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뒤로

용어사전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열분해(Thermal Cracking)

    촉매를 이용하지 않고 고온으로 탄화수소분자를 분해하는 방법으로 생산되는 제품이 Olefin(불포화 탄화수소)을 많이 함유하여 안정성이 떨어짐. CC, Delayed Coker, Visbreaker등이 대표적인 열분해 시설임.

  • 열분해(Pyrolysis)

    혐기상태와 고온 상태(200℃ 이상)에서 바이오매스를 열로 분해하는 것을 말한다. 이 분해에 의한 생성물로는 일반적으로 산, 알코올, 알데히드, 페놀 등의 복잡한 혼합액체가 얻어지는 데, 이 혼합액체는 적절한 공정에 의해 분리되어 진다. 고체형태의 생성물질은 목탄 등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제철공정에서 코크스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체형태의 생성물질은 열량이 약 15MJ/㎥정도의 CO, 수소 메탄 그리고 그외 기체의 혼합상태로 얻어진다.

  • 열분해가스(Cracked Gases)

    액체 또는 탄산수소가스를 열 또는 열-촉매 분해하여 생성된 가스연료.

  • 열분해공정(Thermal Cracking)

    고옥탄 가솔린 제조공정. 비등점 315-560℃의 가스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올라이트 촉매상에서 반응시켜 가솔린을 얻는다. 최근에는 금속성분에 강인한 촉매들이 개발되어 잔사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공정이 상업화 되었다.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반응기는 유동상(Fluidized Bed)반응기로서 고체촉매를 사용하는 기체반응에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반응기이다. 따라서 접촉분해공정을 유동접촉분해(Fluidized Catalytic Cracking : FCC)라고 부른다.

  • 열수지(Heat Balance)

    열평형, 열정산, 공급열량과 그 사용상태를 명확히하여 열의 출입량 관계를 정산하는 것. 이것에 의하여 열의 분포상태를 알고, 열손실을 줄여 이것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연료경제를 꾀하며 보일러 또는 공업요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가 얻어진다. kcal/연료(kg 또는 N㎥) 혹은 백분율을 쓴다.

  • 열에너지(Thermal Energy)

    에너지 형태의 하나로서 열에너지의 대부분은 증기기관과 내연기관과 같은 열기관에 의하여 역학적 에너지로 바뀌어 이용되는 외에 난방, 조리, 온수 등의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기본적인 에너지이다. 역학적 에너지는 마찰열 등의 방법으로 100% 모두 열에너지로 바뀐다. 모든 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열에너지로 되어 주위로 방출된다.

  • 열펌프(Heat Pump)

    지하수, 표면수, 흙, 외부공기, 환기된 공기와 같은 저급의 열원으로부터 작동유체로 열을 전달하고 기계적 에너지와 같은 고급에너지를 응용함으로써(고온측에서) 열을 방출하기 이전에 작동유체의 온도를 높이거나 열 함량을 증가시키는 장치.

  • 열회수 시스템(Heat Recovery System)

    폐열보일러등 열교환에 의하여 폐열을 회수하는 방식.

  • 열효율(Thermal Efficiency)

    공급된 열에너지에 대한 열에너지에 대한 열에너지의 비율을 열효율이라고 한다. 보일러 등의 여열 이용설비에서의 흡수열량, 소각에 의한 발생열량에 대한 비율을 %로 나타내어 열효율로 한다.

  • 예상매장량(Probable Reserves)

    물리탐사와 탐사정 시추에 의해 확인된 저류암과 석유의 특성에 의해서 계산된 매장량. 개발기술이나 장비의 발달에 따라 변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