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양수발전량(Energy absorbed by storage pumping, Energy absorbed by pumping)
발전하기 위하여 물을 상부로 퍼 올리는데 전동펌프에서 소비되는 전력량. 여기에서 보조기기와 펌프손실 등도 포함.
-
에너지밸런스(Energy Balance)
에너지 수급통계 작성에서의 "에너지밸런스"는 플로우(Flow)의 개념으로 일정기간동안 일정지역내 에너지의 투입과 산출간의 균형을 나타내는 표를 말한다. -에너지밸런스의 작성대상지역 및 시간대는 일률적이 아니다. 대부분 일국을 대상으로 하는 연간 에너지밸런스 또는 인접국가들을 동시에 포함시키는 권역에너지밸런스가 작성되기도 한다. -에너지밸런스의 형태는 통상에너지원을 세로축, 에너지수급량을 가로축에 나타내는 행렬(Matrix)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
부하율(Energy capability factor)
어느 기간중의 평균전력을 그 기간중의 최대전력으로 나눈 것으로 백분율로 표시되며 연부하율, 월부하율, 일부하율로 구분할 수 있다. 부하율(%) = 평균전력(KW) / 최대전력( KW) * 100 월부하율(%) = 1개월의 소비전력량(KWh) / P*720 * 100 단, P=최대전력, 계약전력 또는 설비전력
-
에너지의 단계적 이용(Energy Cascade)
에너지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공정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한 공정에서 사용한 후 남은 에너지가 이용가능하면 다음 공정에 차례로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에너지 흐름 또는 에너지량으로 에너지 사용과정에서 총괄효율을 확정화시키는 것이 목적임. 주: 열에너지의 경우 각 단계에서의 초기에너지 앤트로피 증가는 열역학적 과정에 의해 앤탈피의 감소를 가져온다.
-
에너지보존(Energy Conservation)
유한 에너지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취해야할 행동을 구체화시킨 정책을 의미함. 이러한 행동의 예로는 에너지절약, 에너지의 합리적 이용, 서로 다른 형태의 에너지간의 대체 등이 좋은 예임. 에너지 보존을 위해 통제적, 보조적, 정치적, 경제적 수단이 사용된다. 주: 이 용어는 주로 국가적 차원에서 사용된다. 미시경제 차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에너지관리라는 용어가 쓰인다.
-
에너지효율(Energy Efficiency)
일정한 에너지 최종이용량의 공급에 대해, 몇배의 에너지원이 필요한가를 표시한 비율을 말한다. 이것은 에너지의 변환, 이차에너지의 수송율(손실율을 뺀 것), 이용계에 있어서 변환용의 3단계에 의해 결정된다 환경오염의 견지에서 화석연료등은 에너지효율이 떨어져도 크린에너지로서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
에너지 탄성치(Energy Elasticity)
에너지의 수요규모와 경제성장률은 일국의 경제규모, 산업구조, 국민생활등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에너지탄성치는 경제성장률과 에너지소비증가율의 비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에너지사용의 효율이 높을수록 이 수치는 작게 된다.
-
에너지 회수율(Energy Gain Factor)
설비 수명기간중의 총에너지생산량에서 총소비량을 차감한 양과 설비 건설기간중에 소요된 에너지량의 비율을 말한다.
-
에너지원단위(Energy Intensity)
일정 부가가치(혹은 생산액)를 생산하기 위해 투입된 에너지의 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부가가치 원단위로서 통상 부가가치 백만원(혹은 US1,000$)당 투입에너지(toe)로 표기한다.
-
에너지매체(Energy Medium)
(1) 일차에너지에서 이용계로 변환된 이차 에너지를 에너지매체(media)라고 한다. 전력, 석유제품, 연료가스 등, (2) 각종 에너지를 전하는 매체로 투명공간이나 투명체, 기계에너지는 탄환이나 용수철, 스프링, 압축기계, 화학에너지는 용액, 전기에너지는 전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