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연료가스(Fuel Gas)

    연료가스는 환경이 허용할 수 있는 연료로서 석유와 석탄 등을 원료로 해서 가스화에 의하여 얻어진다.

  • 연료소비율(Fuel Consumption Rate)

    줄여서 연비라고도 말한다. 단위시간, 단위출력당의 연료소비량, 보통 g/psh, cc/psh로 나타낸다. 자동차에서는 연료단위량당의 주행거리 km/ℓ로 나타내기도 한다.

  • 연료유(Fuel Oil)

    석유제품중 에너지발생을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유종을 말하며 이에는 휘발류, 등유, 경유, B-C유, 제트류가 포함된다. 통상 석유제품은 연료유, LPG, 비연료유로 구분된다.

  • 연료전지(Fuel Cell)

    연료(주로 수소)와 산화제(주로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그 반응에너지를 전기로 직접 빼내는 직류발전장치이다. 연료의 연소에너지를 열로서가 아니고, 전기에너지로서 이용하는 것으로서, 전기자동차용 연료전지나 연료전지발전소 등의 고성능이고 경제성이 뛰어난 연료전지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 열량(Heat Quantity of Heat)

    고온의 물체에서 저온의 물체로 이동하는 에너지의 일종으로, 역학적 일과 구별하여 내부에너지의 변화를 가져오는 에너지를 열이라고 하고, 그 출입량을 열량이라고 부른다.

  • 열매체(Heat Transfer Medium)

    열량운반의 매체로서 쓰여지는 유체로 취급할 수 있고 열적으로 안정되며, 매체 단위중량당의 열용량이 크고, 압력범위도 적당하며, 전열계수도 높다. 장치에 대한 부식성이 적고 불연성, 가격이 저렴, 무독한 것이 필요하다. 공업적으로는 연도가스, 열공기, 수증기, 열유, 보일러 dowtherm 등의 폐열회수에 이용되는 것도 있다.

  • 열분해(Thermal Cracking)

    촉매를 이용하지 않고 고온으로 탄화수소분자를 분해하는 방법으로 생산되는 제품이 Olefin(불포화 탄화수소)을 많이 함유하여 안정성이 떨어짐. CC, Delayed Coker, Visbreaker등이 대표적인 열분해 시설임.

  • 열분해(Pyrolysis)

    혐기상태와 고온 상태(200℃ 이상)에서 바이오매스를 열로 분해하는 것을 말한다. 이 분해에 의한 생성물로는 일반적으로 산, 알코올, 알데히드, 페놀 등의 복잡한 혼합액체가 얻어지는 데, 이 혼합액체는 적절한 공정에 의해 분리되어 진다. 고체형태의 생성물질은 목탄 등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제철공정에서 코크스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체형태의 생성물질은 열량이 약 15MJ/㎥정도의 CO, 수소 메탄 그리고 그외 기체의 혼합상태로 얻어진다.

  • 열분해공정(Thermal Cracking)

    고옥탄 가솔린 제조공정. 비등점 315-560℃의 가스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올라이트 촉매상에서 반응시켜 가솔린을 얻는다. 최근에는 금속성분에 강인한 촉매들이 개발되어 잔사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공정이 상업화 되었다.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반응기는 유동상(Fluidized Bed)반응기로서 고체촉매를 사용하는 기체반응에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반응기이다. 따라서 접촉분해공정을 유동접촉분해(Fluidized Catalytic Cracking : FCC)라고 부른다.

  • 열수지(Heat Balance)

    열평형, 열정산, 공급열량과 그 사용상태를 명확히하여 열의 출입량 관계를 정산하는 것. 이것에 의하여 열의 분포상태를 알고, 열손실을 줄여 이것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연료경제를 꾀하며 보일러 또는 공업요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가 얻어진다. kcal/연료(kg 또는 N㎥) 혹은 백분율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