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뒤로

용어사전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지역에너지 시스템

    태양에너지, 지열, 해양에너지 등 그 지역의 특성과 자주성에 대응하고, 또한 환경, 공해, 입지문제를 고려한 에너지시스템을 말한다.

  • 지열에너지

    지열은 지하의 물체가 갖는 열을 말한다. 지열은 지구가 생성될 때있던 열로 아직 방열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우라늄이나 토륨 같은 방사선원소의 붕괴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일본과 같이 화산이 많은 고온지열지대는 지하에 용융암석의 활동에 의한 것으로 여기에 물을 주입하여 증기를 생산하고 이것으로 증기터빈을 돌려서 발전에 이용할 수가 있고 이런 시스템을 지열발전소라고 한다. 보통 화산이 없는 지대에서는 약 3000미터 지하로 들어가면 약 섭씨 100도가 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이보다 온도가 높을 수도 있다. 파리 같은 곳에서는 약 1500미터 정도에서 약70도 전후의 열을 퍼올려 지역난방에 이용한다.

  • 직달일사량(Direct radiation)

    태양면으로부터 발생하여 물체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방향의 변화가 없이 직접 입사되는 일사량.

  • 직달일사량(Pyrheliometer)

    입사방향에 수직인면에서의 직달일사량을 측정하는 기구

  • 직류(Straight Run)

    증류공정만을 거쳐 원류로부터 바로 생산된 제품을 말함.

  • 진공형집열기(Vacuum collector)

    일반적으로 약간의 집광형 집열방식을 취하며 집열판과 덮개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어 있다.

  • 질소산화물(Nitrogen Oxygen)

    보통형의 연소장치에서 연료의 연소시 형성되고 방출되는 질소의 산화물이다. 질소산화물은 연료중에 포함된 질소가 기여하기 보다는 공기중에 있는 질소의 고온산화에 기인된 것이다. 질소산화물(대기오염에서는 NOx라고 쓴다.)의 직접적인 해는 사람의 기도를 자극하며 식물에 손상을 준다. 간접적인 해는 광화학 스모그반응에 원인을 제공하며 산성비의 문제도 일으킨다.

  • 집광체(Concentrator)

    집광형 집열기의 일부로서 태양에너지를 집열기의 집열판에 집광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 집광형집열기(Concentrating solar collector)

    태양열 집열기로서 반사경, 렌즈 혹은 그밖의 광학기구를 이용하여 집열기 전체면적(collector aperture)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그보다 적은 수열부면적(absorber surface)에 집광이 되도록 고안된 장치. 註1 : 이러한 형태의 집열기는 주로 직달일사량만을 이용한다. 註2 : 현재 상용되고 있는 집광형 집열기는 빛의 굴절(렌즈식집열기)과 빛의 반사에 의해 작용되고 있는 형태로 대별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반사면은 반구, 포물선, 포물선 모양의 실린더 혹은 원추 형태를 취하고 있다.

  • 집열기 표면집열면적(Collector aperture)

    집열기 정면의 단면적을 일컬으며 이곳에 수직 직달일사량이 직접 혹은 반사되어 집열판에 도달된다. 다시 말해서 태양광이 집열기의 첫 공기/덮개 경계를 통과하는 표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