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뒤로

용어사전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에너지매체(Energy Medium)

    (1) 일차에너지에서 이용계로 변환된 이차 에너지를 에너지매체(media)라고 한다. 전력, 석유제품, 연료가스 등, (2) 각종 에너지를 전하는 매체로 투명공간이나 투명체, 기계에너지는 탄환이나 용수철, 스프링, 압축기계, 화학에너지는 용액, 전기에너지는 전성 등.

  • 에너지밸런스(Energy Balance)

    에너지 수급통계 작성에서의 "에너지밸런스"는 플로우(Flow)의 개념으로 일정기간동안 일정지역내 에너지의 투입과 산출간의 균형을 나타내는 표를 말한다. -에너지밸런스의 작성대상지역 및 시간대는 일률적이 아니다. 대부분 일국을 대상으로 하는 연간 에너지밸런스 또는 인접국가들을 동시에 포함시키는 권역에너지밸런스가 작성되기도 한다. -에너지밸런스의 형태는 통상에너지원을 세로축, 에너지수급량을 가로축에 나타내는 행렬(Matrix)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 에너지변형(Energy Transformation)

    에너지형태의 물리적 변화를 줌으로서 에너지를 재생, 생산하는 것.(예:석탄액화) 영어 용법에서 "에너지 전환"이란 용어가 보통 이 의미와 에너지 형태의, 물리적 상황에서 아무런 변환도 주지 않고 에너지를 재생 혹은 생산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데 자주 쓰인다.

  • 에너지보존(Energy Conservation)

    유한 에너지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취해야할 행동을 구체화시킨 정책을 의미함. 이러한 행동의 예로는 에너지절약, 에너지의 합리적 이용, 서로 다른 형태의 에너지간의 대체 등이 좋은 예임. 에너지 보존을 위해 통제적, 보조적, 정치적, 경제적 수단이 사용된다. 주: 이 용어는 주로 국가적 차원에서 사용된다. 미시경제 차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에너지관리라는 용어가 쓰인다.

  • 에너지수입의존도(Dependence of Energy on Overseas)

    일반적으로 에너지수입 의존도는 1차 에너지공급량에서 순수입에너지의 비중을 의미하나, 국내 수입의존도는 1차 에너지소비중 수입에너지의 비중을 의미한다.

  • 에너지원(Energy Resources)

    에너지로 가능한 자원을 뜻하며 열에너지, 빛에너지, 운동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화석연료나 핵분열 및 대체에너지로서 수력발전,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조력에너지, 지열에너지 등을 말한다.

  • 에너지원단위(Energy Intensity)

    일정 부가가치(혹은 생산액)를 생산하기 위해 투입된 에너지의 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부가가치 원단위로서 통상 부가가치 백만원(혹은 US1,000$)당 투입에너지(toe)로 표기한다.

  • 에너지의 단계적 이용(Energy Cascade)

    에너지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공정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한 공정에서 사용한 후 남은 에너지가 이용가능하면 다음 공정에 차례로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에너지 흐름 또는 에너지량으로 에너지 사용과정에서 총괄효율을 확정화시키는 것이 목적임. 주: 열에너지의 경우 각 단계에서의 초기에너지 앤트로피 증가는 열역학적 과정에 의해 앤탈피의 감소를 가져온다.

  • 에너지의 형태(Forms of Energy)

    고체연료(Solid Fuels), 액체연료(Liquid Fuels), 가스연료(Gaseous Fuels), 수력전기(Hydropower), 핵에너지(Nuclear Energy), 전기에너지(Electrical Energy), 태양에너지(Solar Energy), 생물에너지(Biomass Energy), 풍력에너지(Wind Energy), 해양에너지(Ocean Energy), 지열에너지(Geothermal Energy), 핵융합(Nuclear Fusion) 주 : 이러한 일반적인 용어들은 비평을 야기시키므로 각각의 에너지형태는 그 자체의 특정한 명칭으로 불러야 된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에너지"란 용어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에너지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더 체계적인 방법에 사용되거나 보다 정교한 기술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 마찬가지로 "고전 에너지"(혹은 전통에너지라고 불린다.) -종종 화석 연료나 부분적으로 전기에너지로 언급된다.-는 매우 상대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고 시간과 함께 반전된다. 재생에너지자원은 끊임없이 재생가능하고(끝없는 변화), 짧은 주기에서 재생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1년, 한세대 혹은 여러 세대에 걸치기도 하며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재생이 될 수 있다. "유동에너지" 그리고 "저장에너지" 등의 명칭은 때로는 "재생에너지"와 "비재생에너지를 구별하는 애매함과 같이 언급된다. 또한 "soft energy source"와 그 반대인 "hard energy source"라는 용어들은 공학적이나 경제적인 것 보다는 오히려 사회학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일반적인 용어들은 매우 직설적이고 질적인 방법에 단지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이 양으로 표시될 때, 그것들이 포함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 에너지절약(Energy Saving)

    에너지 공급자와 사용자가 에너지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채택한 수단 또는 그로 인한 효과. 여기에서는 소극적인 방법(예:단열)과 적극적인 방법(예:폐열이나 가스의 활용) 또는 조직적인 방법(예:수송수단의 변화)등이 있다.