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